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220_0046.jpg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장곡리 장곡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과 대좌. 불신 높이 61㎝, 대좌 높이 1.65m.

 

충청남도 청양 칠갑산에 자리잡은 장곡사의 상대웅전 안에 모셔져 있는 불상으로 진리의 세계를 두루 통솔한다는 의미를 지닌 비로자나불을 형상화한 것이다.

삼각형에 가까운 작은 얼굴에는 긴 눈썹과 가는 눈, 작은 코와 입 등이 표현되어 불상을 무척 빈약하게 만들고 있다. 어깨는 넓지만 당당하지가 못하고, 가슴도 빈약하다. 옷은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만을 감싸고 있는데, 드러나 있는 오른쪽 어깨가 너무 소홀하게 처리된 느낌이다. 두 손은 가슴 앞에서 왼손 검지를 오른손으로 감싸고 있는데 이는 비로자나불만이 취하는 독특한 손모양으로 부처와 중생이 하나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 불상은 높은 석등대석(石燈臺石) 위에 결가부좌로 앉아 있다.

 

상체가 짤막하면서 얄팍하여 전체적으로 빈약하게 보인다. 이러한 특징은 얼굴에 잘 나타나고 있다. 삼각형에 가까운 둥근 얼굴에 긴 눈썹, 작고 좁은 눈, 빈약한 코(後補), 작은 입, 좁은 이마, 양감 없는 얄팍한 윤곽 등 전체적으로 무표정한 인상으로 체구와 걸맞다. 호분을 바르기 전의 모습은 단아한 인상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어쨌든 처음부터 빈약하였을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우견편단(右肩偏袒)한 상체는 짧은 편으로, 사각형의 몸통처럼 보이게 하였다. 가슴과 배는 밋밋하며, 어깨 역시 수평일 뿐만 아니라 허리와 가슴이 일직선으로 굴곡 없이 처리되었다. 그래서 반듯반듯한 사각형적인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결가부좌한 두 무릎 사이는 신체의 크기에 비하여 꽤 넓다. 하지만 두 발바닥이 좌우대칭으로 놓여 수평적인데, 무릎의 양감과 함께 체구의 특징을 나타내 주고 있다. 두 손은 지권인(智拳印)을 짓고 있으며, 조금 비스듬히 포갠 모양은 세련미가 없어 보인다.

 

우견편단의 옷은 대의만 보인다. 옷의 두께가 두껍지 않고 융기선이 비교적 유려하여 도식적인 처리는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체구의 빈약한 처리에 비하면 세련된 묘사이다. 이러한 특징은 등의 옷주름 선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왼쪽 어깨 위로 걸쳐 내린 한 자락은 자연스럽고, 오른쪽 옆구리로 휘감아 내린 대의의 옷주름은 규칙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대좌는 석등의 부재를 이용하였고, 광배는 원래의 것이 아닌 조선시대의 목조광배로 생각된다. 이 불상은 고려 전기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당대의 불상 양식 내지 재료의 특징을 잘 보여 주는 자료로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