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62.jpg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미륵사지에 있는 백제시대의 석탑. 높이 14.24m.

 

백제 최대의 절이었던 익산 미륵사터에 있는 탑으로, 무너진 뒤쪽을 시멘트로 보강하여 아쉽게도 반쪽탑의 형태만 남아 있다. 현재는 6층까지만 남아 있으며, 정확한 층수는 알 수 없다.

 

우리 나라 최고최대(最古最大)의 석탑으로 현재 노상마을의 남쪽 원위치에 서 있는데, 거의 전면이 무너져 동북면 한 귀퉁이의 6층까지만 남아 있으나 본래는 평면방형탑(平面方形塔)으로서 6층 이상의 탑신을 형성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석탑은 서쪽면의 붕괴가 가장 심하고 동쪽면의 북쪽과 북쪽면의 동쪽 일부분만이 원형을 보이고 있는 상태였으며, 전체가 무너지기 직전이어서 1910년경에 시급한 보존책으로 파괴 부분에 시멘트를 발라 ‘계단피라미드’형으로 석탑을 고정시켜 석탑 전체의 파괴를 방지하였다.

 

일제시대에는 미륵사지를 조사한 일본인들이 이 탑의 동쪽에 같은 규모의 목탑(木塔)이 있었다고 하였지만, 광복 후 국내학자들의 재조사에 의하여 동쪽 탑도 목탑이 아니라 석탑임이 밝혀져서, 이른바 동서 쌍탑(雙塔)의 배치였음을 알게 되었다.

이 석탑을 우리나라 최고의 석탑으로 보고 있는 이유는 이 탑의 양식이 그 이전에 성행하였던 목탑의 각 부 양식을 나무 대신 돌로써 충실하게 재현하였기 때문이다.

 

8163.jpg 각 부의 구조를 살펴보면 기단부는 목탑과 같이 낮고 작은 편이며, 초층옥신(初層屋身)은 각 면이 3칸씩인데 중앙 1칸에는 사방에 문호(門戶)를 마련하여 내부로 통하게 하였으며, 그 내부 중앙의 교차되는 중심에는 거대한 방형 석주(石柱), 곧 찰주(擦柱)를 세워 탑을 지탱하게 하였다.

 

각 면에는 엔타시스(entasis : 배흘림)가 있는 방형 석주를 세우고 그 위에 평방(平枋)과 창방(昌枋)을 가설하였으며, 또 그 위에 두공양식을 모방한 3단의 받침으로 옥개석(屋蓋石)을 받치고 있다.

 

2층 이상의 옥신은 초층보다는 훨씬 낮아졌으나 각 층 높이의 차이는 심하지 않으며, 각 부의 가구수법(架構手法)은 약화되었다. 옥개는 낮고 넓은데 네 귀퉁이의 전각(轉角)에 이르러 약간의 반전(反轉)을 보이며, 2층 이상의 옥개석은 위로 올라갈수록 폭이 줄어들었을 뿐, 두공양식의 3단 옥개받침이나 전각의 반전 등 초층과 같은 수법을 보이고 있다.

 

이 석탑의 원형에 대해서는 일제시대 일본학자들이 9층탑으로 복원도를 제시한 바 있고 상륜부(相輪部)도 목탑의 상륜으로 고찰하기도 하였으나 아직까지 확실한 것은 알 수 없다.

 

다만, 현재 남아 있는 규모로 보아 적어도 7층은 되었으리라고 추측되며, 여기에 상륜부까지의 높이를 더한다면 실제로 20m에 달하는 거대한 석탑이었으리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문화재연구소 미륵사지발굴조사단의 발굴조사 중 동탑지 부근에서 노반석(露盤石)이 출토되면서 다시 9층설이 대두되었다.

 

 탑의 건립연대에 대해서는 과거 일본학자들이 통일신라시대로 비정한 바 있고, 국내학자들이 백제의 공주 도읍기인 동성왕대로 추정하기도 하였으나, ≪삼국유사≫ 권2 무왕조(武王條)에 보이는 기록 및 석탑의 형식 등으로 보아 백제 말기인 무왕대(600∼641)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20090902_0039.jpg

 

   20090902_0032.jpg

해체 복원 중 기단부가 드러난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