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 통영시 광도면 |
---|---|
원문참조 및 출처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전통사찰 종합정보 |
사진출처 : | 문호재청 |
경상남도 통영시 광도면 안정리 벽발산(碧鉢山)에 있는 절. 대한불교법화종에 속한다.
654년(태종무열왕 1)에 원효대사(元曉大師)가 창건하였고, 한때는 14방(坊)의 당우를 갖춘 전국 굴지의 사찰이었다.
1309년(충선왕 1)에 회월선사(會月禪師)가 중건한 뒤, 1626년(인조 4)과 1733년(영조 9), 1841년(헌종 7)·1880년(고종 17)에 중수와 중건이 있었다. 송설호(宋雪虎)는 1950년대에 이곳에 와서 끊임없이 중건하여 이 절을 법화종에서 가장 큰 사찰로 만들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명부전·나한전·칠성각·응향각(凝香閣)·만세루·탐진당·광화문·범종루·천왕문·요사채 등이 있다. 이 중 대웅전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80호로 지정된 정면 3칸, 측면 3칸의 건물로서 1358년(공민왕 7)에 조성한 삼존불이 봉안되어 있다.
1686년(숙종 12)에 창건되어 1841년(헌종 7)에 중수된 누각인 만세루는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4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또한, 나한전은 1626년에 원민대사가 중건한 정면 3칸, 측면 2칸의 건물로서 석가모니불과 16나한상 등 23구의 불상이 봉안되어 있다.
이 밖에도 만력(萬曆) 8년(1580)의 명(銘)이 새겨진 아름다운 범종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8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1702년(숙종 28)에 조성한 33척(약 10m)의 괘불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82호로 지정되어 있고, 1650년(효종 1)에 만든 원경(圓鏡)과 ≪금강경 金剛經≫·≪삼돌경 三突經≫ 등의 목판 31매 등이 있다.
또한 대궐에서 하사받은 가마인 채여(彩輿)와 인수·궤 등의 유물을 보관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이 절의 송림을 둘러싸고 시비가 일어나자 왕실에서 도벌자를 절에서 벌할 수 있게 어패인 금송패(禁松牌)를 내린 경위가 전한다. 이 가운데 채여와 금송패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84호로 지정되어 있다.
채여는 사람이 타는 가마가 아니라 불사(佛事)나 행사가 있을 때 불상을 이운하거나 불경 혹은 다른 귀중한 불구(佛具)를 옮길 때 사용하던 것이다. 그리고 금송패는 왕실에서 임명한 산림감시원의 신분증이다. 그러나 이 채여는 1993년 3월 13일에 후불탱화와 함께 도난당하고 없다.
부속암자로는 은봉암(隱鳳庵)과 의상암(義湘庵)·가섭암(迦葉庵)이 있다. 이 중 은봉암은 634년(선덕여왕 3)에 징파화상(澄波和尙)이 창건하였으며, 약수가 유명하다. 의상암은 663년(문무왕 3)에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천공(天供)을 받으며 좌선하였다는 의상선대(義湘禪臺) 아래에 있으며, 가섭암은 669년에 봉진(奉眞)이 창건하였다.
이 밖에도 원효암·천개암(天開庵)·장의암(藏義庵)·윤필암(潤筆庵)·만리암(萬里庵) 등 많은 암자가 산재하였으나 지금은 절터만 남아 있다.
그런데 은봉암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설화가 전한다. 옛날 이곳에는 자연석 세 개가 서 있었는데 그 중 한 개가 넘어진 뒤 해월선사(海月禪師)라는 도인이 나타났고, 또 한 개가 넘어진 뒤에 종열선사(宗悅禪師)라는 도인이 나타나 도를 통하였다.
그 뒤 이 돌들을 성석(聖石)이라 불렀는데 그 중 한 개만 남아 새로 나타날 도인을 기다리고 있다. 이 절 주위에는 은봉성석을 비롯한 벽발산팔경(碧鉢山八景)이 있다.
지정문화재 목록 및 해설
통영 안정사 석조 석가삼존 십육나한상[경남 유형 489]
가람배치
금송패 관련 설화
옛날부터 안정사 주지스님은 안정리 동회(洞會)에 참석해왔다. 지금부터 100여년전, 안정리의 한 세도가가 동회에서 당시의 주지 한송 스님에게 솔숲의 일부를 양도하라고 압력을 넣었다. 주지는 거절 의사를 밝히고, 그 이후 더 이상 동회에 참석하지 않았다. 안정사는 그 당시 인근 5개면에 걸쳐 100만평의 솔숲을 소유하고 있었다. 주지 한송스님은 승적을 갖기 전에는 과거에 급제하였지만 당쟁을 피해 안정사로 피신 왔다가 승려가 된 분이었다.
한송스님이 마침 주지가 되었을 때, 동문수학을 했던 이한종 거사가 고성 군수로 부임하게 되었다. 고성 군수는 마을의 세도가가 안정사의 솔숲을 넘본다는 이야기를 전해 듣고, 이장을 벌했다. 그러나 마을 이장은 장독(杖毒)으로 죽었고, 이를 빌미로 세도가는 이장의 부친을 부추겨 소나무에 대한 송사를 시작했다.
이 송사를 위해서 주지는 다시 상투를 질러 상경했고, 8년에 걸 친 소나무 송사는 마침내 안정사의 승소로 끝나게 되었다. 고종 이 안정사의 새 주지에게 인수(印綬), 궤 등과 함께 금송패 3개를 하사하였다. 반면에 안정리 세도가의 1000섬 자산은 송사로 거덜났다. 왕실이 내린 금송패와 인수를 호송하게 된 역졸들과 주지 의 행차는 한양에서 안정사에 이르기까지 신기한 구경거리였다.
그 후 안정사의 소나무 숲을 도벌하는 사람은 반상을 가리지 않 고 누구나 절에서 직접 벌할 수 있게 되었다. 도벌꾼에 대한 체 벌을 집행하고자 사찰 내에 수명장수신(壽命長壽神)을 봉안한 칠 성각(七星閣)에 고종의 사진과 함께 나라에서 하사한 인수와 금송패를 전시하여 소나무와 관련된 모든 송사를 관장했다.
사찰풍경
벽방산(碧芳山)을 바라보고 원효스님은 “의발(衣鉢)을 간직한 채 내세불(來世佛) 미륵을 기다리는 벽발산(碧鉢山)은 참으로 마땅한 절 터였으리라”라며 안정사를 창건하였습니다.
사람들은 벽방산의 바위들을 보고 석가모니부처님 십대 제자 중 한 사람인 가섭존자(迦葉尊者)가 벽발(碧鉢·스님들의 밥그릇)을 받쳐 들고 있는 모습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또 용화사가 있는 미륵산과 마주한 벽발산은 석가모니부처님이 가섭존자를 통해 미륵불에게 의발을 전하는 모양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산내암자인 가섭암이 창건된 것도 모든 이야기를 담기 위해서라고 생각합니다.
해인사보다 200년 앞서 창건된 안정사는 이같은 이야기를 살펴보면 앞으로 우리들을 교화하여 부처님나라로 인도할 선지식을 기다리는 수행공간이라고 생각합니다. 기다리는 수행공간이 아니라 수행을 통해 훌륭한 고승이 출현하여 우리들을 구제한다는 바람이 담은 사찰이라고 봅니다.
미래불을 기다리는 마음은 산내암자인 은봉암 성석(隱鳳聖石)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습니다. 옛날 이곳에는 자연석 세 개가 있었는데, 첫 번째 것이 넘어지면서 해월선사가 나타나고, 두 번째 자연석이 쓰러지면서 종렬선사가 도를 통하였다고 합니다. 그 뒤 이 돌들을 성석이라고 불렀는데, 그 중 한 개만 남아 도인을 기다리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앞으로 우리들을 구제할 선지식인 미래불은 은봉암에서 출현한다는 믿음입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지금의 안정사는 우리들에게 기다림을 가질 수 있게끔 하는 그 무엇이 없습니다. 쇄락해 가는 산사의 모습이 너무나도 가슴을 아프게 합니다. 부처님이 설하신 가르침을 배우고 실천하기보다, 부처님이 수행한 공간을 가지고 우리들은 다투고 있기 때문입니다.
교통안내
*대중교통* 통영시외버스터미널앞 시내버스(광도면 안정방면 승차)→ 광도면안정(벽방초등학교)에서 하차→ 도보로 20분정도 가면 된다
*자가교통
경부고속도로로 오다가 대전에서 대전-진주 간 대진고속도로로 바꿔 탄 다음 진주 나들목으로 나온다. 여기에서 사천시 방면으로 가다가 고성으로 향하는 33번 국도로 들어선다. 고성을 지나 지방도로로 통영시 광도면 안정공단으로 가다가 공단을 조금 지나면 오른쪽으로 안정사로 올라가는 길이 보인다.
혹은 고성을 지나 통영까지 갔다가 77번 국도로 광도면 안정공단으로 다시 올라갈 수도 있다. 또는 고성군을 지나 14번 국도를 따라 통영으로 올라가도 된다. 이 길을 가면 가장 먼저 바다 휴게소가 나오고, 여기에서 3분 정도 가면 학섬휴게소가 있다. 이곳에서 5분 정도 더 가면 한려쉼터가 나오는데, 여기를 조금 지나 광도면 쪽으로 진입하여 1021번 지방도로 따라 광도면 안정리 벽방초등학교 앞에서 좌회전하여 올라가면 된다.
바다휴게소 → 학섬휴게소 → 한려쉼터 → 한려쉼터를 조금지나 첫번째 신호 등에서 1차 선으로 붙어 좌회전 신호를 받고 광도면 쪽으로 진입 → 광도면에서 지방도 1021호를 따 라 광도면 안정리 벽방초등학교 앞까지 가서 → 벽방초등학교 앞에서 좌회전 →안정사까 지 5분정도 소요
현지교통
통영 시외버스터미널 앞에서 광도면 안정 방면 시내버스를 타고 광도면 안정공단 벽방초등학교앞에서 내린다. 여기에서 걸어서 절까지 약 20분 정도 걸린다. 통영시나 고성읍에서 택시로 간다면 15,000~20,000원 가량 나온다.
주변관광지
입 장 료
주차시설
도움전화
안정사 : 055-641-7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