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4.jpg 고려(高麗) 삼태사중(三太師中)의 한 사람인 권행선생(權幸先生)의 묘제(墓祭)를 위한 재사(齋舍)다. 초창(初創)은 조선 효종(孝宗)4년 (1653) 관찰사(觀察使) 우가 종인(宗人)들과 논의하여 마루, 방, 곳간 등 16칸(間)을 건립하였고 그후 숙종(肅宗)9년(1683) 관찰사 시경(是經)이 누각(樓閣) 7칸을 추건(追建)하였다. 그러나 1743년의 화재로 건물이 전소(全燒)되어 중건(重建)하였고, 1896년 다시 화재를 만나 당시 70여칸의 건물중 임사청(任事廳) 전사청(典事廳) 등 수칸(數間)만 남기고 모두 없어진 것을 건양(建陽)1년(1896)에 다시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본 재사(齋舍)는 계곡을 따라 올라가는 길 좌측에 높은 축대를 쌓은 추원루(追遠樓)를 전면에 내세워 문루(門樓)를 삼았고 누문(樓門)안의 마당 건너 우뚝솟은 재사 큰채와 그앞 양쪽에 시립(侍立)한 동서재(東西齋)가 튼ㅁ자를 이루었다. 또 동재(東齋)의 우측에 임사청(任事廳), 전사청(典事廳), 주사(廚舍)가 마당을 중심으로 일곽을 이루고 있어서 전체 배치가 日자형으로 되어 있다. 추원루(追遠樓)(대문채)는 누하(樓下) 어간(御間)에 다락문을 내고 그 앞에 여러단의 자연석 계단을 설치하여, 출입하게 하였다. 누하주(樓下柱)는 8각주로 자연석 초석(礎石)위에 놓았고 통로의 좌우에는 일부 토재(土材)와 판재(板材)로 벽을 치고 수장처(收藏處)를 마련하였다. 누상(樓上) 원주(圓柱)의 공포는 주심포계(柱心包系) 이익공(二翼工)을 형성하였고 쇠서는 초각(草刻)과 봉두각(鳳頭刻)으로 조각되어 있다. 지붕가구는 오량가(五樑架)로 종보위에 제형(梯形) 판대공(板臺工)을 세운 윗몸에 첨차를 끼워 종도리(宗道里)를 받고 있다.

능동재사(陵洞齋舍)(사랑채)는 높은 잡석축대위에 자연석 초석놓고 방주를 세운 전퇴(前退)집이다. 원래는 2칸 대청을 중심으로 좌측에 방 2칸, 우측에 방 1칸을 둔 정면 5칸집 이었으나 좌단에 방 2칸을 첨가하여 규모를 증대시켰다. 대청 상부는 오량가의 연등천장으로 마감하였으며, 종보위에 제형 판대공을 세우고 그 윗몸에 첨차를 끼워서 종도리를 받고 있다. 동재(안사랑채), 서재(헛간채)는 각 3칸으로 서재는 방 2칸에 부엌 1칸, 동재는 방 2칸에 전사청마당으로 통하는 칸이 1칸 놓여있다. 임사청(별당)은 주사(안채)와 일곽을 이루며 북편의 축대 위에 배치되었는데 어간이 마루로 되어있고 좌우에 방을 1칸씩 들였다. 전사청(곳간채)은「공성재(供城齋)」란 편액(扁額)이 걸려 있는 정면 3칸집의 전면에 툇마루를 설치하고 그 뒤쪽에 수장고(收藏庫)를 3칸을 두었기 때문에 제기고(祭器庫)라고도 한다.

이 집은 구조적으로 주목할만한 건축물은 없으나 재사로서는 보기 드물게 큰 규모의 건물로 제례행사(祭禮行事)의 성대한 규모를 짐작케 한다.

 

중요민속자료 183-1

큰채

중요민속자료 183-2

주사

중요민속자료 183-3

보판각

중요민속자료 183-4

측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