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 안성시 서운면 |
---|---|
원문참조 및 출처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사진출처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룡리 서운산(瑞雲山)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2교구 본사 용주사(龍珠寺)의 말사이다. 1265년(원종 6) 명본대사(明本大師)가 창건하여 대장암(大藏庵)이라 하였던 것을 1364년(공민왕 13) 나옹왕사(懶翁王師)가 크게 중창할 때 청룡(靑龍)이 서기가 가득한 구름을 타고 내려오는 것을 보았다고 하여 절 이름을 청룡사, 산 이름을 서운산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그 뒤의 역사는 전해지지 않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堂宇)로는 보물 제824호로 지정된 대웅전을 비롯하여 관음전(觀音殿)·명부전(冥府殿)·관음청향각(觀音靑香閣)·대방(大房) 등이 있다. 유물로는 사적비가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4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밖에도 800근이 넘는 범종(梵鐘)이 있는데, 1674년(현종 15)에 밀언(密彦)에 의해서 주조된 것이다.
부속 암자로는 은적암(隱寂庵)·내원암(內院庵)·서운암(瑞雲庵)이 있다. 은적암은 약 600년 전에 창건된 암자로서 선수(仙水)라고 불리는 유명한 약수가 있다. 내원암은 청룡사 중창 다음해에 창건되어 48명의 강사(講師)가 계승된 유명한 강원(講院)이며, 용허(龍虛)·장호강백(莊昊講伯)에 이르기까지 수백년 동안 계속되었던 선불장(撰佛場)으로 이름이 널리 알려진 암자이다.
서운암은 원래 내원암의 속암이었다. 강원으로서 이름을 떨쳤던 내원암으로 찾아오는 학승(學僧)들이 너무 많아 약 100여 년전에 내원암 강주(講主)였던 만우(萬雨)가 창건한 암자이다. 이 밖에도 속암으로 은신암(隱神庵)·청련암(靑蓮庵) 등이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그 유지(遺址)조차 찾아볼 수 없다.
청룡사의 지정문화재 목록 및 해설
교통안내
1) 안성시에서 남쪽으로 내려가는 339번 지방도(서운방면)로 11Km 쯤 가면 34번 국도와 만나는 산평 삼거리다. 산평 삼거리에서 진천쪽으로 죄회전하여 2.2Km 정도가면 오른쪽에 주유소, 왼쪽에 청룡저수지가 있는데 좌회전하여 저수지 제방으로 부터 1.3Km 더 들어가면 청룡사 주차 장이다.
2) 성환읍에서 청룡저수지까지는 34번 국도로 약 14Km 이다. 3) 진천에서 청룡저수지까지는 34번 국도로 약 21Km 이다.
현지교통
안성시에서 청룡사까지 군내버스 1일 13회운행. 30분 소요. 청룡리 버스정류장에서 200미터.
주변관광지
박우덕이 묘, 청룡호수, 서운산과 서운산성, 이덕남장군묘 낚시터 : 국도에서 청룡사로 들어서는 입구에 청룡저수지 낚시터가 있다. 좌대 20여개
입 장 료
관광코스
(등산코스)
1) 석남사 →서운산정상 →서운산성 →은적암 →청룡사(1시간30분소요)
2) 중앙 CC →서운산정상 → 서운산성 →은적암 →청룡사(3시간소요)
3) 청룡사 →좌성대 →서운산정상 →은적암 →청룡사(1시간30분소요) 2~3시간 코스로 청룡리 버스정류장에 자세한 안내도 있음.
(드라이브코스)
일죽 IC →38번국도 →안성시 →평택방향 →392번, 339번 지방도 →안성대교 →서운방면 청룡사
주차시설
버스 정류장 100미터 전방, 100대 수용, 무료
도움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