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민속자료 제24호 영천매산고택및산수정(永川 梅山 古宅 및 山水亭) 중요민속자료 제24호 영천매산고택및산수정(永川 梅山 古宅 및 山水亭) http://simjeon.kr/xe/40872 2010.01.30 23:42:50 종목 중요민속자료 제24호 소재지 경북 영천시 임고면 삼매리 1020 소재지 임고면 지정일 1970.12.29 수량/면적 일곽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정재영 관리자 정재영 자료출처 및 참조 문.. 한국의 문화,풍물,생활 2014.02.01
중요민속자료 제23호 양동서백당(良洞 書百堂) 중요민속자료 제23호 양동서백당(良洞 書百堂) http://simjeon.kr/xe/33043 2009.11.28 16:04:17 종목 중요민속자료 제23호 소재지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223 소재지 강동면 지정일 1970.12.29 수량/면적 일곽(5동)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손동만 관리자 손동만 자료출처 및 참조 문화재청, 한국민족문화.. 한국의 문화,풍물,생활 2014.02.01
중요민속자료 제10호 창녕술정리하씨초가(昌寧 述亭里 河氏 草家) 중요민속자료 제10호 창녕술정리하씨초가(昌寧 述亭里 河氏 草家) http://simjeon.kr/xe/36790 2009.12.23 10:07:59 종목 중요민속자료 제10호 소재지 경남 창녕군 창녕읍 술정리 29 소재지 창녕읍 지정일 1968.11.23 수량/면적 1동(85.6㎡)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하병수 관리자 하병수 자료출처 및 참조 문화.. 한국의 문화,풍물,생활 2014.02.01
중요민속자료 제8호 구례운조루(求禮雲鳥樓) 중요민속자료 제8호 구례운조루(求禮雲鳥樓) http://simjeon.kr/xe/7370 2009.05.29 22:02:50 종목 중요민속자료 제8호 소재지 전남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 103 소재지 토지면 지정일 1968.11.23 수량/면적 일곽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유홍수 관리자 . 자료출처 및 참조 문화재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전라.. 한국의 문화,풍물,생활 2014.02.01
중요민속자료 제5호 강릉선교장(江陵船橋莊) 중요민속자료 제5호 강릉선교장(江陵船橋莊) http://simjeon.kr/xe/33319 2009.12.02 16:39:22 종목 중요민속자료 제5호 소재지 강원 강릉시 운정동 431 소재지 운정동 지정일 1967.04.18 수량/면적 일곽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이강륭 관리자 이강륭 자료출처 및 참조 문화재청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상류.. 한국의 문화,풍물,생활 2014.02.01
명승 / 천연기념물 종 목 명 칭 소재지 사적 및 명승 제1호 경주불국사경내 경북 경주시 사적 및 명승 제2호 내물왕릉계림월성지대 경북 경주시 사적 및 명승 제3호 내성유곡권충재관계유적 경북 봉화군 사적 및 명승 제4호 속리산법주사일원 충북 보은군 사적 및 명승 제6호 부여구두래일원 충남 부여군 사.. 한국의 문화,풍물,생활 2014.01.30
보살상 좀 목 명 칭 소재지 관리자 국보 제78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국보 제81호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慶州 甘山寺 石造彌勒菩薩立像)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국보 제83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金銅彌勒菩薩半跏思.. 한국의 문화,풍물,생활 2014.01.30
마애불상 연번 종목 명칭 시대 소재지 관리자 1 국보 제84호 서산마애삼존불상瑞山磨崖三尊佛像 백제 충남 서산시 서산시 2 국보 제144호 월출산마애여래좌상月出山磨崖如來坐像 고려 전남 영암군 영암군 3 국보 제199호 단석산신선사마애불상군斷石山神仙寺磨崖佛像群 신라 경북 경주시 경주시 4 .. 한국의 문화,풍물,생활 2014.01.30
곤룡포와 익선관 곤룡포, 익선관의 용도 조선시대의 왕은 상복(常服)으로 익선관과 곤룡포, 옥대와 흑화를 착용하였다. 이를 왕의 시사복(視事服)이라고도 한다. 왕의 재위 기간 중에 가장 오랜 시간 동안 입었던 복장이다. 왕뿐만이 아니라 왕세자와 왕세손도 익선관복을 착용하였으며 명나라 황제나 대.. 한국의 문화,풍물,생활 2013.12.16
왕실 간택 복식 왕실 혼례에는 국왕의 왕비 혼례와 후궁 혼례, 왕세자의 혼례, 왕세손의 혼례, 대군과 왕자, 공주, 옹주 등의 혼례가 있었다. 흔히 가례(嘉禮), 길례(吉禮) 등으로 구분한다. 국가에 금혼령을 내리고 처자단자(處子單子) 또는 부마간택단자(駙馬揀擇單子)를 거둬들인 후, 초간택과 재간택, .. 한국의 문화,풍물,생활 2013.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