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69.jpg 고려 백자의 전통을 이은 조선 전기의 백자 대접으로 높이 7.6㎝, 입지름 17.5㎝, 밑지름 6.2㎝이다.

 

입 가장자리가 약간 외반(外反)된 대접으로, 고려백자발(高麗白磁鉢)의 기형(器形)과 질(質)을 지니고 있으면서, 조선왕조(朝鮮王朝)의 양식을 소화하여 발전시킨 형식이다.

안쪽 입 가장자리에 당초문대(唐草文帶)가 있고, 바깥쪽 경사면에는 연당초문대(蓮唐草文帶)를 돌려 놓았다. 태토(胎土)는 석고(石膏)와 같은 질감(質感)이고, 기벽(器壁)은 없다. 유약(釉藥)은 미세한 식은테가 있으며, 얇은 상태로 광택이 있다.



1070.jpg 바탕흙은 석고와 같은 질감으로, 벽이 얇은 그릇이다. 아가리 부분이 밖으로 살짝 벌어지고 안쪽 윗부분에는 단순화된 덩굴무늬가 둘러져 있다. 바깥면에는 그릇의 위와 아랫부분에 두 줄의 띠를 두르고, 그 안에 연꽃 덩굴 무늬를 상감기법으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백자상감류는 조선시대 15세기 중반경에 주로 만들어진 것으로 대체로 경상도와 일부 지방가마에서 고려의 수법을 계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