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 보물 제172호 |
---|---|
소재지 |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485 봉암사 |
소재지 | 가은읍 봉암사 |
지정일 | 1963.01.21 |
수량/면적 | 1기 |
시대 | 고려시대 |
소유자 | 봉암사 |
관리자 | 봉암사 |
자료출처 및 참조 | 문화재청 |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봉암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탑비. 965년(광종 16) 건립. 비신높이 270㎝, 너비 139㎝, 두께 26㎝.
봉암사에 자리잡고 있는 고려 전기의 사리탑으로, 정진대사의 사리를 모셔놓고 있다.
정진대사(878∼956)는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활약한 승려로, 효공왕 4년(900) 당나라에 들어가 25년간 유학하고 경애왕 1년(924)에 돌아와 신라 경명왕의 극진한 예우를 받았다. 고려 태조 18년(935)에는 봉암사를 두번째로 크게 짓고, 불교의 중흥에 이바지하기도 하였다. 특히 고려 전기의 태조·혜종·정종을 선문(禪門)에 들게 한 장본인으로, 79세의 나이로 입적하자 왕은 ‘정진’이라는 시호와 ‘원오’라는 탑이름을 내리었다.
비는 거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머리돌을 올린 모습으로, 거북의 등 중앙에 마련된 비를 꽂아두는 부분이 두드러지게 커 보인다. 꼭대기에는 불꽃무늬에 휩싸인 보주(寶珠:연꽃봉오리모양의 장식)가 또렷하게 조각되어 우뚝 솟아있다.
고려 광종 16년(965)에 세워진 비로, 전체적인 조형이 간략화되었으며 조각 기법이 퇴화하였다. 비문은 당대의 문장가 이몽유가 짓고, 명필 장단열이 글씨를 썼다.
이수
비문일부
'한국의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174호 장곡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부석조대좌(長谷寺鐵造毘盧舍那佛坐像附石造臺座) (0) | 2015.06.21 |
---|---|
보물 제173호 망해사지석조부도(望海寺址石造浮屠) (0) | 2015.06.21 |
보물 제171호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鳳巖寺靜眞大師圓悟塔) (0) | 2015.06.19 |
보물 제170호 쌍봉사철감선사탑비(雙峰寺澈鑒禪師塔碑) (0) | 2015.06.19 |
보물 제169호 봉암사삼층석탑(鳳巖寺三層石塔) (0) | 2015.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