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토릭 성지

서울 용산구***한국 천주교 순교聖地 순례ㅡ용산 원효로 2가ㅡ당고개 순교聖地

문성식 2022. 3. 20. 12:01

용산 원효로 2가ㅡ당고개 순교聖地




당고개(堂峴, 원효로 2가의 문배산 자리)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 2가 만초천(蔓草川)변의 옛 이름이며 용산 전자상가에서 도보로 불과 5분 거리인 작은 언덕에 있다.


특히 조선 후기 천주교 신자들을 처형하던 곳으로 1839년(헌종 5)의 기해박해때 천주교에 대한 박해로 전국에서 200여 명이 순교하였는데, 이곳에서도 많은 신자들이 참수되었다.


기해박해가 거의 끝나 가던 12월 27일(음력)과 28일에는 당고개에서 다시 한번 망나니들의 칼날이 10명의 순교자를 탄생시켰다. 당고개 순교지는 서소문 밖 네거리, 새남터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성인을 탄생시킨 성지이다.


한국 교회에서 가장 많은 순교자를 배출한 서소문 밖 네거리 형장에서 41명의 순교자들이 목숨을 잃은 1839년 기해박해 당시 이곳 저자거리를 중심으로 장사를 하던 장사치들은 음력설 대목장에는 처형을 중지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이에 따라 서소문 밖 형장을 피해 조금 한강가로 나간 곳이 당고개이다.


이곳은 1840년 1월 31일과 2월 1일 양일에 걸쳐 10명의 남녀 교우들이 순교함으로써 기해 박해를 장엄하게 끝맺은 거룩한 곳이다. 이곳에서 순교한 이들 중에서 박종원, 홍병주·영주 형제, 손소벽, 이경이, 이인덕, 권진이, 이문우, 최영이 등 9명이 성인품에 올랐다.


하지만 당고개의 순교자이면서 최경환 성인의 부인이요, 최양업 신부의 어머니인 이성례만은 시복 조서에서 제외돼 성인품에 오르지 못했다. 그러나 124위 시복시성 추진 대상자에는 포함되어 있다. 본래 부모와 함께 어린 아이를 투옥시키는 일은 국법에도 없었으나 큰아들 최양업을 사제로 봉헌하기 위해 외국에 유학 보낸 이 집에 대해서는 예외였다.


어머니와 함께 옥에 갇힌 아이들은 국법에도 없는 일이라 밥도 나오지 않고 어쩌다 한 덩어리 밥이 나오면 어린 아이들에게 나누어주고 자신은 굶기 일쑤였다. 세 살짜리 막내는 그나마도 얻어 먹지 못해 빈 젖을 빨다 그만 목숨을 잃고 말았던 것이다. 어린 자식의 죽음을 눈앞에서 당한 어머니는 자칫 네 자녀를 모두 죽이고 말 것만 같아 짐짓 배교하겠노라고 하고 옥을 나왔다.


지극한 모성애와 극도의 슬픔 속에서 그는 어쩔 수 없는 인간적 선택을 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결국 이성례 마리아는 아이들과 문전 걸식으로 목숨을 부지하다가 남편 최경환이 홀로 감옥에서 겪을 고통을 생각하고 아이들이 동냥 간 사이 다시 남편 곁으로 돌아와 다시금 갇힌 몸이 된다.


6세부터 15세까지 네 형제가 부모를 가둔 옥에 찾아와 울부짖자 철이 든 맏이 희정은 어머니가 다시 배교할 것을 우려해 어린 동생들을 달래 발걸음을 돌린다. 그후 동냥한 음식을 틈틈히 부모에게 넣어 주면서 이성례가 참수되기 하루 전 어린 형제들은 동냥한 쌀과 돈 몇 푼을 메고 희광이를 찾는다.


"우리 어머니가 아프지 않게 한칼에 하늘 나라에 가도록 해주십시오." 이에 감동한 희광이들은 밤새 칼을 갈아 당고개에서 그 약속을 지켰다. 그리고 먼 발치에서 어머니의 죽음을 지켜본 어린 4형제는 동저고리를 벗어 하늘에 던지며 용감한 어머니의 순교를 기뻐했다는 눈물겨운 이야기가 전해져 온다.


▲당고개 순교聖地 위치도

◆순교자

◆ 성 박종원 아우구스티노(1792∼1840)
서울 중인 집안에서 태어난 박종원은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와 함께 매우 궁핍하게 살면서 열심히 신앙생활을 하였다. 범(앵베르) 라우렌시오 주교가 입국한 뒤 회장직을 맡아 보며 온갖 위험을 무릅쓰고 교회 일에 헌신하였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피신해 있던 그는 체포의 위험을 무릅쓰고 옥에 갇힌 교우들과 연락하여 그들에게 위로와 용기를 북돋아 주었다. 그는 피신한 지 8개월 만인 10월 26일에 체포되었고, 이튿날 그의 아내 고순이도 체포되어 같은 옥에 갇히게 되었다. 박종원은 포청에서 아내와 함께 서로 위로하고 격려하며 순교를 준비하였고 또 아내와 함께 혹형과 고문을 견디어 냈다. 1840년 1월 31일 5명의 교우와 함께 당고개에서 48세의 나이로 참수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 성 홍병주 베드로(1798∼1840)
서울 명문 양반가에서 태어난 홍병주는 1801년 신유박해로 할아버지 홍낙민이 순교하자 아버지를 따라 충청도 서산으로 이사하여 그 곳에서 자랐다. 조상부터 지켜 온 신앙을 물려받아 독실한 신앙생활을 하였으며, 동생 홍영주와 함께 충청도 내포 지방의 회장이 되었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9월말 동생과 함께 체포되어 포청에서 몇 차례의 고문을 당한 뒤 형조로 이송되었는데, 친척인 형조판서는 인정상 직접 신문하지 않고 하관(下官)에게 모든 수단을 다 써서 홍병주, 영주 형제를 배교시키라고 명령하였다. 이에 홍병주는 가장 지독한 형벌을 받아야 했다. 그러나 끝까지 버티어 냈고 결국 1840년 1월 31일 5명의 교우와 함께 당고개에서 참수형을 받아 42세의 나이로 동생보다 하루 먼저 순교하였다.

◆ 성 홍영주 바오로(1801∼1840)
명문 양반의 후예로 서울에서 태어난 홍영주는 충청도 내포 지방의 여사울에서 자랐다. 대대로 이어온 신앙을 이어받아 독실한 신앙생활을 하였고, 형 홍병주와 함께 충청도 내포 지방의 회장으로 교회 일에 헌신하였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고 서양 신부들이 체포된 뒤 9월 말에 이르러 홍영주는 형과 함께 서양 신부들에게 은신처를 제공한 죄로 체포되었다. 1840년 2월 1일, 하루 먼저 순교한 형의 뒤를 따라 2명의 교우와 함께 당고개에서 39세의 나이로 참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

◆ 성녀 손소벽 막달레나(1801∼1840)
서울의 교우 가정에서 태어난 손소벽은 1801년 신유박해 때 아버지가 순교하고 또 어머니마저 일찍 세상을 떠나 외할머니 밑에서 자랐다. 17세 때 최창흡과 혼인하였으며, 1821년 전국에 콜레라가 퍼지자 남편과 함께 대세를 받고 성체를 모시고부터는 신앙생활을 열심히 하였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6월, 손소벽은 가족과 함께 체포되었는데, 사위 조신철이 북경에서 가져온 교회 물건의 출처 때문에 포청에서 주리 세 차례, 태장 260대를 맞는 혹형을 당하였으며, 형조에서도 세 차례의 형문(刑問)을 당하였다. 1840년 1월 31일 5명의 교우와 함께 당고개에서 39세의 나이로 참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 성녀 이경이 아가타(1813∼1840)
동정 순교자인 이경이는 태중 교우로 태어났다. 혼기에 이르러 어떤 내시에게 속아 혼인하였으나 곧 집으로 돌아왔으며, 범 라우렌시오(앵베르) 주교는 그 혼인을 무효화시켰다. 그 뒤 아버지를 여의고 생계가 막연해지자, 어머니를 시골에 사는 외삼촌에게 부탁하고 상경하여 한영이, 권진이 모녀의 집에서 살며 신앙생활을 하였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 7월 17일 한영이, 권진이 모녀와 함께 체포되었는데, 밀고자 김순성의 간교로 한영이만 포청에 갇히고 이경이는 권진이와 사관청(仕官廳)에 갇히게 되었다. 사관청에서 한 포졸이 권진이를 납치하려 하자 이경이는 권진이와 함께 탈출하였다. 그러나 곧 체포되었고 1840년 1월 31일 5명의 교우와 함께 당고개에서 27세의 나이로 참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

◆ 성녀 이인덕 마리아(1818∼1840)
동정 순교자인 이인덕은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그 해 6월 어머니 조 바르바라, 언니 이영덕과 함께 체포되었다. 이듬해 1월 31일 당고개에서 5명의 교우와 함께 참수되어 순교하였는데, 그 때 그의 나이는 22세였다.


◆ 성녀 권진이 아가타(1819∼1840)
서울에서 태어난 권진이는 아버지의 유언에 따라 어머니 한영이와 함께 입교하였다. 13세경 혼인하였으나 남편이 너무 가난하여 남편의 친척인 정하상의 집에서 살았다. 1833년 중국인 유방제 신부가 입국한 뒤부터 신부의 시중을 들었는데, 유 신부가 조선을 떠나게 되자 어머니에게 돌아갔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난 해 7월 17일, 같이 살던 한영이, 이경이와 함께 체포되었다. 옥살이 중 한 차례 도망쳤던 죄로 포청과 형조에서 매우 가혹한 형벌을 받았으나 끝까지 신앙을 지켜 1840년 1월 31일 5명의 교우와 함께 당고개에서 참수형을 받아 21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 성 이문우 요한(1809∼1840)
‘경천’으로도 불렸던 이문우는 경기도 이천의 양반 교우 집안에서 태어났는데, 5세 때 부모를 여의고 서울의 오 바르바라라는 여교우에게 입양되어 성장하였다. 독신으로 살아가고자 하였으나 양모의 뜻에 순종하여 혼인하였고, 몇 년 뒤 아내와 두 자녀가 세상을 떠나자 평생 독신으로 살았다. 범 라우렌시오(앵베르) 주교에게 회장으로 임명되어 전교에 힘쓰고 범 주교를 도와 지방을 순회하였다.


1839년 기해박해로 많은 교우들이 체포되자 사방에서 희사를 모아 옥에 갇힌 교우들을 돕고 박해 상황을 주교와 신부들에게 보고하던 중 11월 11일에 체포되었다. 이때에 “주님께서 특별한 은총으로 나를 부르시니 어찌 그분의 부르심에 대답하지 않을 수 있는가?" 하며 오히려 당황하는 포졸들을 재촉하여 포청으로 갔다. 포청과 형조에서 모진 고문을 참아 낸 끝에 1840년 2월 1일 당고개에서 2명의 교우와 함께 31세의 나이로 참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 성녀 최영이 바르바라(1818∼1840)
서울에서 태어난 최영이는 어려서 아버지 최창흡과 어머니 손소벽의 모범을 따라 입교한 뒤 열심히 신앙생활을 하다가 20세 때 조신철과 혼인하여 아들 하나를 두었다.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친정에 피신해 있다가 6월에 친정 식구들과 함께 체포되었는데, 어린 아들을 생각하는 모정으로 배교할까 두려워 아들을 친척에게 맡겼다. 남편이 중국에서 가져온 교회 서적과 성물 때문에 포청에서 주리 두 차례, 태장 260대의 혹형을 당하였지만 조금도 굴복하지 않았고, 형조에서도 세 차례의 형문을 이겨 냈다. 1840년 2월 1일 홍영주, 이문우와 함께 당고개에서 22세의 나이로 참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 복자 이성례 마리아 (1801∼1840)
1801년 충청도 홍주에서 태어난 이성례 마리아는 내포 지역의 사도 이존창의 집안 사람이었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남성처럼 씩씩한 정신을 지녔던 그녀는 18세 때 성 최경환(프란치스코)과 혼인하여 홍주 다락골의 새터에서 살면서 1821년에 장남 최양업(토마스)을 낳았다.


1839년 기해박해 때 수리산 교우촌에서 포도청으로 압송된 마리아는 젖먹이 스테파노와 함께 여인들의 감옥에 수감되었다. 이후 남편이 매를 맞다가 순교하고, 스테파노가 감옥 바닥에서 죽어 가는 것을 바라보고 마음이 흔들리기 시작한 그녀는 석방되어 집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그러나 장남 최양업이 신학생으로 선발되어 중국에서 유학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고, 이내 그녀는 다시 체포되어 형조로 압송되었다. 1840년 1월 31일(음력 1839년 12월 27일), 마리아는 동료 신자 6명과 함께 당고개에서 참수형을 받아 순교하였으니, 당시 그녀의 나이는 39세였다.


▲당고개 순교성지 정문


▲당고개 순교성지 성당


▲당고개 순교성지 성당


▲당고개 순교성지 성당


▲당고개 순교성지 성당


▲당고개 순교성지 성당


▲당고개 순교성지 성당


▲당고개 순교성지 성당


▲당고개 순교성지 성당


▲당고개 순교성지 성당


▲당고개 순교성지 성당


▲당고개 순교성지


▲당고개 순교성지


▲당고개 성지 1층 잔디 광장으로 들어가는 한옥 대문


▲성지 1층의 한옥 성모상


▲한옥 성물방


▲순교성인 현양탑


▲성녀 최영이 바르바라 


▲성 박종원 아우구스티노


▲성 이문우 요한


▲성 홍병주 베드로


▲성 홍영주 바오로


▲성녀 권진이 아가타


▲성녀 손소벽 막달레나


▲성녀 이경이 아가타


▲성녀 이인덕 마리아


▲성녀 이경이 아가타


▼토담길 십자가의 길



◆십자가의 길 14처(The Via Dolorosa)


제1지점 : 빌라도 법정에서 예수가 재판을 받은 곳.


제2지점 : 예수가 가시관을 쓰고 홍포를 입고 희롱당한 곳.


제3지점 : 예수가 십자가를 지고 가다 처음 쓰러진 곳.


제4지점 : 예수가 슬퍼하는 마리아를 만난 곳.


제5지점 : 시몬이 예수 대신 십자가를 진 곳.


제6지점 : 성 베로니카 여인이 예수의 얼굴을 닦아준 곳.


제7지점 : 예수가 두번째로 쓰러진 곳.


제8지점 : 예수가 여인들을 위로한 곳.


제9지점 : 예수가 세번째로 쓰러진 곳.


제10지점 : 예수가 옷 벗김을 당한 곳


제11지점 : 예수가 십자가에 못박힌 곳.


제12지점 : 예수가 십자가 위에서 운명한 곳.


제13지점 : 예수의 시신을 놓았던 곳.


제14지점 : 예수가 묻힌 곳


▲감실


▲감실


▲강론대


▲10위 순교자 상징 기둥과 독서대


▲내부 십자가의 길


▲성수대


▲내부 한지 유리화


▲성당 옆에 위치한 전시관 


▲성녀 최영이


▲성녀 손소벽


◆십자가의 길

◆십자가의 길 14처 

▲십자가의 길 1처


▲십자가의 길 2처


▲십자가의 길 3처


▲십자가의 길 4처


▲십자가의 길 5처


▲십자가의 길 6처


▲십자가의 길 7처


▲십자가의 길 8처


▲십자가의 길 9처


▲십자가의 길 10처


▲십자가의 길 11처


▲십자가의 길 12처


▲십자가의 길 13처


▲십자가의 길 14처


The Via Dolorosa(십자가의 길 14처)


제1지점 : 빌라도 법정에서 예수가 재판을 받은 곳.


제2지점 : 예수가 가시관을 쓰고 홍포를 입고 희롱당한 곳.


제3지점 : 예수가 십자가를 지고 가다 처음 쓰러진 곳.


제4지점 : 예수가 슬퍼하는 마리아를 만난 곳.


제5지점 : 시몬이 예수 대신 십자가를 진 곳.


제6지점 : 성 베로니카 여인이 예수의 얼굴을 닦아준 곳.


제7지점 : 예수가 두번째로 쓰러진 곳.


제8지점 : 예수가 여인들을 위로한 곳.


제9지점 : 예수가 세번째로 쓰러진 곳.


제10지점 : 예수가 옷 벗김을 당한 곳


제11지점 : 예수가 십자가에 못박힌 곳.


제12지점 : 예수가 십자가 위에서 운명한 곳.


제13지점 : 예수의 시신을 놓았던 곳.


제14지점 : 예수가 묻힌 곳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