우사(尤史) 김규식(金奎植 본래 우리의 독립은 평화회의나 모종의 유력한 단체로부터 승인을 받던지, 첩지(帖紙)를 내어 주듯 할 것이 아니오. 우리의 최고기관으로부터 각 단체 또는 전 민족의 합심과 준비 여하에 달렸나니, 이것이 있으면 우리에게 독립이 있고, 그렇지 않으면 우리에게는 파멸이 있을 따름이오. 고로 금일 우.. 인물과 역사 2010.11.15
김익상 1894년 갑오변란, 즉 일본군의 경복궁 쿠데타를 계기로 봉기한 의병전쟁에서 독립운동의 역사는 시작되었다. 한국독립운동은 지속성과 광범성, 근대성과 다양성, 그리고 강력한 투쟁성이라는 특성이 있다. 국내는 물론 국외 각지 한민족이 사는 곳이라면 어디나 독립운동의 무대가 되는 광범성을 가졌.. 인물과 역사 2010.11.15
오광심(吳光心 오광심(吳光心 1910~1976) 선생은 한국이 일제에 의해 강제로 병합되던 해인 1910년 3월 15일 평안북도 선천군(宣川郡) 신부면(新府面) 용건동(龍建洞)에서 출생하였다. 어린 시절 선생은 부모를 따라 남만주로 이주하였다. 남만주 흥경현(興京縣) 왕청문(旺淸門)에 있는 화흥중학(化興中學) 부설 사범과에 .. 인물과 역사 2010.11.15
해산 전수용(全垂鏞, “사람이란 어차피 한 번 죽고 마는 것이니 왜놈과 가까이해서 죽게 될 진데 어찌 의병에 충실하다 죽어서 끝내 좋은 이름을 차지하는 것만 하겠느냐.” -[전해산진중일기](1908) 중에서- 어린 시절 시가와 문장에 영특함 보여 해산 전수용(全垂鏞, 1879. 10. 18(음)~1910. 7. 18(음)) 선생은 187 9년 전라북도 임.. 인물과 역사 2010.11.15
이인영(李麟榮, 이인영(李麟榮, 1868. 9. 23~1909. 9. 20) 선생은 1895년 명성황후가 시해 당하자 여주에서 거의하였으며 1907년 7월 이은찬 등의 추대로 관동창의대장이 되어 원주, 철원 등 강원지역에서 38차례에 걸쳐 항전하였다. 서울탈환을 위하여 ‘13도 창의대진소’로 편성하고 총대장에 추대되었으나 일경에 피체되.. 인물과 역사 2010.11.15
김학규 김학규 선생은 신흥무관학교를 졸업 후 조선의용대의 소대장을 거쳐 조선혁명군 총사령관인 양세봉 장군의 참모장으로 활동하면서 본격적으로 항일무장투쟁 전선에 뛰어들었다. 이후 조선혁명당을 대표하여 한국독립당 대표와 협의, 당 통합을 추진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 외곽단체로써 조직 기능.. 인물과 역사 2010.11.15
백야(白冶) 김좌진 적막한 달밤에 칼머리의 바람은 세찬데/칼끝에 찬 서리가 고국생각을 돋구누나/삼천리 금수강산에 왜놈이 웬말인가/단장의 아픈 마음 쓰러버릴 길 없구나. -장군의 시 단장지통(斷腸之痛)- ‘강한 것은 누르고, 약한 것은 돕는다’ 백야(白冶) 김좌진(1889. 11. 24 ~ 1930. 1. 24)장군은 1889년 음력 11월 24일 .. 인물과 역사 2010.11.15
안중근(安重根, 내가 한국독립을 회복하고 동양평화를 유지하기 위하여 3년 동안을 해외에서 풍찬노숙 하다가 마침내 그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이곳에서 죽노니, 우리들 2천만 형제자매는 각각 스스로 분발하여 학문을 힘쓰고 실업을 진흥하며, 나의 끼친 뜻을 이어 자유 독립을 회복하면 죽는 여한이 없겠노라. -.. 인물과 역사 2010.11.15
연개소문(淵蓋蘇文 연개소문(淵蓋蘇文, ?~665?)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극과 극을 달린다. 김부식은 [삼국사기]에서 임금을 죽인 역적이며, 고구려의 멸망을 초래한 장본인으로 기록한 반면, 신채호는 [조선상고사]에서 위대한 혁명가로, 박은식은 [천개소문전]에서 독립자주의 정신과 대외경쟁의 담략을 지닌 우리 역사상 .. 인물과 역사 2010.10.04
선덕여왕 신라 제27대 덕만(德曼)은 시호가 선덕여대왕(善德女大王)이고, 성은 김씨이며 아버지는 진평왕이다. 632년에 왕위에 올라 16년간 나라를 다스렸다. 법흥왕 무렵부터 성골만이 왕위에 오르게 하는 분위기가 무르익어, 법흥 이후 직계후손으로 불리는 진흥·진지·진평으로 이어졌지만, 진평에게는 아들.. 인물과 역사 2010.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