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스님 희망편지 681

인간이란

인간이란 인간이란 본래 이기적인 존재입니다. 제가 가끔 비유를 들 때 '배우자가 죽더라도 안녕히 가세요 하고 나는 행복해야 한다'고 말을 합니다. 그러면 제게 '매정하다'고 말을 합니다. 하지만 인간이 원래 '매정하고 이기적인 존재'입니다. 말로는 친구고, 부부라고 하지만 잘 들여다보면 우리의 마음에는 기본적으로 이기심이 있습니다. 우리가 친구에게 돈을 빌려주고 못 받으면 '어떻게 친구가 그럴 수 있냐'며 친구를 욕합니다. 하지만 돈을 안 갚은 친구도 잘못이지만 돈 좀 잃었다고 친구를 욕하는 나도 친구라고 할 수가 없습니다. 결혼을 하고, 선을 볼 때 나는 못났어도 상대는 인물 좋고 재산 많고 능력있는 사람을 고르려 합니다. 이것이야말로 이기주의의 극치지만 말로는 '사랑'이라고 합니다. 그런 것이 나쁘다..

너를 위한 잔소리

너를 위한 잔소리 세상에 잔소리 듣기를 좋아하는 사람이 있을까요? 없다는 걸 잘 알면서 우린 왜 잔소리를 할까요? 아이가 하는 행동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부모는 잔소리를 합니다. 우리가 잔소리를 할까 말까 갈등하는 것은 아이를 위해서가 아니라 안 하려니 답답하고, 하자니 아이랑 갈등하는 게 싫어서입니다. 잔소리를 해서 답답함을 푸는 사람도 그 부작용이 싫어서 참는 사람도, 표현은 다르지만 근본적인 행위는 똑같습니다. 내 화를 푸는 것이지요. ‘이게 다 아이 때문이다.’ ‘이게 다 아이를 위해서다.’ 문제를 아이에게 돌리는 한 해결책은 없어요. “아이가 저런다고 왜 내가 화가 날까?” 문제의 원인을 나에게서 찾아야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내 화를 푸는 게 잔소리인 줄 알면 상대를 위한다며 잔소리할..

진정한 자유

진정한 자유 진정한 자유란 뭘까요? 지금까지 맺어온 사람들과의 관계를 다 끊으면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요? 내 뜻대로 모든 일이 이루어지면자유로울까요? 하지만 우리가 살다 보면 예기치 못한 일이 벌어지고 그 일에 얽힐 수밖에 없습니다. 세상 일이 내 뜻대로 되지는 않아요. 내가 원하는 대로 다 이루어져서 자유로운 게 아니라, 원하는 대로 되지 않더라도 긍정적으로 해결해갈 때, 진정한 자유를 느낄 수 있습니다. 진정한 자유란 어떤 일이 일어났을 때 외면하고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능히 감당해 내는 것입니다. 우월감과 열등감 잘나고 싶은데 뜻대로 안되면 열등감에 사로잡히고, 자기 잘났다는 생각에 빠지면 우월 의식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예쁜 여자들이 얼굴에 열등감이 심하다고 합니다. 다 잘났는데 눈 하나 코 하나..

왜 말고 '어떻게'

왜 말고 '어떻게' 풀이 자라는 데 이유가 없고 토끼가 사는 데 이유가 없듯이 사람이 사는 데에도 특별한 이유가 없습니다. 그러니 “왜 사느냐?” 하는 것은 바른 질문이 아니고, “어떻게 살아야 하느냐?” 하는 게 바른 질문입니다. 삶이 즐거운지 괴로운지는 자기 마음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힘들다고 다 괴로운 게 아니에요. 군사훈련받느라 산에 올라갔다 오나 등산하러 산에 갔다 오나 육체적 고됨은 똑같습니다. 그런데 군사훈련하느라 산에 오르면 괴롭고 등산으로 산에 오르면 고되지만 즐거울 수 있습니다. 자신이 원해서 하는 일을 하면 힘들어도 즐겁습니다. 그러니 원하는 일을 하면서 살면 힘들어도 행복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공부를 안해요 지금까지 공부를 잘 하던 아이가 고3이 되어 갑자기 우울해하..

간섭하고 싶을 때

간섭하고 싶을 때 우리는 늘 남의 생각에 간섭하려 들어요. 상대에게 무언가를 말하거나 요구할 때 어떤 대답을 듣겠다고 미리 정해놓고 그의 눈치를 봅니다. 그러다 원하는 대답이 나오지 않으면 성질을 내고 토라집니다. 이제부터는 상대의 생각에 간섭하려는 마음을 내려놓고 가볍게 이야기해 보세요. 꽃이 피는 것도 제 사정이고, 지는 것도 제 사정입니다. 꽃이 피면 꽃을 보고 꽃이 지면 그만인 것처럼 무심히 보는 연습을 해보세요. 우리 아이가 말을 안 들어요 요즘 아이들, 말 참 안 듣죠? 하다 보면 태반이 자식들이 말 안 들어 고민이라고 해요. 그런데 원래 아이들은 말을 안 듣는 게 정상이에요. 그걸 문제 삼으면 안 돼요. 부모가 시키는 대로만 하면 그거야말로 부모의 노예죠. 말을 안 듣기 시작해야 자기 인생을..

단지 내가 사랑할 뿐

단지 내가 사랑할 뿐 결혼을 하면 상대가 나를 사랑해주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기기 때문에 서로가 힘들어지곤 합니다. 단지 내가 사랑할 뿐, 상대가 나를 사랑하고말고는 그 사람 몫이지 내가 요구할 수 있는 게 아니에요. 다만 그 사람을 좋아하고 사랑하니 내가 행복한 겁니다. ‘내가 사랑한 만큼 너도 나를 사랑해라.’ 이렇게 요구한다면 이것은 사랑이 아니라 거래입니다. 사랑을 가지고 거래하지 마세요. 사랑한 만큼 행복해지는 건 바로 나입니다. 가장 큰 경쟁력 저는 나이 들었지만 젊은 여러분보다 더 행복하고, 혼자 살지만 결혼한 사람보다 더 행복해요. 건강이 좀 안 좋지만 건강한 사람보다 행복하고, 해외에 나갈 때는 공항에서 침낭 펴놓고 자지만 호텔에서 자는 사람보다 더 행복합니다. 저의 가장 큰 경쟁력은 제가..

살아있는 행복

살아있는 행복 인생을 너무 잘 살아야겠다고 생각하면 지금의 인생이 초라해집니다. 인생은 그냥 길가에 풀 한포기가 나서 사는 것과 같습니다. 아침에 눈을 뜨면‘오늘도 살았네!’ 한 번씩만 외쳐 보세요. 살았다는 느낌보다 인간에게 더 좋은 에너지를 주는 것은 없습니다. 인생에 너무 많은 의미를 두지 마세요. 항상 현재에 살아야 합니다. 현재에 가장 중요한 것은 지금 살아있다는 것입니다. 불행한 이유들을 만들어서 움켜쥐고 있지 말고, 놓아버리고 살아있는 행복을 누리시면 좋겠습니다. 헤어져줘서 감사합니다 “5년을 사귀고 결혼까지 약속한 친구가 헤어지자는 문자를 보냈습니다. 그래도 잘 헤어지고 싶어 연락을 했더니 새로운 사람을 만난다고 해서 괴롭습니다.” 사람이기 때문에 육체적 고통은 피할 수 없지만 정신적 고통..

수행

수행 수행은 지금 바로 이 자리에서 행복한 것입니다. 수행이란 나도 좋고 남도 좋은 것, 지금도 좋고 나중도 좋은 것. 아무리 좋은 일을 많이 해도 자기가 괴롭다면 수행이 아닙니다. 수행의 길은 나도 기쁘고 세상에도 도움이 되는 길입니다. 수행은 연습이고 연습은 끊임없는 실수의 반복입니다. 연습하는 마음으로 오늘부터 수행하세요. 맺힌 마음이 열리고 힘이 생깁니다. 나는 나를 사랑하지 않는다 화내고 짜증내고 미워하고 슬퍼하고 외로워하는 것을 한 마디로 괴로움이라 합니다. 누가 나를 이렇게 괴롭힐까요? 내가 나를 괴롭히는 겁니다. 다시 말해 괴로워하고 있다는 것은 자기가 자기를 함부로 한다, 자기를 아끼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과음하다 알코올 중독이 되어 괴로워하는 사람이 어떻게 보입니까? 본래의 몸은 건강했..

인생에 실패는 없다

인생에 실패는 없다 어떤 일을 할 때 되느냐 안 되느냐는 그리 중요치 않아요. 일을 하기로 했으면 성공과 실패를 생각하지 말고 어떻게 하면 될까 연구해 봐요. 될까? 안 될까? 고민하는 것은 도움이 안 돼요. 안되면 이렇게 저렇게 해보는 것이 재미고 인생입니다. 어떤 일 하나만 가지고 죽을 때까지 해도 괜찮고 해보니 금방 이루어져서 죽을 때까지 수만 가지 일을 해도 돼요. 어떤 일을 한 번 해서 안 되면 세 번, 네 번, 계속해보세요. 실패할 때마다 ‘이 방법은 아니구나!’하고 새로운 방법을 찾다 보면 성공할 확률이 점점 커져요. 그래서 실패는 좌절이 아니라 성공의 어머니인 것입니다. 우린 돼도 일하고 안 돼도 일하며 삽니다. 자식을 보면 내가 보인다 아이 때문에 고민이 많으시죠? 제가 받는 질문의 상당..

세계에서 가장 큰 부자

세계에서 가장 큰 부자 세계에서 가장 큰 부자는 누구일까요? 대기업의 회장일까요? 아니면 중동의 석유 갑부일까요? 이 세계에서 가장 큰 부자는 만족할 줄 아는 마음을 가진 사람입니다. ‘적은 이익으로써 부자가 되라’는 말씀은 만족할 줄 아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아무리 많이 가져도 늘 부족하다고 헐떡거리게 되면 아주 빈곤한 사람이 되고, 비록 가난하지만 만족할 줄 알면 부자인 것입니다. 늘 무언가 부족하다 생각하고 뜻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좌절하며 더 가지기 위해 연연하기보다 이미 가지고 있는 것들을 돌아보세요. 만족하고 감사하는 마음은 삶을 풍요롭게 합니다. 존재의 이유 사람들은 존재의 이유가 뭐냐고 묻는데, 우리는 이유가 있어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존재하기 때문에 사는 이유를 찾는 겁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