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55.jpg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 산성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주택

 

소나무숲이 우거진 얕으막한 산이 집을 감싸돌지만 좌우 맥이 약하고 안(案)이 시원치 않아서 들어가는 입구에는 소나무 숲을 조성하고 집 앞에 있는 연못가에도 커다란 버드나무를 심었으며 연못 가운데는 조그만 섬(소도(小島))을 축조하였다. 대체적으로 안채와 사랑채는 19세기 중반에 건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건물은 직선축을 남향(임좌병향(壬坐丙向))으로 앉혀서 맨 앞에 솟을대문채를 배치하고 가운데에 사랑채, 맨 뒤에 안채를 ㄱ자로 배열하였다. 안마당 동쪽에는 세로로 광채를 길게 두고 사랑채와의 사이를 원장(垣墻)으로 막고 일각대문(一角大門)을 시설해서 중문간(中門間)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대문간(大門間)에 들어서서 사랑채를 향해 진입했다가 동쪽으로 꺾어 돌아 안마당에 이르도록 하였다. 이런 본채의 축과는 달리 이와 나란한 또하나의 축을 집 동쪽에 설정하고 뒤쪽으로 별당채(안사랑)를 배치했는데 앞에는 대문을 따로 시설하고 마당 동쪽에 광채를 만들었다. 원장을 대문채로부터 크게 두르고 안사랑과 바깥사랑 사이도 원장을 막았지만 뒤쪽은 상호 동선이 연결될 수 있도록 터 두었다.

안채 안채는 8칸 ㄱ자형집으로서 중부방식인데 남도풍(南道風)이 약간 가미되었다. 간살이는 세로간을 후퇴로, 가로간을 전후퇴로 하여 머릿퇴만 덧붙였다. 서쪽으로 만든 세로간 앞에는 2칸부엌을 두고 뒤로 복판 2칸을 안방으로, 맨 끝 퇴칸은 광을 배치했다. 좌퇴에는 안방 서쪽으로 골방, 다음은 툇마루가 깔리며 뒤로 처마밑을 이용하여 조금 내밀고 모퇴부분에 토광을 설치하였고 꺾어져서 복판에 2칸 넓은 대청이 놓이며 다음은 전후로 칸을 나누어 뒤는 사랑방, 앞은 대청의 연결공간이 된다. 맨 끝은 건넌방이며 앞퇴에 툇마루가 시설되었다. 머릿퇴에는 아궁이가 시설된 굴묵이고 앞 모퇴에 볏광이 마련되었다. 대청은 전면으로 개방되었고 안방 창문 앞에도 쪽마루를 만들어서 동선을 연결하였으며 대청으로부터 건넌방까지의 뒤에는 쪽마루가 놓였다. 사랑방을 대청 동쪽 건넌방곁이나 서쪽 안방 뒤에 마련하는 것은 중부지역에서 가끔 있는 관행이다.

사랑채 구조는 가로간은 2고주5량, 세로간은 1고주5량인데 대청중앙은 긴보5량이다. 도리는 납도리이고 모를 굴렸으며 장혀를 받치고 있다. 보의 단면은 모를 굴린 네모꼴이고 대공은 사다리꼴 판대공이며 기둥은 네모인데 약한 민흘림이 있다. 덤벙주초이고 댓돌은 막돌 허튼층 쌓기 두벌대 정도 높이이다. 지붕은 가로간을 합각으로 하고 세로간 남쪽측면은 박공으로 처리했는데 사랑채로 처마물이 떨어지는 것을 싫어한 것이다.

사랑채는 一자 5칸 전좌퇴집으로서 간살이는 역시 중부지방식이다. 동쪽에 부엌을 두고 다음에는 2칸 큰사랑, 대청, 작은사랑의 차례로 배치되며 앞퇴와 머릿퇴에는 우물마루가 놓였다. 부엌 상부는 다시 칸을 앞뒤로 나누어서 앞에는 누마루를 시설하고 뒤에는 다락을 만들었다. 누마루 전면에는 분합문을 달아 개방할 수 있도록 고려하였으며 대청의 앞문과 큰사랑과의 샛문도 분합문이다.

사랑채누마루 구조는 1고주5량이고 네모기둥이다. 주초는 대강 네모로 떠낸 것이며 댓돌은 자연석 바른층쌓기인데 맨 아랫단은 2단 기단(基壇)처럼 약간 밖으로 내밀어 고식 석축기법(石築技法)을 보이고 있으며 네벌대 정도 높이이다. 지붕은 합각이며 합각면에는 전돌로 쌓고 볼록줄눈으로 마감했다.

행랑채는 맞걸이 6칸 一자집으로 가운데 솟을대문을 두고 양끝은 박공으로 처리했으며 구들과 광, 대청, 헛간으로 되어있다. 광채는 맞걸이 4칸 박공지붕집인데 광과 헛간으로 구성되었다. 그 남쪽 앞 사랑마당 구석에 만들어진 볏광은 단칸(單間)이며 박공지붕이고 빈지널벽으로 마감했다.

안사랑채는 4칸 一자 전후퇴집이며 평면의 구성은 동쪽에 부엌을 두고 복판에 좌우 2칸 안사랑방을, 맨 끝에 대청을 배치했다. 앞퇴에는 툇마루가 놓이고 안사랑 뒷퇴에는 골방을 만들었는데 웃골방은 뒤로 헛기둥을 세워 확장하고 지붕 처마를 그 위만 조금 연장해서 마감하였다.

구조는 2고주5량이며 납도리를 걸고 장혀로 받쳤다. 댓돌은 자연석 허튼층쌓기이며 네모기둥을 세웠고 지붕은 합각지붕이다.

집 주위에는 연못을 제외하고 특별한 정원시설은 갖추지 않았지만 집 주위에 심어진 수목들이 조선조의 조경미를 느끼게 한다.
 
0322.jpg
행랑채
 
0323.jpg
별당채
 

중요민속자료 198-1

안채

안채는 8간(間) ㄱ자형(字形)집으로서 중부(中部) 방식(方式)인데 남도풍(南道風)이 약간 가미(加味)되었다. 간살이는 세로간을 후퇴로, 가로간을 전후퇴로 하여 머릿퇴만 덧붙였다. 서쪽으로 만든 세로간 앞에는 2간(間)부엌을 두고 뒤로 복판 2간(間)을 안방으로, 맨 끝 퇴간은 광을 배치(配置)했다. 좌퇴에는 안방 서쪽으로 골방, 다음은 툇마루가 깔리며 뒤로 처마밑을 이용하여 조금 내밀고 모퇴부분에 토광을 설치(設置)하였고 꺾어져서 복판에 2간(間) 넓은 대청(大廳)이 놓이며 다음은 전후(前後)로 간(間)을 나누어 뒤는 사랑방, 앞은 대청(大廳)의 연결공간(連結空間)이 된다. 맨 끝은 건넌방이며 앞퇴에 툇마루가 시설(施設)되었다. 머릿퇴에는 아궁이가 시설(施設)된 굴묵이고 앞 모퇴에 볏광이 마련되었다. 대청(大廳)은 전면(前面)으로 개방(開放)되었고 안방 창문 앞에도 쪽마루를 만들어서 동선을 연결(連結)하였으며 대청(大廳) 으로부터 건넌방까지의 뒤에는 쪽마루가 놓였다. 사랑방을 대청(大廳) 동쪽 건넌방곁이나 서쪽 안방 뒤에 마련하는 것은 중부지역(中部地域)에서 가끔 있는 관행(慣行)이다.

구조(構造)는 가로간은 2고주5량, 세로간은 1고주5량인데 대청(大廳) 중앙(中央)은 긴보5량이다. 도리는 납도리이고 모를 굴렸으며 장혀를 받치고 있다. 보의 단면은 모를 굴린 네모꼴이고 대공은 사다리꼴 판대공이며 기둥은 네모인데 약한 민흘림이 있다. 덤벙주초이고 댓돌은 막돌 허튼층 쌓기 두벌대 정도 높이이다. 지붕은 가로간을 합각으로 하고 세로간 남쪽측면(側面)은 박공으로 처리했는데 사랑채로 처마물이 떨어지는 것을 싫어한 것이다.

중요민속자료 198-2

사랑채

사랑채는 일자(一字) 5간(間) 전좌퇴집으로서 간살이는 역시 중부지방식(中部地方式)이다. 동쪽에 부엌을 두고 다음에는 2간(間) 큰사랑, 대청(大廳) 작은사랑의 차례로 배치(配置)되며 앞퇴와 머릿퇴에는 우물마루가 놓였다. 부엌 상부(上部)는 다시 간(間)을 앞뒤로 나누어서 앞에는 누마루를 시설(施設)하고 뒤에는 다락을 만들었다. 누마루 전면(前面)에는 분합문을 달아 개방(開放)할 수 있도록 고려(考慮)하였으며 대청(大廳)의 앞문과 큰사랑과의 샛문도 분합문이다.

구조(構造)는 1고주5량이고 네모기둥이다. 주초는 대강 네모로 떠낸 것이며 댓돌은 자연석(自然石) 바른층쌓기인데 맨 아랫단은 2단 기단(基壇)처럼 약간 밖으로 내밀어 고식(古式) 석축기법(石築技法)을 보이고 있으며 네벌대 정도 높이이다. 지붕은 합각이며 합각면에는 전돌로 쌓고 볼록줄눈으로 마감했다.

행랑채는 맞걸이 6간(間) 일자(一字)집으로 가운데 솟을대문을 두고 양끝은 박공으로 처리했으며 구들과 광, 대청(大廳), 헛간으로 되어있다. 광채는 맞걸이 4간(間) 박공지붕집인데 광과 헛간으로 구성(構成)되었다. 그 남쪽 앞 사랑마당 구석에 만들어진 볏광은 단간(單間)이며 박공지붕이고 빈지널벽으로 마감했다.

안사랑채는 4간(間) 일자(一字) 전후퇴집이며 평면(平面)의 구성(構成)은 동쪽에 부엌을 두고 복판에 좌우(左右)2간(間) 안사랑방을, 맨 끝에 대청(大廳)을 배치(配置)했다. 앞퇴에는 툇마루가 놓이고 안사랑 뒷퇴에는 골방을 만들었는데 웃골방은 뒤로 헛기둥을 세워 확장(擴張)하고 지붕 처마를 그 위만 조금 연장(延長)해서 마감하였다.

구조(構造)는 2고주5량이며 납도리를 걸고 장혀로 받쳤다. 댓돌은 자연석(自然石) 허튼층쌓기이며 네모기둥을 세웠고 지붕은 합각지붕이다

중요민속자료 198-3

행랑채

행랑채는 맞걸이 6간(間) 일자(一字)집으로 가운데 솟을대문을 두고 양끝은 박공으로 처리했으며 구들과 광, 대청(大廳), 헛간으로 되어있다. 광채는 맞걸이 4간(間) 박공지붕집인데 광과 헛간으로 구성(構成)되었다. 그 남쪽 앞 사랑마당 구석에 만들어진 볏광은 단간(單間)이며 박공지붕이고 빈지널벽으로 마감했다.

중요민속자료 198-4

별당채

안사랑채는 4간(間) 일자(一字) 전후퇴집이며 평면(平面)의 구성(構成)은 동쪽에 부엌을 두고 복판에 좌우(左右)2간(間) 안사랑방을, 맨 끝에 대청(大廳)을 배치(配置)했다. 앞퇴에는 툇마루가 놓이고 안사랑 뒷퇴에는 골방을 만들었는데 웃골방은 뒤로 헛기둥을 세워 확장(擴張)하고 지붕 처마를 그 위만 조금 연장(延長)해서 마감하였다.

구조(構造)는 2고주5량이며 납도리를 걸고 장혀로 받쳤다. 댓돌은 자연석(自然石) 허튼층쌓기이며 네모기둥을 세웠고 지붕은 합각지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