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515.jpg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신산리에 있는 조선 말기의 주택.
 
진산이 오른쪽으로 휘감아서 우백호(右白虎)를 이루고 또 다른 산줄기 왼쪽에서 휘어 돌아들어 좌청룡(左靑龍)을 형성(形成)한다. 이집은 국(局)이 열리는 수구(水口)를 향하여 배치되었는데 수구가 트인 곳에는 나무를 가로로 심어 국(局)안의 영역감(領域感)을 강화시킨다.

집은 몸채의 공간과 아래채의 공간으로 나뉘어지는데 두 개의 나란한 축으로 되었다. 아마도 별도의 살림채로 만들었다고 여겨지지만 너무 지나치게 붙어 있어 별도의 집으로는 생각되지 않는다. 몸채의 축상(軸上)에는 앞쪽에 사랑채를 가로로 놓고 뒤쪽에는 안채를 二자로 배치했다. 안마당 서쪽에는 광채를 배치해 막고 동쪽에는 안채를 ㄱ자로 꺾어서 공간감을 조성하였다. 사랑채는 높은 축대위에 자리하며 축대 앞에 목련이나 향나무등을 심어서 공간감을 형성할 뿐 전면에는 틔워 두었다. 아래채는 사랑채 동쪽에 가로로 북향하여 배치되며 사이에는 대문이 놓였다. 아래채는 거꾸로 앉았기 때문에 오히려 남쪽에 대나무등을 심어서 시설을 차단하고 북쪽에 아랫마당을 두었는데 그 앞에는 세로로 헛간채가 축조되었다.

9516.jpg 안채는 원래 3칸으로서 19세기 후반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하나 20세기 초에 사랑채를 지으면서 안채를 덧달아 증축한 것으로 보인다. 나머지 건물들은 모두 20세기 초에 지어졌다.

안채는 원래 전퇴 3칸집이었으나 덧달아내어 6칸ㄱ자형을 만들었다. 왼쪽에 부엌을 두고(아랫퇴는 역시 나중에 덧붙였음) 안방, 웃방 그리고 앞퇴의 툇마루가 되며 다음은 대청, 맨 끝이 아랫방인데 머릿퇴에 역시 툇마루가 시설되었다. 꺾어져서 헛청이 마련되어 부엌이면서 헛간이 되고 아래채로의 통로가 된다. 뒷퇴에는 처마 밑에 덧기둥을 한줄 더 세워서 토방처럼 이용하고 구조를 보강한 것이기도 하다.

구조는 2고주4량, 곧 전면의 지붕이 후면보다 긴 민가식 기법을 쓴다. 도리는 납도리이며 모를 죽인 정도이고 장혀는 쓰지 않았다. 퇴보는 무지개꼴로서 고주머리에 맞추어졌고 기둥은 네모이며 덤벙주초 위에 세웠다. 댓돌은 외벌대 장대석(長臺石)이며 지붕은 우진각 초가(草家)이다.

사랑채는 4칸 전퇴집으로서 머릿퇴를 두었다. 간살이는 서쪽에 대문간을 배치하고 다음은 사랑부엌, 2칸사랑방으로 구성되며 사랑방의 앞퇴와 머릿퇴에는 마루가 놓였다. 사랑부엌 앞퇴도 마루가 깔렸는데 툇마루에서 이용하는 토광으로 쓰인다. 구조는 1고주5량이며 보의 단면은 둥근네모꼴로 대강 바심질을 했다. 대문간 지붕틀은 등굽은 중도리(소꼬리보, 충량)를 가로로 걸쳐대고 그 등 위에 외기를 세로로 놓아 중간에 등굽은 중도리를 올리며 여기 등 위에 추녀 끝을 걸쳤는데 전형적인 민가기법이다. 막돌 허튼층쌓기 댓돌이며 덤벙주초 위에 네모기둥을 세웠고 우진각 초가지붕집이다.

안마당 서쪽은 단간(單間) 광채를 만들고 안채와의 사이는 뒷길로 나가는 편문(便門)을 시설했으며 사랑채와의 사이는 ㄱ자로 담장을 두르고 장독등을 두는 공간으로 이용하고 있다.

아래채는 一자 6칸 전퇴집으로서 부엌+안방+웃방(앞툇마루)인 기본형에 2개의 광을 동쪽에 덧붙인 것이다.
 
 9517.jpg
안채
 
9518.jpg
사랑채
 
9519.jpg
고방
 
 

안채

중요민속자료 197-1

안채는 원래 3간(間)으로서 19세기 후반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推定)하나 20세기 초에 사랑채를 지으면서 안채를 덧달아 증축(增築)한 것으로 보인다. 나머지 건물(建物)들은 모두 20세기 초에 지어졌다.

안채는 원래 전퇴 3간(間)집이었으나 덧달아내어 6간(間)ㄱ자형(字形)을 만들었다. 왼쪽에 부엌을 두고(아랫퇴는 역시 나중에 덧붙였음) 안방, 웃방 그리고 앞퇴의 툇마루가 되며 다음은 대청(大廳), 맨 끝이 아랫방인데 머릿퇴에 역시 툇마루가 시설(施設)되었다. 꺾어져서 헛청이 마련되어 부엌이면서 헛간이 되고 아래채로의 통로가 된다. 뒷퇴에는 처마 밑에 덧기둥을 한줄 더 세워서 토방처럼 이용한데 구조(構造)를 보강(補强)한 것이기도 하다.

구조(構造)는 2고주4량, 곧 전면(前面)의 지붕이 후면(後面)보다 긴 민가식(民家式) 기법(技法)을 쓴다. 도리는 납도리이며 모를 죽인 정도이고 장혀는 쓰지 않았다. 퇴보는 무지개꼴로서 고주머리에 맞추어졌고 기둥은 네모이며 덤벙주초 위에 세웠다. 댓돌은 외벌대 장대석(長臺石)이며 지붕은 우진각 초가(草家)이다.

사랑채

중요민속자료 197-2

사랑채는 4간(間) 전퇴집으로서 머릿퇴를 두었다. 간살이는 서쪽에 대문간(大門間)을 배치(配置)하고 다음은 사랑부엌, 2간(間)사랑방으로 구성(構成)되며 사랑방의 앞퇴와 머릿퇴에는 마루가 놓였다. 사랑부엌 앞퇴도 마루가 깔렸는데 툇마루에서 이용하는 토광으로 쓰인다. 구조(構造)는 1고주5량이며 보의 단면은 둥근네모꼴로 대강 바심질을 했다. 대문간(大門間) 지붕틀은 등굽은 중도리(소꼬리보, 충량)를 가로로 걸쳐대고 그 등 위에 외기를 세로로 놓아 중간에 등굽은 중도리를 올리며 여기 등 위에 추녀 끝을 걸쳤는데 전형적(典型的)인 민가기법(民家技法)이다. 막돌 허튼층쌓기 댓돌이며 덤벙주초 위에 네모기둥을 세웠고 우진각 초가지붕집이다.

고방채

중요민속자료 197-3

집 안마당 서쪽에 1칸의 광이 자리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