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da2dbdea1e93b542015531558e6ccfd.JPG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우명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 높이 4.3m.

 

승안사터에 서 있는 고려시대의 탑이다.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통일신라의 양식을 따르면서도 곳곳에 고려 특유의 수법을 보여주고 있다.

 

2중기단 위에 세워진 방형 삼층석탑으로 신라양식을 따르고 있으나 기단과 탑신을 각종 조각으로 장식하였다.

하층기단은 비교적 좁은 편인데 지대석과 면석(面石)·갑석(甲石)을 단일석에서 깎아낸 석재 4매로써 조립하고, 갑석의 상면에는 1단의 굄을 각출하여 상층기단을 받치게 하였다.

 

상층기단 면석은 각 면 한 장씩의 판석을 {{#061}}모양으로 짜고, 각 면을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와 탱주(撑柱 : 받침기둥)를 모각(模刻)하여 2구로 구분하고 그 안에 1구씩 4면 8구의 불(佛)·보살·비천상(飛天像) 등을 돋을새김하였다.

 

갑석은 매우 광대하여 하층기단의 갑석과 거의 같은 크기인데, 하면에 부연(副椽 : 탑의 기단의 갑석 하부에 두른 쇠시리)이 없는 것과 상면에 큼직한 14엽의 연화문(蓮花文)이 각 면에 4개씩 복련식(覆蓮式)으로 조각되어 있는 것이 특이한 양식이다.

탑신부(塔身部)는 옥신(屋身)과 옥개(屋蓋)를 각각 별개의 돌로 제작하였는데, 2층부터는 크게 줄어들었으며 2층과 3층은 높이가 거의 비슷하다. 옥신에는 우주형을 모각하고 1층옥신에는 각 면에 사천왕상을 하나씩 돋을새김하였다.

 

옥개는 옥신에 비하여 넓은 편이며 처마는 수평인데, 밑에 4단의 받침이 있고 지붕의 경사는 급하나 전각(轉角)의 반전은 뚜렷하지 않다. 상륜부(相輪部)는 노반(露盤)·복발(覆鉢)·앙화(仰花)까지 남아 있는데, 노반에는 우주와 갑석형을 새겨넣었고 복발은 두 줄의 띠를 두른 편구형(偏球形)이고 앙화는 윗부분이 크게 파손되었다.

이 탑은 대체로 신라석탑양식을 따르고 있으나 기단과 탑신과의 균형을 잃었고 기단의 결구도 간략화된 반면에 탑의 장식에 비중이 커진 고려 초기의 특색이 잘 나타나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승안사는 사암산에 있다(昇安寺在蛇巖山).”라는 기록만 보일 뿐 다른  기록이 없어 일찍이 폐사된 듯하고, 이 탑도 근처에 재실을 건립할 때에 원위치에서 옮겨진 것으로 추측된다.

 

1962년 탑을 다시 서남쪽 약 15m의 지점으로 이건하기 위하여 해체하였는데, 1층옥신 상면에 지름 12㎝, 깊이 16㎝의 사리공(舍利孔)이 있고 그 안에서 일련의 사리장치가 발견되었다.

그 속에는 홍치 7년명(弘治七年銘)의 한지묵서(韓紙墨書)와 함께 청색 면포보(棉布褓) 1, 백색 면포편 1, 주(朱)·자(紫)·황(黃) 등의 각색 명주조각 약간, 주머니 1, 황동제합(黃銅製盒 : 지름 9㎝, 높이 10㎝) 안에 든 향편(香片)과 비취색 유리제 사리병(舍利甁 : 높이 4.7㎝, 白色舍利 1粒), 유리구슬 한 줄, 은가락지 7개, 은편(銀片) 1점 등이 있었다. 이 장엄구는 1494년(성종 25)에 탑을 이건할 때 장치한 것으로 짐작된다.

 

1층 탑신의 조각

1층 탑신의 조각

 

288615cf6d29836f75b4fd8a5f17bb7c.JPG

기단부의 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