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 보물 제84호 |
---|---|
소재지 | 강원 강릉시 내곡동 403-2 |
소재지 | |
지정일 | 1963.01.21 |
수량/면적 | 1구 |
시대 | 고려시대 |
소유자 | 국유 |
관리자 | 강릉시 |
자료출처 및 참조 | 문화재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강원도 강릉시 내곡동 신복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 높이 181㎝.
신복사는 850년(문성왕 12)경에 범일국사(梵日國師)가 창건하였다. ≪임영지 臨瀛志≫에는 이 절의 창건과 관련된 설화가 수록되어 있다. 즉 신라 말기에 어느 처녀가 우물에 비친 햇빛을 보고 그 물을 마시자 임신을 하였다. 집안 사람들이 낳은 아기를 얼음판 위에 내다버렸으나, 나르는 새가 아이를 품었고, 서광(瑞光)이 주위를 맴돌았으므로 괴이하게 여겨 다시 데려와서 이름을 ‘범(梵)’이라 하여 길렀다.
범은 어려서 출가하여 고승이 되었으며, 고향에 신복사와 굴산사(掘山寺)를 창건하였다고 한다. 창건 이후의 역사 및 폐사시기는 전하지 않으며, 현재의 절터에는 보물 제84호로 지정된 신복사지석불좌상과 보물 제87호로 지정된 신복사지삼층석탑이 있다. 석불좌상은 원통형의 관을 쓴 얼굴에 미소가 가득하며, 풍만한 몸의 굴곡과 자연스럽게 내려진 옷자락의 사실적인 묘사는 생동감마저 느끼게 한다.
삼층석탑은 고려 초기의 작품으로 추정되며, 안정감과 중후감을 주는 특이한 탑이다. 원래 이 절은 ‘심복(尋福)’ 또는 ‘신복(神伏)’으로 표기되었으나 1936년과 1937년에 ‘신복(神福)’이라고 쓴 기왓장이 발견되어 현재의 명칭으로 통일하여 부르게 되었다. 1938년에 발견된 기와는 감정 결과 880년 전후의 것으로 분석되었다.
석조삼층석탑 앞에 무릎을 꿇고 공양하는 자세로 앉아 있는데 근처의 월정사석조보살좌상(보물 제139호)·개태사석조보살좌상(頭部 결손)과 함께 고려 초에 조성된 독립 공양상으로서 주목된다.
이 보살상은 한송사석조보살좌상(국보 제124호)과 월정사석조보살좌상처럼 원통형의 높은 관을 쓰고 있다. 그러나 관 위에 천개(天蓋)가 놓여 있기 때문인지 관의 높이도 낮고 약간 뒤로 젖혀진 모습이다. 관의 표면과 관 위의 천개 안쪽에 커다란 구멍들이 있는데, 금속 장식을 달기 위하여 뚫었던 듯하다.
부드럽고 복스러운 얼굴에 웃음을 머금고 입을 안으로 꼭 다문 천진한 모습은 청룡사석조여래좌상(보물 제424호)의 입 모양과 흡사하다. 눈썹은 초승달 같은 곡선을 이루고 어깨까지 내려오는 긴 귀에는 양끝에 구멍이 뚫려 있어 금속제 귀걸이를 끼웠던 것으로 믿어진다. 삼도(三道)는 편평한 목 위에 선각(線刻)으로 층을 이루며 새겨졌고 무늬 없는 목걸이와 팔찌를 두르고 있다.
두꺼운 천의가 어깨와 가슴에 걸쳐졌다. 왼팔을 무릎 위에 올리고 모아 쥔 두 손은 가슴에 꼭 붙이고 있으며 손에 뚫린 큰 구멍에는 지물(持物)의 손잡이였던 금속주(金屬柱)가 아직도 남아 있다.
그리고 이 보살상은 원형의 대좌받침이 있어 이것을 안이 움푹한 원래의 연화대좌에 끼워 넣게 되어 있는데 현재 대좌받침의 앞부분이 없어졌다.
대좌 위에는 두 개의 금속주가 있으나 원래는 대좌받침 촉 속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제작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지금은 대좌가 정확히 맞추어져 있지 않아서 밖으로 돌출한 것이다.
연화좌 밑에는 폭이 좁은 중대석이 있고 거기에 안상(眼象)이 새겨져 있다. 그 아래 넓은 팔각형의 지대석이 묻혀 있으며 복련(覆蓮 : 아래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의 하대가 있었을 것이지만 전하지 않는다.
이 상은 전체적으로 풍만한 신체나 다정한 얼굴에서 상당히 인간적인 분위기를 준다. 상에 있어서는 반타원형으로 조각된 보발(寶髮)이나 규칙적인 간격으로 나누어진 옷주름 등에서 약간 형식화된 점이 발견된다.
따라서 같은 강원도 명주 지방에서 제작된 한송사지보살좌상이 보여 주는 신라적인 요소가 차츰 사라지고 양식화가 진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려 초기 10세기 후반의 작품이라고 생각되는데, 한송사지보살좌상·월정사석조보살과 함께 고려 초기에 강원도 명주 지방에서 유행하던 불상 양식을 보여 주는 중요한 작품이다.
'한국의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86호 굴산사지당간지주(掘山寺址幢竿支柱) (0) | 2015.06.06 |
---|---|
보물 제85호 굴산사지부도(掘山寺址浮屠) (0) | 2015.06.06 |
보물 제83호 강릉수문리당간지주(江陵水門里幢竿支柱) (0) | 2015.06.06 |
보물 제82호 강릉대창리당간지주(江陵大昌里幢竿支柱) (0) | 2015.06.06 |
보물 제81호 한송사지석불상(寒松寺址石佛像) (0) | 2015.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