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한국에 불교는 언제 들어왔습니까?

문성식 2010. 8. 24. 14:00

출처 다음 카페 행복이 머무는 샘터

첨부이미지



한국에 불교는 언제 들어왔습니까?


고구려 소수림왕 2년 서기 372년 순도 스님에 의하여 고구려
에 불교가 처음들어오고,
백제는 침류와 원년 서기 384년 마라난다에 의하여 전해졌고,

신라는 법흥왕 4년 서기 527년 묵호자 스님에 의하여 처음
불교가 들어 왔다
-----------------------------------------------------------
불교가 우리 나라에 끼친 영향을 간단히 말씀하여 주십시오.

1. 정신적으로 모든 국민의 문화창조를 획책하고 총화단결을
   촉진하여 삼국통일의 기틀을 마련하였고,
2. 민족문화 건설에 크게 이바지하였으며,
3, 외교와 복지국가건설에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
한국불교의 과제와 현실


종교가 개인의 구원과 내적 수행에 과도하게 집중하였던
몇 세기를 보내면서 개인구원 못지 않게 사회적 사명의 완수
를 위해서도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었다.

모든 개인들은 서로의 관계에서 단절될 수 존재임을 심각히 받아들이기 시작한 것이다.

불교의 연기론에 의하면 모든 것은 절대 독립적일 수 없으며
끊임없이 주고 받는 연관관계 속에 존재할 수밖에 없다고
한다.

그러므로 한 개인의 행복은 다른 사람의 불행을 담보로 얻어
질 수 있는 것도 아니며, 깨달음마저도 그 사회의 병폐가 남아
있는 한 결코 진정한 깨달음이라고 볼 수 없다.

어느 시인의 말대로 '모두가 행복해질 때까지는 아무도 완전
히 행복할 수 없다'거나 <무량수경>에서 '내가 부처가 될 수
있다고 해도 그 국토의 사람들이 미혹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면 절대로 깨달음을 얻지 않으리라'고 한 보살은 서원은
깨달음의 사회성을 강하게 나타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불교를 바르게 믿고 실천한다 함은 결코 자기자신이나
기껏해야 가족만을 위한 기복에 머무를 수 없음을 의미한다.

또 그렇게 해서 끝까지 물질과 행복이 지켜지는 것도 아니다.
자기 자신과는 무관할 것 같은 사회문제들이 결국 그 개인에
게까지 화가 미치게 된다는 사실을 우리는 쉽게 잊고 산다.

1) 한국불자들이 타종교인들로부터 종종 '불교에는 정의가 없
다'라는 망언을 들어야만 하고 정치 경제 언론 교육 문화 등
각 분야에서 불교계의 영향력이 점점 더 작아지는 현실은 누구
를 탓하기 전에 바로 이러한 불자들의 사회적 책무에 대한 태
만의 결과라고 뼈아프게 받아들여야 한다.

부처님께서는 <화엄경 십행품>에서 "보살은 이웃들이 온갖
고통속에서 괴로워하는 것을 보면 대비심(大悲心)을 일으켜‘
나는 온 세상의 낱낱 이웃들을 위해 그들과 같이 무량겁을 지
내면서 그들의 덕을 충만시키고, 어떠한 경우에도 그들을 버
려두고 모른체하지 않으리라.’고 다짐한다"고 말씀하셨다.

또 <범망경>에서 '항상 방생을 하되 마땅히 방편을 써서 괴로
움을 풀어 주어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고, <보현행원품>에서
도 '모든 부처님께서는 대비심으로 체를 삼으시는 까닭에 중
생으로 인하여 대비심을 일으키고 대비로 인하여 보리심을 발
하고 보리심으로 인하여 등정각을 이룬다.

그러므로 보리는 중생에 속한 것이니 중생이 없으면 일체 보살
이 마침내 무상정각을 이루지 못하느니라.

자비를 떠나서 선법(善法)을 얻을 수 없다. 모든 이를 부처님
대하듯 하라. 중생을 위하는 것으로 부처님에 대한 공양으로
삼으라" 고 간절히 당부하고 있지 않은가.

화합대중을 이상으로 하는 한국불교는 이제는 그러한 문화 그
자체를 개혁의 목표나 대상으로 설정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각 파벌간 이해갈등
을 조정할 수 있는 장치가 만들어져야 할 뿐만 아니라,

화합의 문화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
그리고 현대사회의 변화추세를 고려하면 이러한 화합의 문화
는 그 동안 종단 내적 문제에 소외되어 있던 비구니 스님 및
재가신도의 참여까지를 포함하는 문화가 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불교는 대승불교의 이념에 따라 종단 외적 사회문제에
보다 지속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 협력하여야 한다.

특히 한국불교가 대승불교 이념을 현실 속에 구현하기 위해
서는 사회문제에 대한 출가 수행자의 무관심이 더 이상 합리화되어서는 안 된다.

불교 인터넷 포교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인터넷 그 자체에만 매달려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인터넷은 현실을 반영하는 거울이기 때문이다

사이트 구축에 있어서도 원칙을 견지해야 한다.
첫째, 경전과 부처님의 말씀을 중심 콘텐츠로 삼아야 하고,
둘째 경전을 구체적인 삶 속에서 풀어낼 스님을 중심으로 해야 하며,
셋째 커뮤니티 형성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스님을 중심으로 한 사람 중심의 웹사이트의 구축은 자신을
등불로 삼으라는 내용이며, 경전의 말씀을 중심 콘텐츠로 삼
아야 한다는 것은 진리를 등불로 삼으라는 부처님의 유시에 근거한 것이다.

그리고 정법이 오래가기 위해서는 자주 모여 토론하라고 지
적하셨듯이 인터넷 포교가 생명력을 얻기 위해서는 대중이
참여하는 커뮤니티가 구성되어야 한다.

깨달음과 배움은 그 자체에 목적이 있는 것이 결코 아니다.
깨달은 바와 배운 것이 실천에 옮겨지고 그 향기가 이웃을 감
동시킬 때 비로소 깨달음과 배움은 마쳐지는 것이다.

자비실천이 불교의 새로운 전통으로 자리잡을 때 부처님의
보살정신은 이 땅에 꽃피우게 될 것이다.

그래야만 비로소 불교는 구체적이고도 현실적인 중생제도의
종교, 이 시대 이 사회를 이끌어 가는 의연한 종교로 다시 태어날 것이다.



- 기초교리문답 -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심자를 위한 불교예절과 일반상식  (0) 2010.08.28
독경 모음   (0) 2010.08.27
법당예절 몇가지...   (0) 2010.08.24
사찰생활 / 스님을 대하는 예절 그외..   (0) 2010.08.24
참선수행의 방법  (0) 2010.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