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 국보 제175호 |
---|---|
소재지 | 서울 용산구 용산동 6가 국립중앙박물관 |
소재지 | 국립중앙박물관 |
지정일 | 1974.07.09 |
수량 | 1점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자 | 국립중앙박물관 |
관리자 | 국립중앙박물관 |
자료출처 및 참조 | 문화재청 |
고려 백자의 전통을 이은 조선 전기의 백자 대접으로 높이 7.6㎝, 입지름 17.5㎝, 밑지름 6.2㎝이다.
입 가장자리가 약간 외반(外反)된 대접으로, 고려백자발(高麗白磁鉢)의 기형(器形)과 질(質)을 지니고 있으면서, 조선왕조(朝鮮王朝)의 양식을 소화하여 발전시킨 형식이다.
안쪽 입 가장자리에 당초문대(唐草文帶)가 있고, 바깥쪽 경사면에는 연당초문대(蓮唐草文帶)를 돌려 놓았다. 태토(胎土)는 석고(石膏)와 같은 질감(質感)이고, 기벽(器壁)은 없다. 유약(釉藥)은 미세한 식은테가 있으며, 얇은 상태로 광택이 있다.
안쪽 입 가장자리에 당초문대(唐草文帶)가 있고, 바깥쪽 경사면에는 연당초문대(蓮唐草文帶)를 돌려 놓았다. 태토(胎土)는 석고(石膏)와 같은 질감(質感)이고, 기벽(器壁)은 없다. 유약(釉藥)은 미세한 식은테가 있으며, 얇은 상태로 광택이 있다.
바탕흙은 석고와 같은 질감으로, 벽이 얇은 그릇이다. 아가리 부분이 밖으로 살짝 벌어지고 안쪽 윗부분에는 단순화된 덩굴무늬가 둘러져 있다. 바깥면에는 그릇의 위와 아랫부분에 두 줄의 띠를 두르고, 그 안에 연꽃 덩굴 무늬를 상감기법으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백자상감류는 조선시대 15세기 중반경에 주로 만들어진 것으로 대체로 경상도와 일부 지방가마에서 고려의 수법을 계승하였다.
'문화재,도자기,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170호 청화백자매조죽문호(靑華白磁梅鳥竹文壺) (0) | 2015.09.09 |
---|---|
국보 제172호 진양군영인정씨묘출토유물(晋陽郡令人鄭氏墓出土遺物) (0) | 2015.09.09 |
국보 제176호 청화백자<홍치명>송죽문호(靑華白磁<弘治銘>松竹文壺) (0) | 2015.09.09 |
국보 제177호 분청사기인화문태호<내외호>(粉靑沙器印花文胎壺<內外壺>) (0) | 2015.09.08 |
국보 제178호 분청사기조화어문편병(粉靑沙器彫花魚文扁甁) (0) | 2015.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