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민속자료 제176호 가일수곡고택(佳日 樹谷古宅)
종목 | 중요민속자료 제176호 |
---|---|
소재지 | 경북 안동시 풍천면 가곡리 419 |
소재지 | 풍천면 |
지정일 | 1984.01.10 |
수량/면적 | 일곽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자 | 권대송 |
관리자 | 권대송 |
자료출처 및 참조 | 문화재청 |
할아버지 권보의 덕을 기리기 위해 정조 16년(1792)에 권조가 지은 종가집이다. 50여 호 되는 작은 마을 북쪽에 야산을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다. 권보는 일생동안 검소하게 살았던 사람으로 본채의 사랑채 지붕을 화려한 팔작지붕이 아닌 맞배지붕으로 한 것도 그의 소박함을 기리기 위함이다.
조선 정조(正祖)16년(1792)에 권조(權眺)가 조부 권보(權보)(호 수곡(樹谷))의 유덕(遺德)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수곡은 연산조(燕山朝)의 갑자사화(甲子士禍)를 당한 권주(權柱)(화산(花山))의 8대손으로 일생을 도학(道學)에 전심하면서 검소를 생활신조로 삼았다. 사랑채 지붕을 팔작으로 화려하게 꾸미지 않고 맞배지붕으로 한 것도 검소를 세수(世守)하기 위한 뜻을 담은 것이라 한다.
수곡종택(樹谷宗宅)은 50여호되는 마을의 북쪽에 위치하였다. 3칸 행랑채의 우협간(右夾間)에 낸 대문을 들어서면 넓은 앞마당(사랑마당 포함)을 격(隔)하여 사랑채와 그 뒤의 안채가 튼ㅁ자를 이루며 남남서향으로 배치되었다. 앞마당의 좌측에는 새사랑채 (일지재(一枝齋))가 남향으로 자리잡았고, 안채의 우측 후방 약간 높은 터에 단칸(單間) 사당이 배치되어 있으며 그 뒤로 야산이 배경을 이루었다.
안채는 ㅁ형으로 안마당쪽 정면 4칸중 우측 2칸은 전면이 개방된 대청이며 좌측 2칸은 툇마루 뒤에 2칸통의 안방이 배치되었다. 대청 전면에만 원주(圓柱)를 사용하였고 지붕 가구(架構)는 오량가(五梁架)로 제형(梯形) 판대공(板臺工)을 높게 세워 종도리를 얹었다. 안방의 천장은 고미반자를 치고 더그매를 수장공간(收藏空間)으로 이용하였는데 안방에서 출입하는 부엌 위 누상고(樓上庫)에서 들어가게 하였으며 안방의 전면벽 상벽에 두짝열개 널문을 내어 통기(通氣)하게 하였다. 안방 뒷벽의 반침은 근년에 증축한 것이다. 안방의 좌측에 접하여 2칸반 길이의 부엌과 고방 1칸을 마당쪽으로 내려뽑았고 이와 대칭으로 대청의 우측에도 고방, 웃방(새댁방), 부엌, 새댁방으로 도합 3칸반을 배치하였다.
사랑채는 정면 8칸중에서 우측 4칸은 큰사랑채로 꾸며져 있고, 큰사랑채의 좌측에 접한 중문간(中門間)을 포함하여 좌측 4칸은 지붕 높이가 한단 낮다. 중문간의 좌측으로 작은 사랑방과 마루방이 1칸씩 배치되어 있으며, 좌단(左端) 1칸은 고방이며 안채쪽으로 2칸통으로 놓여져 있어서 ㄴ자를 이루었다. 큰사랑채의 정면 4칸중에서 우측의 2칸은 전면이 개방된 대청이고, 좌측 2칸은 툇마루 뒤에 큰사랑방을 배치하였으며 후방에 온돌방 1칸을 돌출시켜 내정에서 사용케 하였다. 큰사랑채의 정면 안쪽 기둥은 원주(圓柱)로 자연석 초석위에 세웠으며 대청의 상부 가구(架構)는 삼량가(三樑架)로 제형(梯形) 판대공(板臺工)을 세운 간략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새 사랑채는 정면 3칸의 겹집으로 앞줄의 우측 2칸은 전면과 우측면이 개방된 마루로서 헌함을 돌렸으며 좌측의 온돌방 1칸은 마루 사이의 벽을 외여닫이 문이 달린 온통 넓이의 들문으로 처리하여 크게 개방할 수 있게 하였다. 뒷줄에는 어간(御間)에 마루방을 꾸미고 좌우에 온돌방을 각각 1칸씩 들였다. 전면 마루의 중앙기둥만 원주를 사용하였고 지붕가구(架構)는 오량가(五梁架)로 낮은 제형(梯形) 판대공(板臺工) 위에 종도리를 놓았다.
'한국의 문화,풍물,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요민속자료 제178호 하리동일성당(下里洞日省堂) (0) | 2015.05.21 |
---|---|
중요민속자료 제177호 하회동하동고택(河回洞河東古宅) (0) | 2015.05.21 |
중요민속자료 제175호 영천만취당(永川晩翠堂) (0) | 2015.05.21 |
중요민속자료 제174호 율현동물체당(栗峴洞勿替堂) (0) | 2015.05.21 |
중요민속자료 제173호 창양동후송당(昌陽洞後松堂) (0) | 201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