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나는 대화법 573

개인과의 대화, 그룹과의 대화

개인과의 대화, 그룹과의 대화 앞에서 말하는 사람은 그룹과의 대화도 역시 1:1의 대화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것을 깨달아야 한다. 그룹, 단체라는 것도 한사람 한사람이 모여 서 그룹이 된것이며 구성요소인 개인들의 성격이나 특성이 조금씩은 다 르지만 커다란 테두리 안에서 볼 때 이들의 공통적인 요소들이 더많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개인과의 대화에서 싫어하는 말을 청중,대중 들 앞에서 한다면 마찬가지로 그들도 싫어할 것이다. 칭찬하는 말은 개 인이나 청중이나 다같이 듣기 좋은 말이다. 말하고자하는 내용의 범위 가 크면클수록 청중들의 많은수를 만족시킬수 있으나 범위가 작아지고 내용이 세부적으로 갈라지면 청중들의 의견은 분열되고 찬성과 반대 여러 가지로 나누어지게 된다. 이것은 청중들의 구성원 각자의 성격과..

청중의 반응을 살피는 방법

청중의 반응을 살피는 방법 앞에서 말하는 사람은 듣는 청중들의 표정과 눈빛 하나하나를 보고 분석 하여야 한다. 그들이 흥미를 잃으면 연설자의 목소리는 그저 허공에서 만 맴돌뿐이고 빈골방에서 혼자 독백처럼 말하는 것과 같다. 연설자의 생명은 청중들의 관심도이다. 청중의 관심을 끌지못하는 연설은 연설자 만 초라해지며 청중들로부터 박수를 받는 연설자와는 같은 연설자라 할 지라도 하늘과 땅차이 인 것이다. 연설중에 청중들로부터 박수를 받는 다면 당신의 연설은 성공하고 있는 것이다. 청중들의 관심도를 파악하 기 위하여 대답하기 쉬운 질문을 던져본다. 청중들로부터 아무런 대답 이 나오지 않는다면 앞에서 헛고생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자신의 연설방 법을 개선하여야 한다

서론, 본론, 결론으로 구성하는 방법

서론, 본론, 결론으로 구성하는 방법 장시간의 연설내용 구성은 좀더 신경을 써야 한다. 내용이 중구난방이 거나 준비가 부족하면 연설은 실패한다. 내용은 서론, 본론, 결론의 단 계를 거쳐야 하며 서론에서는 이야기의 초기 시작단계로서 연설자리에 서게된 동기와 앞으로 말할 내용의 제목등을 밝힌뒤 본론으로 들어간다. 본론은 세부적으로 나누어 세밀하게 문제의 핵심들을 하나하나 파헤치며 청중들을 이해시키고 설득하여야할 중요한 단계이며 결론을 뒷받침할수 있는 내용구성이 되어야 한다. 본론의 설명이 충분하면 따로 결론을 내 려주지 않더라도 청중들은 연설자의 의도를 충분히 파악할수 있게된다. 결론에서는 지금까지의 이야기들을 한번더 요약하여 전달하고저 하는 의지를 강력히 보여주던가 명쾌한 결론을 내려 주어서 청중들이 안..

청중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방법

청중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방법 처음시작부터 호기심을 유도하여 문제를 제기하며 도중에도 청중들의 떨 어진 주의력을 회복할수 있도록 연설자는 신경을 써야 한다. 일부러라 도 주목하여 달라는 주문을 청중에게 요구하거나 또는 왜? 라는 문제제 기를 자주 하여 주의를 환기시켜야 한다. 금방 설명할 문제라도 그전에 왜? 라고 의문을 제기하고 답을하면 청중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경청하도 록 유도할수 있다. 중요한 것은 연설자의 의지이다. 청중들이 듣지않는 데도 아랑곳하지 않고 할말만 하고 나가면 된다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우선 연설자는 청중들의 주의력이 떨어지고 있지는 않은가 파악하여야 하며 주의력이 떨어진경우는 다시주의력을 집중시켜 줘야 겠다는 의지가 필요하고 다음은 주의력을 집중시켜주기 위한 행동이 필요하다. 연설..

불편한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

불편한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 서로의 관계가 불편하고 좀처럼 친해지지 않는다고 해서 상대방을 탓할 것이 못된다. 그런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데는 자신에게 가장 큰 이유가 있을 확률이 많기 때문이다. 왜 나에게 관심을 보여주지 않는거야! 왜 나를 좋아하지 않지? 라고 생각하기 전에 나는 상대방에게 얼마만큼 관심을 보이고 그사람을 얼마만큼 좋아하는지 반문하여 보자. 나는 상대방에게 관심을 가지지 않고 좋아하지도 않으면서 상대방이 나를 좋아해주기를 바라지는 않는가? 그렇다면 왕자병이나 공주병을 앓고 있는 심각한 중증이다. 내가 먼저 상대방에게 따뜻한 말을 건네고 재미있는 말을 해주고 만나면 먼저 인사하여 보자. 그렇게 하는데도 상대가 관심을 가져주지 않는다면 그때가서 불평불만을 늘어 놓도록 하여라

정확성을 나타내기 위한 표현 방법

정확성을 나타내기 위한 표현 방법 연설내용의 신빙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정확한 숫자를 이용하거나 그래프를 그리거나 기타 필요한 사진을 제시하면 청중들은 연설자의 이야기에 거의 100% 믿음을 가진다. 자신의 주장을 근거할만한 증거를 제시하면서 정확한 데이터를 갖지못하고 이건가 저건가 하는 어설픈 말로 청중을 설득시키기는 어려운 일이다. 청중을 믿고 따르게 하기 위해서는 그만 큼의 충분한 준비가 필요하다. 믿음을 가지는 연설은 청중들의 귀를 쏠 리게 만드는 마력이 있다. 확실한 믿음을 주기 위하여 뒷받침할수 있는 자료를 하나에 그치지 않고 여러가지를 제시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갈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화술

갈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화술 같은말을 하더라도 듣는사람의 사고방식에 따라서 받아들이는 방법은 천차만별이다. 악의가 전혀없이 농담한마디 했다 하더라도 어떤 사람은 아주 기분나쁘게 받아들일 수가 있으며 또 어떤사람은 아주 재미있다고 할 수도 있다. 신경이 날카롭고 예민한 사람에게 농담을 해서 웃기기는 어려운 일이다. 그 사람에게 맞는 주제의 대화를 선택하여 말하여야 하고 쉽게 흥분하고 화를 내는 다혈질의 사람에게는 자극적인 말을 피하도록 하여야 한다. 상대의 성격을 충분히 알고 그사람에 맞는 적당한 대화를 함으로써 차후에 발생할수 있는 갈등을 미연에 방지하기위한 화술의 기본인 것이다.

정직이 최선은 아니다

정직이 최선은 아니다 우리는 정직이 최고라고 생각하고 그렇게 믿고 있으며 진리이며 사실이다. 하지만 거짓말을 전혀 안하고는 살 수 없는 것이다. 때로는 상대의 기분을 고려하여 상대에게 힘을 주기 위하여 때로는 사업의 수완으로 거짓말이 필요할 때가 있다. 능력이 없어서 하는 일마다 실패하는 사람이 있다고 할 때 그사람에게 "솔직하게 당신은 능력이 없어! 무슨일이든 하는 일마다 실패했잖아. 앞으로도 다른일은 될 수 있으면 안하는 것이 좋겠어." 라고 말하는 것이 정직인가? 그 말을 들으면 그사람은 심한 좌절감을 느끼며 자신의 무능함을 인정하고 그 전보다 더 무능력하게 될것이며 말하는 사람에게도 좋은 감정을 가지지 못하게 될 것이다. 그 사람에게 힘을 주려고 생각한다면 다르게 말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운이..

불편한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

불편한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 서로의 관계가 불편하고 좀처럼 친해지지 않는다고 해서 상대방을 탓할 것이 못된다. 그런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데는 자신에게 가장 큰 이유가 있을 확률이 많기 때문이다. 왜 나에게 관심을 보여주지 않는거야! 왜 나를 좋아하지 않지? 라고 생각하기 전에 나는 상대방에게 얼마만큼 관심을 보이고 그사람을 얼마만큼 좋아하는지 반문하여 보자. 나는 상대방에게 관심을 가지지 않고 좋아하지도 않으면서 상대방이 나를 좋아해주기를 바라지는 않는가? 그렇다면 왕자병이나 공주병을 앓고 있는 심각한 중증이다. 내가 먼저 상대방에게 따뜻한 말을 건네고 재미있는 말을 해주고 만나면 먼저 인사하여 보자. 그렇게 하는데도 상대가 관심을 가져주지 않는다면 그때가서 불평불만을 늘어 놓도록 하여라

대인 관계는 메아리와 같다

대인 관계는 메아리와 같다 대인관계란 메아리와 똑같다. 실예로 연예계를 가만히 살펴보면 별로 히트한 노래가 없는데도 오래동안 인기를 유지하는 가수들을 볼 수가 있는데 이는 대인관계를 아주 잘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평소 대인관계가 좋지 않은 가수는 아무리 히트한 노래가 많아도 인기가 사라지면 그것으로 재기는 불가능해진다. 그것으로 노래 인생은 끝난다. 주는 대로 돌아온다. 만약 당신이 상대에게 이익을 주면 상대도 당신에게 이익을 줄 것이다. 돛단배 두 척이 바다에 떴다. 한 척은 동으로 가고 한 척은 서로 간다는 시가 있다. 똑 같은 돛단배가 똑 같은 바다에서 똑 같은 방향의 바람을 받으면서 똑 같이 떴는데 왜 한 척은 동으로 가고 한 척은 서로 가느냐? 같이 가야하는데 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느냐?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