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 보물 제988호 |
---|---|
소재지 | 경북 군위군 부계면 대율리 691 대율사 |
소재지 | 부계면 대율사 |
지정일 | 1989.04.10 |
수량/면적 | 1구 |
시대 | |
소유자 | 대율사 |
관리자 | 대율사 |
자료출처 및 참조 | 문화재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경상북도 군위군 부계면 대율리 대율사에 있는 신라시대의 불상. 높이 265cm.
거대한 입상인 이 불상은 광배는 없지만 신체는 완전하게 남아 있다. 소발의 머리카락과 큼직한 육계 등은 통일신라시대의 일반적 머리문양과 흡사한 것이다.
얼굴은 둥글고 비교적 박력있는 모습인데 이목구비가 정제되고 아담하여 세련된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짧은 목에 삼도를 뚜렷하게 표시하여 전반적으로 움츠린 듯 보이지만, 그러나 전체적으로 당당한 모습이다.
젖가슴의 양감은 없지만 어깨는 자연스럽고 둥글게 처리하였으며, 가슴도 단아하고, 당당하게 서 있는 하체도 두 다리를 양감있게 처리하여 통일신라불상의 세련미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오른손은 내려 손바닥을 보이는 외장(外掌)의 수인을 나타내고, 왼손은 가슴에 붙이고 있는데 손은 비록 큼직하지만 세련된 수법으로 표현되고 있다. 발도 둥근 대좌 위에 부조로 새겼는데 손처럼 큼직한 편이다.
통견(通肩)의 대의(大衣)는 목 부근에서 옷깃을 접어 넘긴 인도의 굽타식 착의법을 묘사하였다. U자형 옷주름이 전신으로 흘러내려 무릎 아래에서 호형으로 마감하였는데, 얇은 옷과 유려한 주름은 세련된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통일신라 8세기 불상의 양식적 특징과 흡사한 것으로, 당시의 양식을 잘 보여주는 석불상의 하나로 주목된다.
'한국의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990호 상주 남장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尙州 南長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0) | 2016.01.07 |
---|---|
보물 제989호 예천용문사대장전목불좌상및목각탱(醴泉龍門寺大藏殿木佛坐像및木刻幀) (0) | 2016.01.07 |
보물 제987호 당진신암사금동불좌상(唐津申菴寺金銅佛坐像) (0) | 2016.01.06 |
보물 제986호 청양운장암금동보살좌상(靑陽雲藏菴金銅菩薩坐像) (0) | 2016.01.06 |
보물 제985호 청주용화사석불상군(淸州龍華寺石佛像群) (0) | 2016.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