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문화,풍물,생활

한옥의 미학 4

문성식 2010. 8. 29. 03:01

물아일체

한옥의 노장사상, 비움과 3무사상

노장사상은 좁게는 유교의 사회참여에 반대해서 생긴 사상이며 크게는 인간의 물욕을 경계하는 가르침을 주요 내용으로 갖는다. 물질, 명예, 경쟁, 승리 같은 성공 일변도로 편성된 사회적 상식의 허점을 찾아내 이런 것들이 얼마나 인간을 힘들게 만들고 피폐화시키는 부질없는 것인지를 지적하면서 여기에서 벗어날 수 있는 지혜를 가르친다. 몸과 마음을 갉아먹으면서 얻어내는 물질과 성공의 이득보다 많은 것을 과감히 포기하고 얻는 마음의 평화가 훨씬 남는 장사라는 가르침이다. 존재에 필요한 최소한의 물질만 갖추면 그 경계선을 넘지 않아야 마음의 평화를 유지할 수 있다고 가르친다. 이런 교훈의 스승으로 자연을 꼽아서 자연의 도의 원리를 닮고 따르도록 했다. 달리 보면 인간의 물욕의 주요 대상 역시 자연이기 때문에 자연을 정복대상이 아닌 스승으로 삼는 태도는 물욕을 경계하는 주요 전략이기도 했다.

 

노장사상이 한옥에 끼친 영향은 공간, 재료, 기예의 세 방향으로 요약할 수 있다. 공간에서는 비움의 미학이 대표적 예인데, 이것을 낳은 노장사상으로 무위, 무형, 무용의 3무사상을 들 수 있다. 무위란 ‘무위이무불위(無爲以無不爲)’의 약자로, ‘아무 것도 하지 않지만 하지 않는 것이 하나도 없다’내지는 ‘아무 것도 하지 않아야 하지 않는 것이 하나도 없다’라는 뜻이다. 무위에 이르는 구체적 전략으로 외관의 형상에 집착하지 말라는 무형과 쓰임새 같은 이기적 목적에 집착하지 말라는 무용을 들었다. 무형과 무용을 ‘무위이무불위’에 적용시키면 ‘형태를 버려야 진정한 형태에 도달할 수 있으며’, ‘쓰임새를 버려야 진정한 쓰임새를 얻을 수 있다’가 된다. 무엇인가를 잘해야 하고 형태를 잘 만들어내야 하며 확실한 쓰임새를 제시해야만 성공한 사람이고 좋은 집이라는 사회적 상식을 뒤집는 개념이다. 이것을 한옥에 적용시키면 집과 공간의 본질을 벽이 짓는 형상에 두지 않고 벽과 벽 사이의 진공상태에 둔 것이 된다. 한옥의 공간 특징을 얘기할 때 첫 번째로 꼽을 수 있는 비움의 미학에 해당된다.


소쇄원 제월당 돌덩어리 하나와 나무토막 하나를 오르는 즐거움으로 만족할 수 있다면 노장사상의 탈물과 승물을 몸에 익힌 것이 된다.

  

 

탈물과 승물


무위, 무형, 무용을 재료에 적용시키면 탈물, 나아가 승물의 개념이 된다. 말 그대로 물질에 대한 욕심과 집착에서 벗어나라는 가르침이며 이것만이 물질과의 싸움에서 승리하는 유일한 길이라는 가르침이다. 사람이 물질에 대해서 가질 수 있는 관계는 친하게 잘 어울리는 것과 취해서 얻으려는 것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물질과 끝없는 경쟁관계에 빠지게 된다. 물질은 얻으면 얻을수록 만족하지 못하고 더 가지고 싶어지게 되는데 이것을 물질과 경쟁관계에 빠지게 되기 때문이다. 단순히 필요한 것을 충족시키고 말고만 기준으로 삼는다면 가질수록 끊임없이 더 원하는 악순환에 빠져들 이유가 없는 것이다.

 

김동수 고택  휜 나무가 부족해 보이지 않고 흥겨워 보인다면 이형과 거지의 경지에 오른 것이다.


다분히 심리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것인데 물질을 취하는 것이 물질과 다퉈 이기려는 경쟁관계로 변질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욕의 덫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이런 경쟁관계에서 승리해야 하는데 그 유일한 길은 물욕에서 벗어나는 길뿐이다.

 

이것을 재료에 적용시키면 자연재료를 가급적 손대지 말고 그대로 두라는 가르침이 된다. 왜 그럴까. 자연재료는 사람이 취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물질 가운데 하나이다. 이것 자체가 돈이 될 수도 있지만 이것을 이용해서 각종 산업을 일으키고 집을 짓게 되는데 이런 행위들은 모두 경제행위에 해당된다. 자연재료에 손을 댄다는 것은 돈벌이의 대상으로 본다는 것이고 따라서 손을 대면 댈수록 더 손을 대고 싶어진다. 자연재료를 물욕의 대상으로 보는 순간부터 자연재료는 단순히 엉덩이 한 구석에 붙이고 맘 편하게 쉴 보금자리를 지어주는 건축부재의 범위를 넘어서서 투기와 경쟁의 대상으로 변질된다.

 

우리 조상은 이런 위험성을 경계했다. 물론 조선시대 양반들의 축재와 착취는 도를 넘어 과도한 경우도 많았지만 거꾸로 생각하면 집을 통한 이런 가르침이라도 있었기에 그 정도에서 멈춘 것일지 모른다. 승물은 물론 도교에서 나온 생각이지만 유교냐 도교냐 구별하는 것보다 이런 경계의 가르침이 더 중요하다고 본 것이다. 이 부분은 도교와 유교가 공통점을 공유할 수 있는 점이기도 하다. 도교의 비움의 미학과 승물의 개념을 합하면 한옥의 정수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런 상태는 유교에서도 유사하게 정의하고 있다. 맹자의 ‘신(神)’ 개념이다. 맹자는 개인 인격, 나아가 사물의 존재 상태에 대한 평가를 선, 신(信), 미, 대, 성, 신(神)의 여섯 가지로 구별했는데 신(神)은 이 가운데 제일 마지막 단계이다. 비인위성과 변화무궁함을 그 특징으로 가지며 명확히 사람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아서 가히 좇을 만한 규율이 있는지 알기 어려운 상태라고 했다.

 

 

물아일체, 이형, 거지

승물을 기술 개념에 적용하면 물아일체가 된다. 건축에서 기술을 사람에게 편리한 쉼터를 제공하기 위해 재료를 다루는 행위로 본다면 여기에도 물질을 바라보는 태도가 기본으로 깔리게 된다. 기술은 어쩔 수 없이 대상으로서의 물질을 나의 입장에서 나의 이익을 위해 다루는 것이 되지만 문제는 정도의 차이가 된다. 노장의 가르침에 따르면 재료는 나의 솜씨와 재주를 뽐내는 장으로 여기는 것과 재료를 물욕의 대상으로 삼아 집을 통해 부를 축적하려는 것은 같은 것이 된다.

 

둘 모두 물질을 오로지 나의 욕심만을 위한 것으로만 보는 점에서 같기 때문이다. 결국 기술을 재료를 완전히 나의 손아귀에 넣고 내 마음대로 하려는 것으로 정의한다면 물질과 나, 즉 물아 사이에 대립과 갈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승물과 반대로 가는 것이 된다.

 

승물의 지혜를 구현하는 길은 재료와 나를 일치시키는 물아일체가 해답이다. 재료를 온전히 내 마음대로 다루려고 하면 재료와 경쟁관계에 빠진다. 아무리 잘 다듬고 치장을 해도 항상 결핍을 느껴서 또 손질을 가하게 된다. 재료를 재화를 축적하는 수단으로 보면 만족하지 못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예술을 이상미와 여기에 이르는 직능 개념으로 정의한 서양식 기준에서는 이런 결핍이 문화와 기술을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지만 노장사상에서는 반대로 본 것이다. 잘 살자고 집을 지어놓고도 물욕의 악순환에 걸려들어 몸과 마음을 망치는 일이 허다한데 이렇게 되지 않기 위해서는 물아일체를 실행하라고 가르친다.

 

주의를 요하는 대목이긴 하다. 노장 사상은 어느 정도 허무주의를 바탕에 까는 것이 사실이다. 문명 전반에 전면적으로 적용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도 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류의 긴 역사를 볼 때 어느 시대이고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물욕이 주류가 아닌 시대는 없었다. 산업화 시대인 최근의 100~200년은 더 그렇다. 이렇게 볼 때 노장사상은 문명의 주류로 등장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원시주의로 돌아가자는 극단적 주장으로 들릴 수도 있다. 반면 부분적 적용과 치유에는 큰 교훈이 될 수 있다. 물론 노장사상에서 제시하는 경계의 경계선과 이것을 일상생활에서 실천에 옮기는 한계 사이에는 괴리가 있을 수도 있지만, 하루하루 물질과 관계된 크고 작은 여러 가지 결정을 할 때마다 물아일체의 가르침을 떠올리면 지나친 물욕에 빠져 허우적대는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태준 고택 공교로운 손재주를 멀리하고 재료의 본성에 충실해서 깎은 수공예 디테일은 노장의 물아일체를 실현한다.

 

다시 한옥의 기술 개념으로 돌아와서, 승물과 물아일체를 구현해낸 상태를 노장에서는 이형(離形)과 거지(去知)의 지경이라 불렀다. 이형이란 형태를 떠났다는 뜻이고 거지란 지식을 멈추었다는 뜻이다. 건물의 의미와 가치를 외부 형태나 이를 이루는 물질에 두지 말 것이며 건물을 사용하고 감상할 때 지식으로 판단하고 생각으로 판정하지 말고 마음과 감각으로 하나 되라는 가르침이다. 이런 가르침은 되돌아 비움의 미학과도 일맥상통한다. 공간을 비움으로 정의하면 사용자에게 강요하는 바가 없게 되어 사용자와 공간 사이의 체험적 일체감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안동권씨 능동재사 제 필요한 곳에 낸 문만으로 구성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면 노장의 ‘무위이무불위’의 교훈을 깨친 것이 된다.

 

 

 

 

글·사진 임석재 / 이화여대 건축학과 교수
동서양을 막론한 건축역사와 이론을 주 전공으로 하며 이를 바탕으로 문명비평도 함께 한다. 현재까지 37권의 저서를 집필했다. 공부로 익힌 건축이론을 설계에 응용하는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jyimis@empas.com

 

 

 

 

'한국의 문화,풍물,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옥의 미학 6  (0) 2010.08.29
한옥의 미학 5  (0) 2010.08.29
한옥의 미학 3  (0) 2010.08.29
한옥의 미학 2  (0) 2010.08.29
한옥의 미학 1  (0) 2010.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