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9.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9. 제9장 율법서-이스라엘의 언약 규정. 구약 성경 39권 중 단지 네권만이 육백 남짓한 계명들을 포함하고 있다.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그래서 이 책들은 율법서로 알고 있다. 물론 창세기를 포함해서 말할 수도 있다. 신약에서 실제로 구약 성경을 의미하면서 '.. 기독교 2010.08.30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10.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10. 제10장. 선지서-이스라엘 내의 언약 시행. 예언의 성격. 선지서들이야말로, 성경 가운데서 해석을 하거나 읽고 깨닫는데 가장 난해한 부류에 속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이유는 예언서의 역할과 형식에 대한 제반 오해들과 관련이 있다. 예언의 의미. 대부분의 사람.. 기독교 2010.08.30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11.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11. 제11장 시편 - 이스라엘의 기도와 우리의 기도 시편 해석의 문제는 주로 시편의 특성 - 시편이란 무엇인가? - 에서 나타난다. 시편은 기본적으로 기도와 찬송이기 때문에, 시편은 그 특성상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며, 찬송으로 하나님에 관한 진리를 표현하는 것이다. 하나.. 기독교 2010.08.30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12.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12. 제12장. 지혜서 - 과거의 지혜와 현재의 지혜. 구약은 세권이 '지혜서'로 알려져 있다. 전도서, 잠언, 그리고 욥기 등. 지혜의 특성. 정확히 지혜란 무엇인가? 지혜란 진리를 경험의 빛하에서 개인의 생활에 적용하는 훈련이다. 지혜 문학의 오용. 전통적으로 지혜서는 다.. 기독교 2010.08.30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13.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13. 제13장 요한 계시록 - 심판과 소망의 상징들. 요한계시록에는 천사, 나팔, 지진, 짐승, 용 그리고 심연의 구덩이로 가득 차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해석학적 문제는 본질적이다. 풍부하고 다양한 상징들이 있고, 그 중의 어떤 것은 다루기가 쉽지만, 어떤 것은 애매 모호하다.. 기독교 2010.08.30
성경의 참된 권위 확립을 위한 기초이론1. 성경의 참된 권위 확립을 위한 기초이론1. -월간 현대종교 95년 9월호 <나채운/장신대 대학원장> 그리스도인의 신앙생활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것은 성경에 대한 바른 이해이다. 여기서 '성경에 대한 바른 이해'란 첫째로는 성경의 내용, 즉 메시지에 대한 바른 이해를 가리키며, 다음으로는 성경 .. 기독교 2010.08.30
성경의 참된 권위 확립을 위한 기초이론2 성경의 참된 권위 확립을 위한 기초이론2. -월간 현대종교 95년 9월호 <나채운/장신대 대학원장> Ⅱ. 영감(靈感)과 원본에 대한 바른 이해 영감을 의미하는 헬라어는 데오프뉴스토스(theopneustos)는 데오스(theos, 하나님)와 프네오(pneo, 숨쉰다)의 합성으로서, 딤후3:16에만 나오는 낱말(소위 hapakslegomena).. 기독교 2010.08.30
성경의 참된 권위 확립을 위한 기초이론3 성경의 참된 권위 확립을 위한 기초이론3. -월간 현대종교 95년 9월호 <나채운/장신대 대학원장> Ⅲ. 사본에 대한 바른 이해 맨 처음 히브리어로 기록된 구약이나 헬라어로 기록된 신약성경의 원본은 참으로 유감스런 일이지만 오늘날 한 조각도 남아있지 않다. 그러나 한편 그 없어진 원본을 보고 .. 기독교 2010.08.30
성경의 참된 권위 확립을 위한 기초이론4 성경의 참된 권위 확립을 위한 기초이론4. -월간 현대종교 95년 9월호 <나채운/장신대 대학원장> Ⅳ. 역본에 대한 바른 이해 오늘날 대다수의 성경 독자들이 가지고 있는 성경은 각기 자기들의 언어로 번역된 성경이다. 원본은 없어졌지만 그 말씀은 사본을 통하여 전승되고, 우리는 그 사본을 우리.. 기독교 2010.08.30
성경의 참된 권위 확립을 위한 기초이론5. 성경의 참된 권위 확립을 위한 기초이론5. -월간 현대종교 95년 9월호 <나채운/장신대 대학원장> Ⅴ. 맹목적 보수신앙의 모순성과 위험성 이상에서 우리는 성경의 영감과 원본, 사본, 역본 등에 관한 중요한 점들을 고찰해 보았거니와 성경에 대한 바른 이해는 그 어떤 신학이론보다도 중요하다. 왜.. 기독교 2010.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