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국보 제73호 |
---|---|
명 칭 | 금동삼존불감(金銅三尊佛龕) |
분 류 | 유물 / 불교공예/ 장엄구/ 장엄구 |
수량/면적 | 1좌 |
지정(등록)일 | 1962.12.20 |
소 재 지 | 서울 성북구 (간송미술관) |
시 대 | 고려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전성우 |
관리자(관리단체) | 전성우 |
불상을 모시기 위해 나무나 돌, 쇠 등을 깎아 일반적인 건축물보다 작은 규모로 만든 것을 불감(佛龕)이라고 한다. 불감은 그 안에 모신 불상의 양식뿐만 아니라, 당시의 건축 양식을 함께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 작품은 높이 18㎝의 작은 불감으로, 청동으로 불감과 불상을 만들고 그 위에 금칠을 하였다. 불감 내부를 살펴보면 난간을 두른 사각형의 기단 위에 본존불과 양 옆에 보살상이 있으며, 그 위에 기둥과 지붕으로 된 뚜껑이 덮혀 있다. 법당 모양의 뚜껑에는 앞면과 양쪽에 커다란 창문이 있어서 안에 모셔진 불상을 잘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본존불은 얼굴이 추상적이고,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은 주름을 간략한 선으로 표현했다. 몸 뒤편에 있는 광배(光背)는 머리광배와 몸광배로 나누어져 있으며, 불꽃무늬로 가장자리를 장식하고 있다. 본존불 양 옆의 보살상도 구슬로 장식된 관(冠)을 쓰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형식이나 표현 수법이 본존불과 같다. 불감은 지금도 금색이 찬란하고 지붕에 녹청색이 남아 있는 등 전체적인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본존불의 긴 허리, 불규칙하게 나타나는 옷주름, 그리고 보살이 쓰고 있는 구슬로 장식한 관(冠) 등 여러 양식으로 보아 만든 시기는 중국 북방 계통의 영향을 받은 11∼12세기 경으로 추정된다. 이 작품은 고려시대 또는 그 이전의 목조건축 양식과 조각수법을 보여주는 귀중한 예라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한국의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75호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表忠寺 靑銅銀入絲香垸) (0) | 2014.01.01 |
---|---|
국보 제74호 청자압형수적(靑磁鴨形水滴) (0) | 2014.01.01 |
국보 제72호 금동계미명삼존불입상(金銅癸未銘三尊佛立像) (0) | 2014.01.01 |
국보 제71호 동국정운 권1, 6(東國正韻 卷一, 六) (0) | 2014.01.01 |
국보 제70호 훈민정음(訓民正音) (0) | 2014.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