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3.jpg 학봉(鶴峰) 김성일(金誠一)의 묘제(墓祭)를 위해 건립된 재사(齋舍)로 건축연대는 확실치 않다. 본 재사 서편 약 50m쯤 상거(相距)한 위치에 있는 학봉 신도비(神道碑)의 건립연도가 숭정(崇禎)7년(1634)으로 되어 있지만 재사는 이보다 늦은 1700년대의 건축으로 추정된다.

본 재사는 학봉의 묘소가 있는 산하의 동편기슭에 동남향으로 배치되었다. 건물의 앞쪽은 밭이 넓게 전개되었으며 약 200m 전방에 도산서원(陶山書院)으로 통하는 국도가 보인다. 건물의 정면은 누(樓)다락집으로 되어 있으며 안채는 뒤쪽의 경사지를 이용하여 높은 터에 올려놓았기 때문에 안마루의 바닥높이가 누마루 바닥보다 높다. ㅁ자 재사의 5칸(間) 누다락 정면은 누하에 원주(圓柱)를 세우고 어간(御間)에 대문을 내었을뿐 양측의 전면은 토벽(土壁)으로 막았으며 안마당쪽을 개방하여 수장공간(收藏空間)으로 사용하고 있다. 누상(樓上)은 각주(角柱)를 사용하였고 우물마루 깔았으며 지붕가구는 삼량가(三樑架)로 제형(梯形) 판대공(板臺工)을 세웠다. 보밑에 깔아놓은 조각한 보아지는 수평으로 길게 뻗어나와서 무력한 감을 준다. 누마루의 정면과 좌측면 벽은 판벽(板壁)이며 매칸(每間)의 중앙에 양개(兩開) 널문을 내었고 안마당쪽은 개방하여 헌함을 설치하였다. 누하 어간(御間)의 대문(大門)을 들어서면 각변(各邊)이 3칸인 방형(方形) 중정(中庭)에 이르는데 정면에는 높이쌓은 자연석 축대위에 각주(角柱)를 세운 3칸 정면 대청이 설치되어 있다. 우물마루를 깔아놓은 대청의 상부가구는 삼량가(三樑架)로 제형(梯形) 판대공(板臺工)을 세워서 마루대를 올려놓았고 뒷벽에는 각칸(各間)의 중앙에 두짝열개 널문을 달았다. 대청 좌측의 마당쪽으로 나앉은 안방은 윗머리의 뒷방을 통해야 대청으로 직접 출입할 수 있어 동선처리가 석연치못한 감이 든다. 대청의 우측에는 2칸통으로 된 웃방과 마루방 1칸 ·사랑방 2칸이 차례로 배열되어 앞채의 누마루 측면과 직교하였고 안대청에서 누마루까지는 난간을 세운 쪽마루로 연결하였다.

이집은 전면에 누다락이 있는 ㅁ자 평면으로 된 재사의 일반적인 형식을 보이고 있으나 경사지를 이용하여 안채바닥을 누마루보다 더 높게 설치한 것이 눈길을 끈다. 간살이나 창호에 부분적으로 변형이 다소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중요민속자료 182-1

안채

.

중요민속자료 182-2

사랑채

.

중요민속자료 182-3

책방

중요민속자료 182-4

창고(광)

중요민속자료 182-5

창고

중요민속자료 182-6

창고

중요민속자료 182-7

아랫방채

중요민속자료 182-8

문간채

중요민속자료 182-9

안사랑채

중요민속자료 182-10

사당

중요민속자료 182-11

헛간

중요민속자료 182-12

변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