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불화,탱화

청량사 淸凉寺

문성식 2015. 7. 27. 21:43

청량사 淸凉寺

경남

소재지 : 합천군 가야면 
원문참조 및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진출처 : 20090726 촬영 

8687.jpg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황산리 매화산(梅花山)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인 해인사(海印寺)의 말사이다. 창건에 관한 기록은 없으나 ≪삼국사기≫에 최치원(崔致遠)이 이곳에서 즐겨 놀았다고 하였으므로 신라 말기 이전에 창건되었음을 알 수 있다.

 

구전에 의하면 이 절이 해인사보다 먼저 창건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 절은 오랫동안 폐사가 되었다가 1811년(순조 11) 회은(晦隱)이 중건할 때 3칸의 법당과 요사채를 지었으며, 최근에 주지 경암(景庵)이 요사채를 중건하고 법당을 중수하였다.

 

일반적인 산지 가람에서의 유형을 따라 석축을 높이 쌓고 그 위에 가람을 이룩하였다. 사지 근처에는 다양한 신라시대 석물(石物)들이 산재하는데, 그 중에는 불상·불탑·석등(石燈)이 잘 갖추어져 있다. 이들은 월류봉(月留峰) 아래 남북 일직선상에 놓여 있으며, 모두가 건립 당시의 조각예술을 대변하는 빼어난 작품이다.

 

이 중 보물 제265호로 지정되어 있는 석조석가여래좌상은 경주 석굴암 불상의 유형을 충실히 따르고 있는데, 석굴암이 경도(京都)의 장인(匠人)에 의하여 조성된 8세기를 대표하는 걸작이라면, 이 불상은 지방의 장인에 의하여 이룩된 9세기를 대표하는 수작이다.

 

또한, 보물 제266호로 지정된 삼층석탑은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의 석탑형식을 보이고 있다. 조각수법이 경쾌하고 우아한 작품이며, 1958년 수리할 때 3층 옥신에 사리공(舍利孔)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보물 제253호로 지정된 석등은 9세기 석등을 대표할 만한 수작이다.

 

 청량사의 지정문화재 목록 및 해설

청량사석등[보물 253]

청량사석조석가여래좌상[보물 265]

청량사삼층석탑[보물 266]

 

12.gif 등산코스 : 청량동 매표소 - 남산제일봉정상  - 치인리 신부락(여관촌)

           (6.1Km, 4:00 소요)

12.gif 교통안내

1) 88고속도로 해인사IC - 국도 59호선 버스하차 - 가야 구원 도자기 공장지대 좌측 - 양어장 - 청량동 - 청량사

2) 33번국도 - 합천 - 금양동을 지나 24번 국도로 좌회전 - 묘산 - 야로 - 해인사IC 지나서 들어감 - 국도 59호선으로 진입.

3) 김천IC - 성주 - 해인사

12.gif 현지교통 : 1) 합천 - 해인사  07:00~19:10 중 4회 운행(1시간 소요) : 양어장 하차

           2) 대구서부 - 고령 - 해인사  06:30~20:00 중 20분마다 운행(90분 소요)

'사찰,불화,탱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련사 靑蓮寺  (0) 2015.07.27
청량사 淸凉寺  (0) 2015.07.27
청곡사 靑谷寺  (0) 2015.07.27
청계사 淸溪寺  (0) 2015.07.27
천황사 天皇寺  (0) 2015.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