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부 한국 교회와 현대 사회(1945-1999년) 제3부 한국 교회와 현대 사회(1945-1999년) 1. 분단 시대 출현과 교회(1945~1953년) 1-1. 해방 공간의 교회 해방은 한국사와 한국 천주교회사에서 현대의 기점이 된다. 한국이 해방된 8월 15일은 바로 ‘성모 승천 대축일'이었다. 이에 한국 교회는 해방을 성모 마리아의 선물로 해석하고 해방의 기.. 천주교 2019.02.16
5. 교회와 민족주의 운동(1876~1945년) 5. 교회와 민족주의 운동(1876~1945년) 5-1. 민족 운동에 대한 입장 교회는 우선 자신이 자리 잡은 지역에서 복음을 증거하면서 그 민족의 구원을 위해 봉사한다. 여기에서 교회와 민족의 관계가 성립하며, 이 둘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교회는 민족사의 전개와 일정한 관계를 맺고, 민족.. 천주교 2019.02.16
4. 천주교와 타 사상의 만남(1876~1945년 4. 천주교와 타 사상의 만남(1876~1945년) 4-1. 천주교와 전통 종교 개항기 한국 사회의 전통 종교 사상 가운데 유교의 존재가 우선 주목된다. 개항기 재야의 유교 지식인들은 외래의 시대 사조에 대항하여 척사 위정(斥邪衛正)의 논리를 재천명하였고, 이로써 유학은 제국주의의 침략을 반대.. 천주교 2019.02.16
3. 식민지 시대의 교회(1910~1945년) 3. 식민지 시대의 교회(1910~1945년) 3-1. 식민 통치와 선교 정책 외세의 침략에 대한 전 민족적 저항에도 조선은 1910년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가 되었다. 이 상황은 민족이 독립하는 1945년까지 계속된다. 이 기간 에 일제는 한반도에서 식민 정책을 집행해 나갔다. 그들은 식민 정책의 일환으.. 천주교 2019.02.08
2. 문호 개방기의 교회(1882-1911년) 2. 문호 개방기의 교회(1882∼1911년) 2-1. 교회의 성장 조선 사회는 문호 개방 이후 일대 전환기를 맞이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새로운 사회상의 여파는 천주교회에도 미치고 있었다. 곧 개항 이후 조선 천주교회는 1866년의 박해에 따른 파탄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프랑스 선교.. 천주교 2019.02.08
제2부 교회의 진로와 민족의 수난 -1. 시대의 변화와 교회의 선교 정책(1882-1911년) 제2부 교회의 진로와 민족의 수난 1. 시대의 변화와 교회의 선교 정책 (1882~1911년) 1-1. 신앙의 자유 19세기 후반에 접어들어 조선의 역사와 교회사는 운양호(雲揚號) 사건을 계기로 일대 전환을 맞게 되었다. 1876년 조선 왕국은 일본과 강화도 조약(병자 수호 조약)을 맺음으로써 외국에 문호.. 천주교 2019.02.08
3. 신자들의 생활 3. 신자들의 생활 3-1. 신앙생활 박해 시대 신앙의 핵심은 유일신 하느님에 대한 신앙이었다. 초기 교회의 신자들이 가지고 있던 유일신 하느님에 대한 신앙은 절대적 하느님의 존재에 대한 인식이었으며, 하느님 이외의 모든 존재를 상대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들은 당시 사회에서 절대.. 천주교 2019.02.08
2. 초기 교회사의 전개(1784∼1876년) 2. 초기 교회사의 전개(1784∼1876년) 2-1. 초기의 신앙 공동체(1784-1801년) 교회 창설 직후 복음 선교에 앞장선 인물로는 이승훈, 이벽, 권일신이 있다. 권일신의 제자인 이존창(李存昌, 1752~1801년)은 충청도 내포(內浦) 지방에서 복음을 선포하였고, 전주에서는 유항검(柳恒儉, 1756~1801년)이 신앙.. 천주교 2019.02.08
제1부 교회의 창설과 새로운 문화의 출연 (1794-1876년) 1. 교회의 창설 과정 제1부 교회의 창설과 새로운 문화의 출연 (1794-1876년) 1. 교회의 창설 과정 1-1. 교회 창설의 배경 한국 천주교회가 세워지기까지는 사실 오랜 준비 기간이 필요하였는데, 이 준비 기간에 비축한 힘은 당시 사회의 요청에 힘입어 스스로의 힘으로 교회를 세우는 원동력이 된다. 선교사의 도.. 천주교 2019.02.08
한국천주교회 초기부터 2000년까지 역사와 현황 -머리말 * 이 글은 한국 천주교회 총람(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4)에 실린 조광(고려대학교 교수)의 글입니다 초기부터 2000년까지 한국 천주교회의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았다. 머리말 제1부 교회의 창설과 새로운 문화의 출연 (1794-1876년) 1. 교회의 창설 과정 2. 초기 교회사의 전개(1784-1876) 3. 신자.. 천주교 2019.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