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교양,역사

'공감'의 기적… '은둔 자녀'의 방문이 열렸다

문성식 2022. 7. 3. 11:07

'공감'의 기적… '은둔 자녀'의 방문이 열렸다

 
 

회유‧강요론 안돼… 상담 함께 받으며 '고독한 싸움' 도와야

 

침대에서 우울해 하는 여성
은둔하는 자녀를 둔 부모는 아이를 무작정 바깥으로 끌어내지 말고 아이가 은둔하게 된 이유에 공감부터 해줘야 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은둔은 당사자뿐 아니라 은둔 청년이 소속된 ‘가족’의 문제이기도 하다. 은둔형 외톨이가 그나마 자주 접하는 사람이 부모를 비롯한 가족 구성원이기 때문이다. 은둔 청년의 사회 복귀를 도우려면 부모가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
 
◇은둔 자녀도 ‘바깥 향한 갈망’ 있어
은둔형 외톨이엔 다양한 유형이 있다. 아르바이트하거나 PC방에 가는 등 간헐적으로 바깥을 오가는 자녀라도 은둔형 외톨이일 수 있다. 일산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민경 교수는 “가끔 밖에 나가는 은둔형 외톨이더라도 인적 드문 밤을 선호하는 등 외출 시간대나 장소가 제한돼있다”며 “외출 여부만 따지기보다 타인과 사회적 관계를 맺기를 회피하는지 봐야 한다”고 말했다. 본인이 자발적으로 고립을 선택했다고 주장하는 경우라도 은둔형 외톨이일 수 있다. 어떤 은둔형 외톨이는 바깥으로 나가고 싶다는 사실을 부정하곤 한다. 사회로 돌아갔을 때, 사람들 사이에 자연스레 섞여드는 데 실패할까 두려운 마음에서다. 그러나 은둔하는 자녀가 ‘난 이렇게 사는 게 좋다’고 말해도, 그 너머엔 바깥에 나가고 싶은 열망이 있다는 걸 부모가 알아줘야 한다.
 
은둔하는 자녀를 방 안에 무작정 내버려둬서는 안 되지만, 그렇다고 ‘사람 만나고 일도 하라’며 끌어내는 것이 답은 아니다. 마음의 준비가 되지 않은 채 섣불리 나왔다간 사회에 적응하지 못해 실패 경험만 얻어갈 수 있다.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정석 교수 역시 “바깥으로 나가기 두려워하는 사람을 강제로 끌고 나오면 사회 복귀는커녕 트라우마가 생길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은둔 청년을 지원하는 파이나다운청년들의 김혜원 이사장은 “은둔하는 자녀가 스스로 일어설 수 있을 때까지 천천히 기회를 주라”고 조언한다. 바깥에 나가 보겠다는 마음은 어느 날 갑자기 생기지 않는다. 이불 개기, 끼니 제때 먹기 등 사소한 목표를 반복적으로 달성하는 게 우선이다. ‘나도 무언가 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믿음이 생겼을 때, 밖에 나가볼 수 있겠단 용기도 생긴다.
 
◇은둔 자녀 이해하는 법부터 배워야
은둔하는 자녀에게 변화를 요구하기 전에, 부모부터 변해야 한다. 은둔 청년 대부분은 양육자를 포함한 타인과의 대화를 거부한다. 이들이 처음부터 그랬던 것은 아니다. 오랜 우울과 불안으로 속마음은 곪아 터졌는데, 그걸 헤아려 주기는커녕 나오라는 채근만 듣다 보니 소통하길 단념한 것이다. 남들의 눈엔 보이지 않아도 은둔 청년은 매일 고군분투한다. 나가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은데 방법을 찾지 못한 탓이다. 여기에 대고 ‘네가 돈 걱정이 없으니까 집에만 있지’라고 말하는 건 상황을 악화시킬 뿐이다. 이해받지 못한다고 생각한 은둔 청년이 대화의 창을 더 닫아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도무지 아이의 입장이 돼보기가 어려운 양육자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방 안에만 은둔하는 아이와 달리, 부모는 바깥을 자유롭게 오갈 수 있어서 심리상담사 같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기도 쉽다. 제삼자의 조언을 통해 잘못된 대화법을 교정해나가는 게 기다림의 시작이다. 부모가 먼저 아이를 이해하면 은둔하는 자녀가 쌓아올린 벽도 조금씩 허물어진다. 시간과 공간이 한정적이라도 외출할 수 있는 은둔 청년이라면, 꾸준히 바깥에 나올 수 있도록 지지해줘야 한다. 바로 병원이나 상담소를 방문하지 않더라도, 하루에 한 번 하늘 보기나 바깥 걷기 같은 간단한 행동을 계속 실천하는 게 중요하다. 김혜원 이사장은 “아이의 마음이 준비되지 않았는데 부모가 계속 치료받자, 상담받자 권하는 것은 은둔 기간을 길어지게 만들 뿐”이라며 “‘네가 힘든 건 알겠는데’ 하는 피상적 공감에 그치지 말고, 지금 가장 힘든 것은 은둔하는 당사자라는 걸 이해해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부모가 먼저 상담사 찾는 것도 방법
은둔하는 자녀를 반강제로 병원이나 상담소에 끌고 가는 것도 좋은 방법은 아니다. 김민경 교수는 “은둔 청년 대부분은 병원에 자발적으로 오지 않는다”며 “부모가 ‘치료 받으면 이거 해 줄게’라고 회유하거나 ‘치료 안 받으면 경제적 지원을 끊겠다’고 엄포를 놔서 방문한다”고 말했다. 문제는 회유나 협박이 먹혀서 병원에 방문할 가능성보다 역효과가 날 위험이 더 크단 데 있다. 은둔형 외톨이에게 병원이나 상담소 방문은 동물이 도살장에 끌려가는 것만큼이나 무서운 일이다. 마음의 문이 열리지 않은 상태에서 섣부르게 치료를 권유했다간 방 안에 틀어박히는 시간만 길어질 수 있다. 외출이든 치료든 지속해서 이어져야 효과가 크다. 그러나 외부의 손에 끌려나온 은둔형 외톨이는 병원을 주기적으로 방문해 치료받기도 쉽지 않다.
 
상담받자는 말도, 병원 가자는 부탁도 하기 어렵다면, 부모는 자녀가 은둔하는 시간을 어떻게 버텨야 할까? 김혜원 이사장은 자녀에게 치료를 제안하는 대신 부모가 상담사를 찾으라고 권한다. 자녀의 은둔은 부모에게도 큰 불안과 스트레스를 준다. 초조한 마음에 상담이나 치료를 받아보라며 아이를 닦달하지 않으려면, 부모 역시 아이의 은둔 기간을 버틸 ‘지구력’을 길러야 한다. 김혜원 이사장은 “부모가 은둔 청년에게 계속 치료나 상담을 권하는 건 부모 역시 불안하기 때문”이라며 “그 마음을 아이에게 풀지 말고, 심리상담사를 찾아서 ‘우리 아이가 왜 저러는 걸까요’‘저는 어떻게 해 줘야 할까요’ 털어놓으며 해소하라”고 조언했다. 은둔 청년이 스스로 바깥에 발을 내딛는 건 내 마음을 누군가 이해해준다는 확신이 생겼을 때다. 상담사와 대화하다 보면 스트레스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고, 그 과정에서 본인이 아이의 어떤 점을 받아들이지 못했는지 발견하기도 한다.
 
은둔을 끝내는 건 결국 은둔하는 당사자에게 달려있다. 본인이 원해서 바깥으로 나와야 사람들 속에 계속 머무를 수 있기 때문이다. 타인의 회유와 강요에 못 이겨 나왔다면 또다시 은둔 상태로 되돌아가기 십상이다. 바깥에 나가고 싶단 마음은 문밖에 날 이해해주는 사람이 하나라도 있을 때 생긴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든, 아이와의 지난 관계를 스스로 성찰하든, 부모가 나서서 그 사람이 돼줄 때 은둔형 외톨이의 사회 복귀도 앞당겨진다. 김혜원 이사장은 “아이에게 의지가 생길 때까지 무조건 아이와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만 집중하고, 힘들다면 부모가 심리 상담을 받으며 버티시라”고 말한다. 아이가 자신과의 싸움을 끝낼 때까지 묵묵히 이해하고 감싸주는 게 부모의 역할이다. 그럼 언젠가는 스스로 방문을 열고 나올 날이 온다.
=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이해림 헬스조선 인턴기자 =
 

'시사 ,교양,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년기의 위기  (0) 2022.07.05
노년기의 적응과제  (0) 2022.07.05
'은둔 청년' 12만 명... '그들의 좌절' 끊을 방법 있다  (0) 2022.07.03
한국 지폐 변천사  (0) 2019.01.06
대한제국 황실-순중황제  (0) 2019.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