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 보물 제171호 |
---|---|
소재지 |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485 봉암사 |
소재지 | 가은읍 봉암사 |
지정일 | 1963.01.21 |
수량/면적 | 1기 |
시대 | 고려시대 |
소유자 | 봉암사 |
관리자 | 봉암사 |
자료출처 및 참조 | 문화재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봉암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부도. 높이 5m.
정진대사(878∼956)는 통일신라 효공왕 원년(897)에 개초사에서 수도한 후, 효공왕 3년(899)에 당에 다녀왔다가 경애왕 원년(924)에 귀속하여, 백암사를 거쳐 봉암사에 와서 이 절을 크게 번영시켰다.
그가 입적한 해인 956년(광종 7)과 탑비가 세워진 965년 사이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부도는 봉암사 경내에서 벗어나 사찰 입구 북쪽 산 중턱 가까이 능선 위에 건립되어 있어 산형(山形)의 배경과 아울러 경승지를 택하여 조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부도의 형식은 지대석(地臺石)부터 옥개석(屋蓋石)·상륜부(相輪部)에 이르기까지 8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한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의 기본형을 따르고 있다.
높은 8각의 지대석 상면에 낮은 각형(角形), 높은 원호(圓弧), 낮은 각형의 3단 굄을 마련하여 기단부를 받고 있는데, 기단은 통식대로 상대석(上臺石)·중대석(中臺石)·하대석(下臺石)으로 이루어졌다.
하대석은 2단으로 구성되었는데 높은 하단의 각 면에는 1구씩의 안상(眼象)이 조각되고 그 안에는 화형(花形)이 장식되었으며 상단에는 부연(副椽 : 탑 기단의 갑석 하부에 두른 쇠시리)이 있는 갑석(甲石)이 덮여 있다.
상면에는 운문(雲文)이 가득 조각된 높은 1단의 굄대가 있어 이 위에 상단을 받고 있는데, 상단 면석(面石)의 각 모서리에는 거의 원각에 가까운 원주형(圓柱形)을 모각하고 그 표면에 운문을 가득 장식하였다. 각 면에는 운문과 쌍룡문(雙龍文)을 조각하였으며 상단에는 역시 갑석형을 덮고 있다.
중대석은 8각의 각 면에 안상 1구씩을 조각하였는데 상하의 좌우에서 안으로 뻗은 화형이 강조된 특이한 형태이다. 안상 내에는 별다른 장식이 없고 앞면 1면에만 탁상의 사리합(舍利盒)과 보개(寶蓋)·보산(寶傘)·보주(寶珠)를 조각하였을 뿐이다.
상대석은 하면에 2단의 받침이 각출되었으며, 그 위로 복엽16판(複葉十六瓣)의 앙련(仰蓮)이 조각되었다. 이 상단에는 두툼한 갑석형을 덮고 그 상면에 높은 2단의 탑신 굄대를 마련하였는데 3단의 낮은 굄을 조출하여 받고 있다.
하단이나 상단 굄대의 각 모서리에는 난간을 돌리고 또한 각 면석에는 단주(短柱)를 세웠는데 하단은 1주씩이나 상단에는 2주씩을 배치하였다. 탑신석은 각 면에 양 우주가 모각되었으며 앞면에는 문호형(門戶形)과 자물쇠가 조각되었으나 다른 일곱면은 양 우주뿐으로 기단부 중대석과 같이 조식이 생략되었다.
옥개석(屋蓋石)은 하면에 3단의 받침이 각출되고 이에 이어 각형의 부연이 가늘게 조각되었다. 옥개석의 각 모서리 전각부(轉角部)에 이르면서 상향(上向)과 반전(反轉)이 심한데 전각에는 귀꽃이 조각되지 않았다.
낙수면은 정상에서 약간 급한 듯하나 차차 평박해졌으며 기왓골의 표시는 없고 굵직한 우동(隅棟 : 옥개석의 귀마루)만이 표현되었다. 옥개석 정상부에는 각 우동부에 1판씩 8판의 복련(覆蓮)을 돌리고 상륜부를 받고 있다.
상륜부는 현재 부재가 별로 남아 있지 않은데, 8판의 입상형앙련(立狀形仰蓮)이 화사하게 조식된 앙화석(仰花石)이 놓여 있고 그 위에 보륜 하나가 남아 있다.
이 부도는 양식상 같은 봉암사 경내에 있는 지증대사적조탑(智證大師寂照塔 : 보물 제137호)의 각 부를 많이 모방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같은 지역 내에 남아 있는 전시대 작품의 모든 양식과 수법을 따르는 일반적인 경향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그러나 이 부도를 자세히 보면 기본구성이나 조식에 있어 지증대사적조탑에 비하여 간략화의 경향이 보일 뿐만 아니라 각부 비례에 있어서도 높이에 비하여 너비가 좁아 고준한 느낌을 주며 옥개가 두꺼워 둔중한 감을 주고 있어 시대적인 변화를 볼 수 있다.
'한국의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173호 망해사지석조부도(望海寺址石造浮屠) (0) | 2015.06.21 |
---|---|
보물 제172호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鳳巖寺靜眞大師圓悟塔碑) (0) | 2015.06.19 |
보물 제170호 쌍봉사철감선사탑비(雙峰寺澈鑒禪師塔碑) (0) | 2015.06.19 |
보물 제169호 봉암사삼층석탑(鳳巖寺三層石塔) (0) | 2015.06.19 |
보물 제168호 경주천군리삼층석탑(慶州千軍里三層石塔) (0) | 2015.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