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 보물 제507호 |
---|---|
소재지 |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274 무위사 |
소재지 | |
지정일 | 1969.06.16 |
수량/면적 | 1기 |
시대 | 고려시대 |
소유자 | 무위사 |
관리자 | 무위사 |
자료출처 및 참조 | 문화재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무위사는 《사지(寺誌)》에 의하면 617년(신라 진평왕 39) 원효(元曉)가 창건하여 관음사(觀音寺)라 하였는데, 875년(신라 헌강왕 1) 도선(道詵)이 중건하여 갈옥사(葛屋寺)라 개칭하였다. 946년(고려 정종 1)에는 선각(先覺) 형미(逈微)가 3창하여 모옥사(茅玉寺)라 하였다가, 1550년(명종 5) 태감(太甘)이 4창하고 무위사라 개칭하였다.
그러나 경내에 있는 보물 507호인 선각대사편광탑비(先覺大師遍光塔碑)의 비명(碑銘)에 의하면 신라시대에도 이미 무위갑사(無爲岬寺)로 불렸으므로 《사지》에 오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때의 당우(堂宇)는 본절이 23동, 암자가 35개로서 모두 58동에 이르는 대사찰이었는데, 그 후 화재 등으로 축소되었다.
최근까지만 해도 남아 있는 당우는 극락전과 명부전 및 요사(寮舍)뿐이었는데, 1974년 벽화보존각(壁畵保存閣) ·해탈문(解脫門) ·분향각(焚香閣) ·천불전(千佛殿) ·미륵전(彌勒殿) 등을 중건하면서 옛날의 모습을 찾을 수 있게 되었다. 이 중 국보 제13호 극락전은 벽에 29점의 벽화가 있었으나, 지금은 본존불(本尊佛) 뒤의 탱화(幀畵)만 남아 있고, 28점은 보존각에 소장되어 있다. 이 벽화들은 법당이 완성된 뒤 찾아온 어떤 노거사(老居士)가 49일 동안 이 안을 들여다보지 말라고 당부한 뒤에 그렸다는 전설이 있다.
선각대사편광영탑과 나란히 서있는 이 탑비는 선각대사를 기리기 위해 세운 것으로, 고려 정종 원년(946)에 건립되었다.
선각대사의 법위는 형미, 속성은 최씨이다.
신라 헌강왕 8년 (882) 18세에 구례 화엄사에서 구족계를 받았으며, 그 후 가지산 보림사 구산선문의 태두인 보조선사에게 찾아가 선법을 배운 뒤 27세에 당나라에 들어가 운거도응의 심인을 받고 효공왕 9년 (905)에 귀국하여 강진 무위갑사에 머무르니 이때가 대사의 나이 41세때의 일이다.
비문은 `속년오십유승삼십유오우`라 하였으니 무위갑사에 머무른지 13년후 시작하였다. 또 말미는 `개운삼세차병우오월경인삭이십구일유무오립`이라 기록되어 있다.
고려 태조 원년(918)에 54세의 나이로 입적하자 고려 태조가 ‘선각’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탑이름을 ‘편광탑’이라 하였다. 입비년인 개운삼년은 고려정종원년(946)으로서 대사의 입적 후 28년이 되는 해이다. 비는 극락보전 서방 약 30m에 위치하고 있다.
이 석비는 귀부(龜跌) 위에 비신을 세우고 이수(이首)를 구비한 전통적 일반형의 것이다. 귀부의 두부(頭部)는 양각(陽刻)을 뚜렷이 조각한 용두(龍頭)로 되었으며 함주구강(含珠口腔)은 투각되어 있다. 배면에는 육각(六角) 갑문(甲文)을 양각하고 비좌(碑座)의 전후 2면에는 보운문(寶雲紋), 양측면에는 안상(眼象)을 각각 조각하였다. 이수에는 삼단의 충급형 받침을 새겨 복련화문(覆蓮華紋)을 장식하였고 이수 주위는 모두 반결운룡문(蟠結雲龍紋)과 반결쌍룡문(蟠結雙龍紋)을 각식하였다. 중앙에는 비의 이름을 새겼던 네모진 공간이 있으나 마멸되어 글씨를 알아볼 수 없고, 그 주위로 구름속 용의 모습을 조각하였는데 이는 죽은 사람의 영혼이 천상세계로 가기를 기원하는 의미이다.비제(碑題)는 "고려국(高麗國) 고무위갑사(故無爲岬寺) 선각대사(禪覺大師) 편광영탑비명(遍光靈塔碑銘) 병서(幷序)"라 시작해서 찬자(撰者) 최언휘(崔彦)와 서자(書者) 유훈률(柳勳律)의 관등(官等) 성명(姓名)을 기록하고 있다.
각부의 조각기법은 당대의 다른 비석에 비하여 사실(寫實)의 경향을 띠어 조각예술로서의 우수성을 보여준다. 여기에 새겨진 글자의 크기는 2cm이고 해서체(楷書體)이다.
'한국의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509호 구례논곡리삼층석탑(求禮論谷里三層石塔) (0) | 2015.08.31 |
---|---|
보물 제508호 예산삽교석조보살입상(禮山揷橋石造菩薩立像) (0) | 2015.08.31 |
보물 제506호 담양읍오층석탑(潭陽邑五層石塔) (0) | 2015.08.31 |
보물 제505호 담양읍석당간(潭陽邑石幢竿) (0) | 2015.08.31 |
보물 제504호 영광신천리삼층석탑(靈光新川里三層石塔) (0) | 2015.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