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를 사랑하는 법 (3) 교회를 사랑하는 법 (3) 팀 슈뢰더 캐나다 트리니티 침례교회 담임목사 (Dr. Tim Schroeder) 두 번째 특징은 우리에 의해 세워지는 교회라는 것 주님이 원하시는 교회의 두 번째 특징은 그것이 실제적인 세상 속에 세워질 뿐 아니라 우리에 의해 세워지는 교회라는 것입니다 그런 교회는 우리들이 받은 믿을 .. 기독교 2010.08.30
교회를 사랑하는 법 (4) 교회를 사랑하는 법 (4) 팀 슈뢰더 캐나다 트리니티 침례교회 담임목사 (Dr. Tim Schroeder) ★ 세 번째는 교회는 하나님에 의해 세워지는 것 세 번째이자 마지막 주제는 이것입니다 오늘날 부흥하고 번성하게 될 교회는 하나님의 의해 세워지는 교회입니다 그 교회는 세상 속에 세워지고 우리에 의해 세워.. 기독교 2010.08.30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1)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제1장. 서론. 해석의 필요성. 성경은 평범한 사람이 읽고 이해할 수 있는데, 오히려 설교자들이나 교사들 때문에 성경을 이해하는 것을 어렵고, 모호하게 만들 때도 있다. 물론 성경은 모호한 책이 아니다. 성경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오히려 성경에 .. 기독교 2010.08.30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2.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2. 제2장. 기본 참고서 - 좋은 번역 성경. 성경 66권은 원래 2가지 언어로 기록된 것이다. 히브리어(구약의 대부분)와 아람어(히브리어와 동족어로서 다니엘서의 절반과 에스라서 몇 장에서 사용됨), 그리고 헬라어(신약 전체)이다. 번역본으로 읽는다는 것은 곧 그 독자가 이.. 기독교 2010.08.30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3.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3. 제3장. 서신서 - 문맥에 따른 사고. 서신서는 비교적 해석이 용이하다. 그러나 해석이 용이하다는 점이 오히려 큰 함정이 될 수도 있다. 특히 해석학의 문제에서 더욱 그러하다. 고전 5장에서 악한 자를 내어 쫓으라는 바울의 말씀을 어떻게 적용시켜야 하는가? 이처럼 서.. 기독교 2010.08.30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4.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4. 제 4 장. 서신서-해석학적인 문제. 해석학적 문제는 과연 이 본문들이 우리에게 무슨 의미가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그런데 이 문제는 더 어렵다. 석의적인 문제는 비록 어떤 특정한 점들에 대해 의견들이 일치되지 않는 면이 있지만, 최소한 본문의 의미를 결정 짓는 요.. 기독교 2010.08.30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5.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5. 제5장 구약의 설화들 - 그 적절한 사용. 성경에는 설화(이야기, 역사 서술)들이 많다. 구약의 40%가 설화로 구성되어 있다. 구약이 성경 전체 부피의 3/4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성경 전체에서 가장 흔한 문학 형태가 바로 설화라고 해서 놀랄 일이 아니다. 우리는 성령께서는.. 기독교 2010.08.30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6.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6. 제6장. 사도행전 - 역사적 선례의 문제. 구약의 설화들을 읽을 때 우리는 도덕적인 교훈을 얻거나 풍유화시키거나 또는 본문 이면에 숨겨진 뜻을 알려고 하는 등등의 경향이 있다. 또 구약의 설화들이 우리들 자신의 삶을 위한 하나의 성경적인 선례가 된다는 생각은 거.. 기독교 2010.08.30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7.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7. 제7장 복음서 - 하나의 이야기, 다양한 면모들. 복음서도 보기에는 해석하기가 대단히 쉬워 보인다. 예수님의 가르침과 예수님에 관한 이야기 등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누구라도 논리상 한편으로는 서신서를 해석할 때 사용한 원리를, 다른 한편으로는 역사적 설화를 .. 기독교 2010.08.30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8.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8. 제8장 비유 - 비유의 요지를 알고 있는가? 간략한 비유 해석사. 예수께서는 비유를 말씀하신 목적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비유는 예수님의 측근들에게는 비밀을 담고 있는 것인 반면, 그렇지 못한 외방인들에게는 강퍅케 하는 것임을 암시하신 듯하다. 그러나 .. 기독교 2010.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