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주(鄭夢周, 1337~1392) 정몽주(鄭夢周, 1337~1392)는 1337년 경상도 영천에서 태어났다. 고려 인종∙의종 때 추밀원지주사를 지낸 정습명의 후손이지만, 이후 조상은 한직을 벗어나지 못했다. 어머니 이씨가 임신 중의 어느 날 꿈에 난초 화분을 안았다가 갑자기 떨어뜨리고는 놀라서 잠이 깬 뒤 그를 낳았다 하.. 인물과 역사 2015.06.11
조광조(趙光祖, 1482~1519) 조광조(趙光祖, 1482~1519)는 중종반정 후 조정에 출사, 유교적 이상정치를 현실에 구현하려는 다양한 개혁을 시도하였다. 시대를 앞서간 개혁정책은 기묘사화로 비록 물거품 되었으나, 그가 꿈꾸었던 이상사회는 이후 후학들에 의해 조선 사회에 구현되었다. 과연 그가 꿈꾸었던 이상사회.. 인물과 역사 2015.06.07
황희(黃喜, 1363~1452) 황희(黃喜, 1363~1452)는 누구에게나 청백리이자 명재상으로 잘 알려진 인물이며 조선조 최장수 재상이다. 그는 정치 일선에서 원칙과 소신을 견지하면서도 때로는 관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건국 초기 조선의 안정에 기여하였다. 오늘날에도 존경받는 조선의 최장수 재상 오늘날에도 그.. 인물과 역사 2015.06.07
김종서(金宗瑞, 1383~1453) 김종서(金宗瑞, 1383~1453)는 세종 때 6진 개척을 주도한 인물로, 그리고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 세력에 의해서 살해된 인물로 잘 알려졌다. 그러나 그는 300여 년이 지난 영조 대에 복권되면서 충의의 상징으로 우리에게 각인되고 있다. 16세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자신의 재주를 자부한 신동 .. 인물과 역사 2015.06.07
조선 제3대 왕 태종(太宗, 1367~1422, 재위: 1400~1418) 조선 제3대 왕 태종(太宗, 1367~1422, 재위: 1400~1418)은 새 왕조 개창기에 많은 공을 세웠음에도 불구하고, 정도전 등에 의해서 견제되었다. 제1차 왕자의 난을 계기로 재기에 성공한 그는, 그러나 왕위에 오르는 과정이나 왕위에 오른 뒤 계속된 피의 숙청을 단행하였다. 그러나 한편에서 보면.. 인물과 역사 2015.06.07
최영 안팎으로 혼란스럽던 고려 말, 최영(崔瑩, 1316~1388)은 밖으로는 외적의 침입을 물리치고 안으로는 고려왕실을 지키려 한 명장군이자 재상이었다. 그러나 그는 새로운 시대의 흐름보다는 기존의 질서를 고집했고 원∙명 교체기 급변하는 중국의 정세를 제대로 읽어내지 못했다. 그리고 .. 인물과 역사 2015.06.07
손병희(孫秉熙, 1861. 4. 8~1922. 5. 19) “우리가 만세를 부른다고 당장 독립이 되는 것은 아니오. 그러나 겨레의 가슴에 독립정신을 일깨워 주어야 하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꼭 만세를 불러야 하겠오” - 선생이 3.1 독립선언을 앞두고 천도교 간부들에게 다짐한 말 중 최시형의 뒤를 이어 동학 제 3대 교조로 취임 손병희(孫秉.. 인물과 역사 2015.05.31
만해(萬海) 한용운(韓龍雲, 1879. 8. 29 ~ 1944. 6. 29) 님은 갔습니다. 님은 갔습니다./아 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푸른 산 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여 난/작은 길을 걸어서 차마 떨치고 갔습니다. - 선생의 [님의 침묵]중에서(1926) 1905년 백담사에서 불교에 귀의 만해(萬海) 한용운(韓龍雲, 1879. 8. 29 ~ 1944. 6. 2.. 인물과 역사 2015.05.31
박열(朴烈, 1902. 2. 3~1974. 1. 17) 18세의 나이로 일본 동경으로 건너가 ‘흑도회’, ‘흑우회’ 등 항일 사상단체를 이끌어 온 선생은 1923년 관동대지진 당시 조선인학살의 와중에 일본국왕을 폭살하려 했다는 혐의로 구속되었다. 선생은 이에 따라 22년 2개월이라는장기간의 옥살이를 치러야 했다. 해방 후 선생은 신조선.. 인물과 역사 2015.05.31
이육사선생[본명 이원록, 1904. 4. 4(음력)~1944. 1. 16] 까마득한 날에/하늘이 처음 열리고/어디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모든 산맥들이 바다를 연모해 휘달릴 때도/차마 이곳을 범하던 못하였으리라(…)다시 천고의 뒤에/백마 타고 오는 초인이 있어/이 광야에서 목놓아 부르게 하리라. -선생의 시 ‘광야’ 중에서- 경북 안동 출신으로 신의와 .. 인물과 역사 2015.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