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 보물 제991호 |
---|---|
소재지 | 경북 문경시 산북면 전두리 8 대승사 |
소재지 | 산북면 대승사 |
지정일 | 1989.04.10 |
수량/면적 | 1구 |
시대 | . |
소유자 | 대승사 |
관리자 | 대승사 |
자료출처 및 참조 | 문화재청 |
경상북도 문경군 산북면 전두리 대승사의 선방(禪房)에 유리상자로 씌워져 봉안되어 있는 보살좌상이다. 이 불상은 복장(腹藏) 관음보살원문(觀音菩薩願文)의「정덕십일년병자사월일개금(正德十一年丙子四月日改金 …)」이라는 기록으로 미루어 조선조 11대 중종(中宗)11년(1516) 개금하기 이전인 15세기 후반기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높이 90㎝, 보관(寶冠)높이 15㎝, 머리높이(頭高) (보관포함) 37㎝, 어깨넓이 28㎝, 무릎폭(膝幅) 57.5㎝이다.
머리에는 금속의 화려한 보관을 썼으며, 양쪽 귀에 걸친 보발(寶髮)은 여러 가닥으로 흩어져 어깨를 덮고 있다. 정제(整齊)된 이목구비는 원만한 얼굴을 이루고 있으며 미간에는 백호(白毫)가 표현되어 있다. 양쪽 귀는 약간 짧은듯한 느낌을 주며 목에는 삼도(三道)가 명확하게 표현되어 있다. 통견(通肩)의 불의(佛衣)는 양쪽 팔에 걸쳐 무릎을 덮었고, 영락(瓔珞)장식은 가슴, 배, 양쪽 무릎 등에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수인(手印)에 있어서는 오른손은 어깨까지 들어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손바닥을 밖으로(外掌)하고 있고, 왼손은 팔꿈치와 수평으로 들어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손바닥을 위로(上掌)하고 있다.
이같은 특징을 지닌 대승사의 금동보살좌상은 가슴, 배, 무릎에 걸쳐 장식된 영락장식이 장육사, 파계사관음상과 흡사하지만 단지 어깨나 등의 번잡한 장식이 옷속에 감추어진 것이 다르다. 특히 띠매듭 바로 위의 군의(裙衣) 상단이 긴 상체의 가운데에 표현되어 마치 보살상을 양분(兩分)한 것처럼 보이게 한 것 또한 이 불상만의 현저한 특징이라 할 수 있겠다.
'한국의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993호 영덕장육사건칠보살좌상(盈德莊陸寺乾漆菩薩坐像) (0) | 2016.01.07 |
---|---|
보물 제992호 대구파계사건칠관음보살좌상및복장유물(大邱把溪寺乾漆觀音菩薩坐像및腹藏遺物) (0) | 2016.01.07 |
보물 제990호 상주 남장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尙州 南長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0) | 2016.01.07 |
보물 제989호 예천용문사대장전목불좌상및목각탱(醴泉龍門寺大藏殿木佛坐像및木刻幀) (0) | 2016.01.07 |
보물 제988호 군위대율동석불입상(軍威大栗洞石佛立像) (0) | 2016.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