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재의 주요 작품들 겸재의 주요 작품들 금강산 - 金剛全圖, 金剛內山圖(3점), 海金江圖(2점), 正陽寺圖(4점), 萬瀑洞圖(4폭), 通天門巖圖(4점), 叢石亭圖(7점), 毘盧峰圖(2점), 穴望峰圖(2점), 金剛臺須彌塔圖(1점), 楓嶽畵帖(13점), 삼부연, 인왕산 - 인왕산도, 인왕제색도, 백운동도, 풍계임류도, 청송당동, 청풍계도.. 동양화,산수화 2014.01.08
단원 김홍도의 작품들 전문가들이 호랑이 그림 중 세계최고라고 하는 '송하맹호도(松下猛虎圖)" 송하맹호도(松下猛虎圖) 김홍도 비단에 채색 90.4x43.8cm 호암미술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극사실주의(極寫實主義)"로 표현한 이 그림은 수천 수만 번의 초인적인 집중력으로 호랑이의 털을세밀하게 표현한 점과 소.. 동양화,산수화 2014.01.08
혜원 신윤복의 작품들 신윤복 申潤福 1758(영조 34)~? 조선후기의 화가. 자는 입부(笠夫), 호는 혜원(蕙園). 본관은 고령(高靈). 화원(畵員). 벼슬은 첨정(僉正)에 올랐다. 혜원 신윤복은 정확한 생존시기가 알려져 있지 않은 화가이나, 김홍도로부터 영향을 받은 사람이다. 그러나 신윤복은 김홍도에게서 받은 영향.. 동양화,산수화 2014.01.08
가을 풍경 수채화감상 가을 풍경 수채화감상 김태흥" 정물 박유미" 기다림 신종식" 디스플레이 위한 우혜원" 창가 이경자" 가을 전성기" 정물이 있는 공간 동양화,산수화 2013.12.30
미술재료 / 한국화 한 국 화 동양화는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 오랜 옛날부터 그려온 전통적 화풍을 말한다. 서양 화풍과 구별되는 동양화를 중국에서는 중국화, 일본은 일본화로 부른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 발전한 독특한 동양적 화풍은 동양화로 호칭되다가 근래에 와서는 한국화로 즐겨 부르고 있다... 동양화,산수화 2013.12.22
이경노 화백의 한국화 모음 이경노 화백의 한국화 모음 작 품 명 : 무아<無我> 작품규격 : 변형20호(69cm x 45cm 약14.4호) 장 르 : 한국화 작 품 명 : 향수 작품규격 : 변형20호(68cm x 43cm) 장 르 : 한국화 작 품 명 : 삶에 서정 작품규격 : 10호(55cm x 45cm) 장 르 : 한국화 작 품 명 : 세월 작품규격 : 변형20호(68cm x 44cm 약13호) 장 .. 동양화,산수화 2013.12.22
난(蘭)의 운필법(運筆法) ▶난(蘭)의 운필법(運筆法) ■묵란(墨蘭)을 그릴 때는 마음을 가다듬고, 심신이 하나가 되게 하고 운필(運筆)에는 부드럽고 곡선적이면서도 기운이 있어야 한다. ■원(元)나라 각은(覺隱)이 "난을 그릴 때는 기쁜 마음으로 그리지 않으면 안된다" 고 하였다. 즉 잎을 그릴 때는 자유로운 운.. 동양화,산수화 2013.12.22
매화 운필법 매화 운필법 매화(梅花)의 운필법(運筆法) ■ 매화는 지형이나 그 종류에 따라 표현이 달라지는데 풍우(風雨)에 시달린 매화는 가지가 괴이(怪異)하고 꽃은 한산해야 한다. 이렇듯 매화를 그리는데는 크게 다섯 가지 요령이 있다. ■ 첫째는 체고(體古)라 하여 몸이 늙고 굽어 오랜 풍상을 .. 동양화,산수화 2013.12.22
대나무 운필법(運筆法) 운필법(運筆法) ■ 대나무를 그릴 때는 맑고 조용한 심경으로 그리며 때론 분노한 듯이 그려야 좋은 그림이 나온다. 즉, 대의 높은 품격을 느끼지 못하고 객관적 사물의 형태만 묘사한다면 훌륭한 작품이 안 나온다. 옛법을 익히고 대를 관찰하여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묵죽(墨竹)을 .. 동양화,산수화 2013.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