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 중요민속자료 제169호 |
---|---|
소재지 | 경북 봉화군 봉화읍 해저리 485 |
소재지 | |
지정일 | 1984.01.10 |
수량/면적 | 일곽 |
시대 | 시대미상 |
소유자 | 김정진 |
관리자 | . |
자료출처 및 참조 | 문화재청 |
경북 봉화군 봉화읍 해저리마을의 오른쪽 깊숙한 곳에 우거진 뒷동산을 배경으로 남향하여 있는 집으로 조선 말기의 문신(文臣) 만회(晩悔) 김건수(金建銖)(1790∼1854)가 살던 집으로 그는 순조(純祖)30년(年)(1830)에 정시(庭試)로 등제(登第)한 후에 봉화현감(奉化 縣監), 김해부사(金海 府使) 등을 거쳐 승정원(承政院) 우부승지(右副承旨)까지 지냈다. 이 건물의 안채는 만회(晩悔)의 6대조가 이곳에 정착하여 선주(先住)하던 여씨(余氏)에게서 매입하였다 하는데 초창연대(初創年代)는 알 수 없다.
사랑채인 명월(明月) 누(樓)는 만회가 건립하였는데 철종(哲宗) 원년(1850)에 중수(重修)한 적이 있고, 안채 앞의 중문간채는 기울어져서 1981년 임시로 철거하였다.
이 집은 마을의 우측 깊숙한 곳에 숲이 우거진 뒷동산을 배경으로 남향하여 건물을 앉혔다. 골목어귀 수목 사이로 보이는 사랑채의 정면은 높은 축대 위에 서 있으며 우측에 돌출한 누각(樓閣)의 합각지붕 추녀 곡선은 날아갈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안채는 ㅁ형으로 남향하여 배치되고 그 앞에 一자 중문간채가 놓여져 튼ㅁ자를 이루고 있었으나 중문간채가 철거되어서 현재는 내정(內庭)의 남쪽이 터진 상태이다. 안채의 중앙은 3칸 대청(大廳)이 차지하였는데 어간(御間)의 기둥 간격이 양협간(兩夾間)보다 넓게 배치되어 있다. 대청 좌우의 익사(翼舍)에는 안방과 상방이 대칭적으로 배치되었는데, 좌측의 안방 위쪽 웃방은 바닥이 널마루로 되어 있으나 원래는 온돌방이었고 이 방에서 도장방을 출입하게 되어있다. 대청 우측에는 상방 위쪽에 장고방이 설치되어 있고, 마당쪽으로는 상방부엌을 건너 건넌방이 1칸 놓여져 있다. 안채의 구조는 잡석(雜石) 축대 위에 자연석 초석을 놓아 방주(方柱)를 세웠고 전면이 개방된 대청의 상부 가구(架構)는 삼량가(三樑家)로 제형(梯形) 판대공(板臺工)을 올린 간략한 구조다. 대청 뒷벽 각칸의 중방 하부(下部)에는 판벽(板璧)을 꾸미고 중앙에 양개(兩開) 널문을 내었는데, 여는 것과 다르게 쌍미닫이 널문으로 되어 있다.
사랑채는 전면주(前面柱)만 원주(圓柱)를 사용하였다. 정면 4칸중 좌측 3칸은 후면에 2칸통 사랑방과 사랑마루 1칸을 배설하고 전면에는 툇마루를 배치하며 기둥 밖으로 헌함을 설치하였다. 우측 1칸은 후면에 뒤쪽으로 길게 칸반 크기의 온돌방을 배설하고 그 뒤에 반칸 크기의 감실방을 두었다. 전면쪽은 누(樓)마루를 돌출시키고 외부쪽 3면벽을 판벽(板璧)으로 꾸며 두짝열개 울거미널문을 각각 설치하여 마루방처럼 꾸몄으며, 3면 판벽의 바깥쪽으로는 쪽마루를 뽑아서 헌함을 돌렸다.
안채는 조선 중기 건축으로 추측되며 안방과 사랑방 뒤쪽에 각각 수납공간을 두고 있는 경북지방 ㅁ자집의 고식(古式) 평면배치법이 통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대청 뒷벽의 양개(兩開) 널문이 미닫이로 되어있는 점도 흔치않는 예로 생각된다.
안채 (중요민속자료 제169-1호)
안채는 ㅁ형으로 남향하여 배치되고 그 앞에 일자(一字) 중문간(中門間)채가 놓여져 튼ㅁ자를 이루고 있었으나 중문간(中門間)채가 철거되어서 현재는 내정(內庭)의 남쪽이 터진 상태이다.
안채의 중앙은 3칸(間) 대청(大廳)이 차지하였는데 어간(御間)의 기둥 간격이 양협간(兩夾間)보다 넓게 배치되어 있다. 대청(大廳) 좌우의 익사(翼舍)에는 안방과 상방이 대칭적으로 배치되었는데, 좌측의 안방 위쪽 웃방은 바닥이 널마루로 되어 있으나 원래는 온돌방이었고 이 방에서 도장방을 출입하게 되어있다. 대청 우측에는 상방 위쪽에 장고방이 설치되어 있고, 마당쪽으로는 상방부엌을 건너 건넌방이 1칸(間) 놓여져 있다. 안채의 구조는 잡석(雜石) 축대 위에 자연석 초석(礎石)을 놓아 방주(方柱)를 세웠고 전면이 개방된 대청의 상부(上部) 가구(架構)는 삼량가(三樑家)로 제형(梯形) 판대공(板臺工)을 올린 간략한 구조다. 대청 뒷벽 각간(各間)의 중방 하부(下部)에는 판벽(板璧)을 꾸미고 중앙에 양개(兩開) 널문을 내었는데, 여는 것과 다르게 쌍미닫이 널문으로 되어 있다.
안채는 조선중기 건축으로 추측되며 안방과 사랑방 뒤쪽에 각각 수납공간을 두고 있는 경북지방(慶北地方) ㅁ자집의 고식(古式) 평면배치법이 통(通)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대청 뒷벽의 양개(兩開) 널문이 미닫이로 되어있는 점도 흔치않는 예로 생각된다
사랑채<청풍헌>(중요민속자료 제169-2호)
사랑채는 전면주(前面柱)만 원주(圓柱)를 사용(使用)하였다. 정면(正面) 4간중(間中) 좌측(左側) 3간(間)은 후면(後面)에 2간통(間通) 사랑방과 사랑마루 1간(間)을 배설하고 전면(前面)에는 툇마루를 배치(配置)하며 기둥 밖으로 헌함을 설치하였다. 우측(右側) 1간(間)은 후면(後面)에 뒤쪽으로 길게 간반(間半) 크기의 온돌방을 배설하고 그 뒤에 반간(半間) 크기의 감실방을 두었다. 전면(前面)쪽은 누(樓)마루를 돌출(突出)시키고 외부(外部)쪽 3면벽(面壁)을 판벽(板璧)으로 꾸며 두짝열개 울거미널문을 각각 설치하여 마루방처럼 꾸몄으며, 3면(面) 판벽(板璧)의 바깥쪽으로는 쪽마루를 뽑아서 헌함을 돌렸다
'한국의 문화,풍물,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요민속자료 제171호 가평리계서당(佳坪里溪西堂) (0) | 2015.05.21 |
---|---|
중요민속자료 제170호 거촌리쌍벽당(巨村里雙碧堂) (0) | 2015.05.21 |
중요민속자료 제168호 영덕충효당(盈德忠孝堂) (0) | 2015.05.19 |
중요민속자료 제165호 나주홍기헌가옥(羅州洪起憲家屋) (0) | 2015.05.19 |
중요민속자료 제164호 영암최성호가옥(靈岩崔成鎬家屋)) (0) | 2015.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