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문화,풍물,생활

한옥의 미학 1

문성식 2010. 8. 29. 02:52

담과 기단

담과 기단은 목재 구조인 한옥에서 돌이 주인인 드문 영역이다. 목재가 선형 부재인 기둥으로 드러나는 것과 달리 돌은 면이나 입체로 쌓이기 때문에 재료에 대한 태도를 더 명확하게 드러낸다. 담과 기단에 드러난 돌의 미학은 자연재료의 고유성을 최대한 살리자는 것이다. 도시형 한옥이나 왕실 한옥이 아니라면 거의 모든 한옥의 담과 기단은 막쌓기로 쌓는다. 다듬어지는 돌도 힘들고 다듬는 사람은 더 힘든데, 도대체 돌을 똑같은 크기와 모습으로 다듬어야 하는 이유는 사실 없다.

 

위험해 보이지만 사실은 더 안정적이다. 자중에 의한 마찰력 때문이다. 자기들끼리 비벼대고 조이고 끼어서 아주 튼튼한 담을 만든다. 돌이 크기와 형태가 같아지면 오히려 홀로 서지 못해서 접착제가 필요해진다. 접착제가 튼튼하지 않으면 가지런히 쌓은 담이 오히려 먼저 무너진다. 세계에서 돌쌓기에 마찰력을 이용하는 민족은 그리 많지 않다. 노장사상의 탈물과 승물의 교훈을 제일 잘 보여주는 장면이다.

 

 

소쇄원 한옥의 담은 보통 막쌓기로 쌓는데 돌 사용이 드문 한옥에서 한국인의 돌의 미학이 잘 드러나는 곳이다. 자연재료를 가급적 본래 개성에 맞게 활용하는 지혜이니 노장이 가르친 탈물과 승물이 구현되는 곳이다.

 

 

역학적으로 이럴진대 모양도 마찬가지이다. 가지런히 쌓은 돌은 한국인 특유의 장난기나 상대주의 국민성에 견주면 심심하고 단조로울 뿐이다. 지루하고 싫증나서 견디기 쉽지 않을 테다. 들쑥날쑥, 울퉁불퉁 거려야 “담 좀 쌓았네” 싶다. 이런 버릇은 고스란히 남아서 심지어 왕실 한옥에서조차 담은 한 종류로 놔두지를 않는다. 땅과 닿는 맨 아래는 그런 곳이니까 큰 돌로 든든하게 방어를 친다. 그 바로 위는 억센 주먹 하나쯤 되는 정사각형을 쌓고 다시 그 위에 옆으로 긴 벽돌을 쌓는다. 벽돌조차 한 가지로 놔두지 못하고 위로 갈수록 작아진다. 전체를 보면 구성미와 어울림이 뛰어나다.

 

기단은 원래 땅의 덥고 찬 기운과 습기에서 집을 보호하기 위한 실용적 목적에서 쌓은 것이지만, 조형적으로 활용하기에 좋은 기회임을 놓치지 않는다. 왕실 한옥의 기단은 장대석을 가지런히 쌓지만 나머지는 정승 댁일지라도 막쌓기가 보통이다. 그래서 재료에 대한 태도는 담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담에는 없는 추가 기능도 있다. 건물 전체를 높은 무대 위에 올려놓는 인위적 과시 기능, 댓돌, 문, 퇴 등과 어울려 휴먼 스케일의 자잘한 척도 변화를 일으키는 기능, 심심할 뻔했던 넓은 마당에 영역을 가르는 기능 등이다.

 

 

 

글·사진 임석재 / 이화여대 건축학과 교수
동서양을 막론한 건축역사와 이론을 주 전공으로 하며 이를 바탕으로 문명비평도 함께 한다. 현재까지 37권의 저서를 집필했다. 공부로 익힌 건축이론을 설계에 응용하는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jyimis@empas.com

 

 

 

 

'한국의 문화,풍물,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옥의 미학 5  (0) 2010.08.29
한옥의 미학 4  (0) 2010.08.29
한옥의 미학 3  (0) 2010.08.29
한옥의 미학 2  (0) 2010.08.29
아름다운 한국  (0) 2010.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