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불화,탱화

천관사 天冠寺

문성식 2015. 7. 27. 21:33
소재지 :  
원문참조 및 출처 :  
사진출처 :  

0357.jpg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농안리 천관산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인 송광사의 말사이다. 천관산은 지제산(支提山)이라고도 한다.

 

신라 진흥왕 때 통령화상(通靈和尙)이 보현사(普賢寺)·탑산사(塔山寺)·옥룡사(玉龍寺) 등 89암자와 함께 창건하였으며, 천관보살(天冠菩薩)을 모셨다 하여 사찰명을 천관사라 하였다.

9세기에는 천관사의 홍진대사(洪震大師)가 훗날 신무왕(神武王)이 되는 김우징(金祐徵)과 관계가 돈독하였는데, 이곳에서 함께 참례하여 화엄신중을 감동시킴으로써 김우징이 왕위에 오를 수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바닷가에 위치한 관계로 신라 말기부터 고려시대, 그리고 조선시대를 통하여 왜구의 침입으로 차차 그 규모가 축소되었다. 1659년(효종 10)에 천관사의 역사를 담은 〈지제산사적 支提山事蹟〉을 펴냈으며, 그전에도 1561년(명종 16)에 ≪묘법연화경≫을 펴낸 것을 비롯하여 전부 13차례나 경전 등을 간행하였다.

 

1963년에 한택이 대웅전과 칠성당을 중건하였는데, 이 무렵 한때 관산사(冠山寺)라고도 불렀다. 1986년에 도통이 중창하였으며, 1980년에 요사 2동을 지었고 1991년에 범종각을 지어 오늘에 이른다.

 

현재 천관보살을 봉안하였던 법당을 비롯해서 삼성각·범종각·요사 등의 건물이 있다. 법당은 극락보전(極樂寶殿)으로 편액되어 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극락보전은 건축양식이 간결하고 지붕의 선이 직선형이며, 벽면의 장식도 기교보다는 현실적으로 꾸며져 소박함을 보여주고 있어 고려시대의 간결미가 그대로 나타나 있다.

 

현존하는 유물로는 삼층석탑이 보물 제79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석등이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4호로 지정되어 있고, 오층석탑이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5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중 석등은 화강석으로 만든 높이 2.5m의 고려 말기 작품이다.

 

12.gif 교통안내

장흥읍에서 2번 국도로 강진방면으로 조금 가면(길 왼쪽으로 장흥 초등학교를 지나친다) 감 천교 바로 못미쳐 왼편으로 관산.대덕으로 가는 23번 국도가 나온다. 23번국도를 따라 좌회 전해 16.8km 가면 관산읍이다. 읍에서 칠량(강진)으로 난 837번 지방도로를 따라 약 2.5km 가면 용전리 와룡마을(와룡교를 건너면 곧 마을이다)에 닿은 후 왼쪽으로 난 마을길을 지나 천관산으로 오르면 산중턱에 위치한다. (마을을 지나 절까지 승용차로 절까지 갈수 있다.)

영암-13번국도-학송삼거리-835번 지방도로-19km-남정리 3거리-우회전-영전3거리- 왼쪽23번도로-15.8km-관산읍-837번 지방도로-천관사

 

12.gif 현지교통 

장흥 → 천관사

1) 장흥고속터미널에서 관산방면 버스가 수시로 운행 소요시간은 20분
2) 관산읍터미널에서 농안방면 버스가 1일 6회 운행, 버스 소요시간은 15분정도가 걸리며 용전마을에서 하차하여 도보로 15분정도 걸으면 천관사에 도착

 

12.gif 주변관광지

 

12.gif 등산로

관산읍 - 당동마을 정산표시 매점앞 - 정상 - 천관사 - 용전리(11.8km) 내동 - 장천재 - 정상 - 수동마을 - 외동정류소(8.5km)

 

12.gif 입 장 료

 

12.gif 주차시설

 

12.gif 도움전화

천관사 061-867-2954

'사찰,불화,탱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황사 天皇寺  (0) 2015.07.27
천은사 泉隱寺  (0) 2015.07.27
진관사 津寬寺  (0) 2015.07.27
직지사 直指寺  (0) 2015.07.24
증심사 證心寺  (0) 2015.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