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나는 대화법 573

아름답게 말하기

♣ 아름답게 말하기 ♣ 마음에 있는 생각을 어떻게 말하느냐가 중요합니다. 말은 내용보다 말하는 사람의 태도에 따라 더 많은 것이 전달되는 속성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 솔직하게 말하기 * 적당히 덮어 두거나 거짓말을 하면 갈수록 힘들어 집니다. * 바로 말하기 * 사과할 일이나 미안한 마음은 생각나면 즉시 표현하세요. * 한번 더 생각하고 말하기 * 남을 기쁘게 하는 말은 바로 하지만 남을 힘들게 하는 말은 한번 더 생각하세요. * 분명히 말하기 * 말의 핵심은 분명히 하여야 나중에 오해가 없습니다. * 직접 말하기 * 눈을 보면서 말하는 것은 상대방과 마음을 맞추는 것입니다. * 사랑으로 말하기 * 말에는 사랑이 들어가야 합니다. 그러면 어떤 말이라도 아름답습니다.

상대방을 배려하는 대화

♣ 상대방을 배려하는 대화 ♣ 가끔 사소한 말 한마디 때문에 상대방을 아프게 하고 자신의 입장마저 난처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을 통해 당사자에게 그 말이 전해졌을 때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고는 합니다. 사람이 동물과 가장 다른 점은 언어를 가지고 자신의 마음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일 겁니다. 사랑하는 사람에게 사랑한다는 고백을 할 수 있고 자신이 원하고 느끼는 바를 동물적인 몸짓이 아닌 언어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일 겁니다. 참으로 축복이고 다행한 일입니다. 하지만 하나님이 주신 그런 좋은 선물 때문에 상대의 마음을 아프게 한다면, 서로의 가슴속에 오해와 불신이 쌓여간다면 그건 잘못된 일이 아닐까요. 사람과 사람 간에 나누는 대화는 참으로 유쾌하고 즐거운 일입니다. 하지만 누군가를 함부로..

지혜로운 언어생활 50

♣ 지혜로운 언어생활 50 ♣ 1. 같은 말이라도 때와 장소를 가려서 해라. 그 곳에서는 히트곡이 여기서는 소음이 된다. 2. 이왕이면 다홍치마다. 말에도 온도가 있으니 썰렁한 말 대신 화끈한 말을 써라. 3. 내가 하고 싶은 말에 열 올리지 말고 그가 듣고 싶어 하는 말을 하라. 4. 입에서 나오는 대로 말하지 말라. 체로 거르듯 곱게 말해도 불량률은 생기게 마련이다. 5. 상대방을 보며 말하라. 눈이 맞아야 마음도 맞게 된다. 6. 풍부한 예화를 들어가며 말하라. 예화는 말의 맛을 내는 훌륭한 천연 조미료이다. 7. 한 번 한 말을 두 번 다시 하지를 말라. 듣는 사람을 지겹게 하려면 그렇게 하라. 8. 일관성 있게 말하라. 믿음을 잃으면 진실도 거짓이 되어 버린다. 9. 말을 독점 말고 상대방에게도..

세계 최고의 화술

♣ 세계 최고의 화술 ♣ 예전 어느 민속학자가 쓴 논문에 따르면 우리나라 속담 중 ‘말(言)’에 관한 것이 무려 70여가지가 넘는다는 주장이 있었다. 굳이 그 뿐만이 아니더라도 우리의 살아가는 순간 순간마다 ‘말’과 관련이 없는 순간을 찾는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것 같다. 잘나가던 정치인이 말 몇 마디에 재기불능 상태에 빠져드는 경우도 있고,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던 연예인이 말 한마디에 팬들의 관심에서 멀어지는경우도 있다. 반면, 변변치 못하던 기업의 주식이 관련 정부기관장의 말 한마디에 연일 상한가를 기록하거나, ‘ 마누라를 못 버린다’는 말 한마디에 여성유권자 수십만표가 우르르 몰려선 거의 당락이 바뀌는 현실이고 보니, 눈만 뜨면 여기저기서‘말 잘하는 사람’이 대우받고, ‘ 말을 잘해야 성공..

칭찬과 격려의 대화법

♣ 칭찬과 격려의 대화법 ♣ 1) 칭찬과 격려는 어떻게 다른가요? 어느 부모든지 자기 자녀를 훌륭하게 잘 기르고 싶어 합니다. 그러나 이런 마음을 갖고 있어도 실제로 어떻게 하는 것이 진정 자녀를 위한 말이고 행동인지 혼란스러운 때가 아주 많을 것입니다. 자녀들에게 칭찬을 많이 하는 어머니는 스스로 이렇게 생각할 것입니다. '나는 애들한테 소리 지르고 야단치는 엄마들과는 달라.나는 아이들 위주로 살 뿐만 아니라 얼마나 민주적인데. 아마 이렇게 칭찬을 많이해서 기르면 다른 어느 집 애들보다도 훌륭하게 자랄꺼야.' 그러나 이렇게 매일 칭찬을 한다고 해서 어머니들 생각대로 성장하는 것만은 아닙니다. 만일 자녀들이 보다 자율적이고 책임감있는 아이로 성장하기를 원한다면 칭찬과는 비슷한 점이 많지만, 또 많이 다른..

말의 중요성

♣ 말의 중요성 ♣ 言(말) 이 言(말)을 잉태하고 言(말) 이 言(말)을 낳고 言(말) 이 씨앗이 되어 言(말) 이 뿌리를 내린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좋은 말(言)만 할 수는 없겠지만 言(말) 한마디의 실수로 크나큰 화를 자초할 수가 있다 또한, 좋은 말(言)은 득을 불러올 것이다 사람들은 그렇다 좋은 말(言)은 귀담아들으려 하지 않는다 반면에, 나쁜 말(言)은 솔깃하여 금방 알아듣고 그대로 행동한다 말(言)이란 의사소통의 기본이고 표현의 행동이다 입이 무거운 사람은 그 무거움으로 인하여 신뢰와 신임의 존경을 받을 것이고 입이 가벼운 사람은 그 가벼움으로 인하여 오해와 불신속에 스스로 자멸할 것이다 말(言)이란 무서운 것이다 한번 뱉으면 주워담을 수 없어서 사람을 죽일 수도 있고 살릴 수도 있다 말(言)..

생활 속에서부터 말 잘하는 방법

♣ 생활 속에서부터 말 잘하는 방법 ♣ 1. 인사를 명확히 2. 예 / 아니오를 명확히 3. 말을 끝낼 때도 명확히 4. 항상 존칭을 이용한 정중한 표현 5. 말끝은 부정이 아닌 긍정의 표현 6. 노래를 부르듯이 리듬감있게 표현 7. 엑센트를 적절히 활용 8. 가슴을 펴고 고개를 들고 9. 좋은 눈빛과 좋은 표정으로 10. 상대방과의 거리는 1m안으로 11. 상대방의 눈을 보자. 그리고 자신이 말을 잘하는 방법에 대해서 고민을 하고 계시다면 반대로 듣기는 잘하고 있는지를 점검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미국의 모대학에서 말하기 과정과 듣기 과정, 두 과정을 개설했는데 말하기 과정에는 천명 가까운 인원이 등록 신청을 했는데 듣기 과정에는 단 2명만 등록 신청을 했다고 합니다. 대화를 나눌 때, 자신의 말에 ..

스피치 공포 이기기

♣ 스피치 공포 이기기 ♣ 여러 사람 앞에서 말하게 될 경우 또 다른 사람 앞에서 말할 경우 긴장하거나 주눅이 들린다든가 숨이 가쁘고 목소리가 잘 안 나오고 목소리의 변화가 없고 거칠게 되며 음성이 높아지는 것, 또는 말문이 막히고 청중들의 눈을 피하거나 내용이 생각 안 나는 것 등 이러한 모든 것을 연단공포, 즉 감정적 긴장 혹은 신경과민이라고 한다. 식은땀이 나고, 입이 마르며 가슴이 뛰고, 경련이 일어나거나 또는 주의(主意) 협착(狹搾) 내지 주의확산(擴散)현상이 일어난다. 주의협착은 눈 앞의 일부만 의식되고 부옇게 몽롱해지는 상태이고 주의확산은 청중의 태도, 표정, 수군거림 등에 신경이 쓰여 집중되지 않는 상태이다. 또한 아랫배가 빈 것 같은 것을 느끼는 것도 모두가 감정적 긴장인데 이는 생리적 ..

말 잘하는 사람들의 대화 수칙

♣ 말 잘하는 사람들의 대화 수칙 ♣ ★ 해야 할 것 10가지 말을 할 때는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를 하도록 할 것. 말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3초간 요점을 가다듬고 정리할 것. 불만이나 푸념 또는 부정적인 말을 가급적 자제할 것. 목소리의 속도와 높이, 그리고 크기를 변화있게 잘 조절해서 말할 것. 간결하고 명확한 문장 구사를 하도록 할 것. 상대방의 반응에 적절히 대응하면서 말을 할 것. 평소에 대중앞에 서는 연습을 자주 할 것. 보다 넓고 깊은 안목으로 세상을 관찰하여 이야기 거리를 많이 만들어 둘 것. 심각한 이야기에도 때로는 유머를 섞어 긴장을 없애는 여유를 가질 것. 친한 사이일수록 예의를 잃지 말고 말할 것. ★ 하지 말아야 할 것 10가지 화가 난 상대방의 말을 감정적으로 맞받아 치지 말..

제스쳐(Gesture-몸짓언어)의 중요성

♣ 제스쳐(Gesture-몸짓언어)의 중요성 ♣ 1961년 미국의 대통령 선거에서 케네디가 닉슨을 물리치고 대통령에 당선된 것은 케네디가 젊고 신선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보다도 그의 뛰어난 대중을 사로잡는 스피치와 거기에 사용된 제스츄어가 큰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두 사람이 처음 텔레비전에서 대결을 할 때, 케네디는 그 개성있는 얼굴에 미소를 띠고 유머와 세련된 제스츄어로 시청자들을 매료시켜 그 여파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는 이야기는 너무나도 유명합니다. 테리앙이란 사람은 제스츄어를 가리켜 "장군의 지휘봉이며 만국의 공통 언어"라고 했습니다. 이토록 대중 스피치나 대화에서 제스츄어는 생각보다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각종 의사전달(프리젠테이션)에서 사용되는 손놀림, 몸짓, 얼굴 표정, 동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