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화의 꽃 그리는 법 매화의 꽃 그리는 법 ■꽃은 꽃잎과 꽃술, 꽃받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꽃봉오리부터 대개 아홉 번 변한다 하여 구변(九變)이라 하는데, 꽃눈-꽃망울-망울을 터뜨린 것-피기 시작한 것-반쯤 핀 것-다 핀 것-활짝 핀 것-반쯤 핀 것-다 진 것으로 나눈다. ■꽃은 담묵으로 그리고 꽃술과 꽃받.. 동양화,산수화 2013.12.22
국화(菊花)의 운필법(運筆法) ▶국화(菊花)의 운필법(運筆法) ■국화는 꽃, 잎, 줄기, 뿌리로 구성되고 한 폭의 국화를 그리는 데는 우선 전체적인 구도를 생각해 두고 그 뜻을 필묵에 의탁해야 한다. ■꽃은 높은 것과 낮은 것, 좌향, 우향, 정향(正向), 배향(背向) 등이 서로 섞여 있으면서도 난잡하지 않고 가지는 서로 .. 동양화,산수화 2013.12.22
난꽃(蘭花)의 운필법 난꽃(蘭花)의 운필법 ■난꽃은 3장(三長) 2단(二短)의 화판(花瓣)과 화심(花心) 그것들을 받쳐주는 줄기와 꽃대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이와같이 화심을 뺀 나머지는 담묵(淡墨)으로 그리는데 먼저 바깥쪽에서 화심이 있는 쪽을 향해서 중심의 2변(二瓣)을 그리고 다음에 바깥쪽의 3번(三瓣).. 동양화,산수화 2013.12.22
동양화 수묵으로 감상하는 국화 동양화 수묵으로 감상하는 국화 산수화에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사군자 그림이다. 그것은 산수화를 그리는 화가들이 사군자를 그리며 그것은 산수화와 사군자가 不可分의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산수화와 마찬가지로 왜 이 네 가지의 식물을 불변의 소재(不變의 素材).. 동양화,산수화 2013.12.22
동양화 동양화 이인문(1745-1821)은 조선시대 후기의 화가로서, 본관은 해주(海州)이며, 자는 문욱(文郁), 호는 고송류수관도인(古松流水館道人) 또는 유춘(有春)이다. 도화서 화원으로서 첨절제사(僉節制使)라는 벼슬을 지냈다. 김홍도(金弘道)와 동갑으로 함께 도화서에 있으면서 친하게 지냈고, .. 동양화,산수화 2013.12.22
한국 삼대 묵죽화가 한국 삼대 묵죽화가 이정 이정(1541-1622)은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묵죽화가(墨竹畵家)이다. 자는 중섭(仲燮), 호는 탄은(灘隱)이다. 세종의 4세손이며 익주군(益州君) 이지(李枝)의 아들로서 석양정에 봉해졌다. 묵죽화(墨竹畵)에 있어서 그는 유덕장, 신위(申緯)와 함께 조선시대 3대 화가로 .. 동양화,산수화 2013.12.22
동양화(東洋畵) 읽는 법(法) *동양화(東洋畵) 읽는 법(法)* ◇ 동양화는 단순히 보는 그림이 아니라 읽는 그림입니다. ◇ 동양화는 그 그림을 감상하기에 앞서 그 그림이 나타내는 뜻(意味 의미)을 먼저 알아야 합니다. ◇ 동양화는 반드시 나타내고자하는 뜻이 있으므로 이치에 맞지 않거나 일정한 법칙이나 제한등을.. 동양화,산수화 2013.12.22
한국화 표현기법 용어 한국화 표현기법 용어 (1) 필묵법(筆墨法) 한국화의 경우 붓과 먹을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대상의 표현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붓에 묻힌 물기의 많고 적음에 따라 화면을 까실까실 하게도 하고 습윤하게도 한다. 마찬가지로 먹의 색깔도 검은색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큰 잘못이다. 이렇.. 동양화,산수화 2013.12.22
난초 그리기 난초는 깊은 산골짜기에서 자라며 잎의 고상한 운치와 꽃의 그윽한 향기가 좋아 예로부터 많은 사람들의 글과 그림에 애용되었다. 난은 봄에 피는 춘란과 여름,가을에 꽃이 피는 혜란으로 나누는데 종류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보통 한 꽃대에 한개의 꽃을 그리는 춘란과 여러개의 꽃을 .. 동양화,산수화 2013.12.22
매화 속의 철 학 매화 속의 철 학 '아치고절'(雅致高節)(우아한 풍치와 고상한 절개) 노영준.梅花 40號 매화는 이른 봄에 꽃망을 피웁니다. 모든 식물이 겨울의 위력에 숨죽이고 자신을 숨기고 있을 때 매화는 도도히 꽃을 피우기에 군자라 했지요. 인간 세계에 비유한다면 어떤 독재나 압력에도 굴하지 않.. 동양화,산수화 2013.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