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 보물 제178호 |
---|---|
소재지 | 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 전등사 |
소재지 | 길상면 전등사 |
지정일 | 1963.01.21 |
수량/면적 | 1동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자 | 전등사 |
관리자 | 전등사 |
자료출처 및 참조 | 문화재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전등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불전.
전등사는 고구려 소수림왕 11년(381) 아도화상이 세웠다고 전하지만 고려 중기까지의 역사는 확실히 알 수 없다. 조선 선조 38년(1605)과 광해군 6년(1614)에 큰 불이 일어나 절이 모두 타버려, 그 이듬해 다시 짓기 시작하여 광해군 13년(1621)에 원래의 모습을 되찾았다고 한다.
석가여래삼존불을 모시고 있는 대웅전은 광해군 13년(1621)에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겹처마 팔작기와지붕건물. 보물 제178호. 1916년 해체수리 때 발견된 〈양간록 樑間錄〉에 의하면, 이 건물은 1605년(선조 38) 화재로 절반이 탔고, 1614년(광해군 6) 12월 다시 짓기 시작하여 1621년 윤2월 7일 서까래를 놓았다는 것으로 미루어 조선 중기의 건축물임을 알 수 있다.
막돌허튼층쌓기로 된 높은 기단 위에 막돌초석을 놓고 민흘림원기둥을 세웠으며, 창방(昌枋)으로 기둥 윗몸을 결구하여 그 위에 평방(平枋)을 놓았다.
특히, 귀공포에서 귀한대〔隅限大 : 귓기둥에서 도리와 45°각도로 내민 포살미〕 삼제공 위에 나무로 깎은 인물상을 조각하여 올려놓은 것은 다른 건물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것이다.
내공포는 제공 끝이 판형으로 되어 있으나, 기둥 위만은 교두형(翹頭形 : 圓弧形으로 깎아낸 모양)으로 되어 있다. 공포의 배치는 전후면의 각 주간(柱間)에는 2구(具), 양측면의 어간(御間)에는 3구, 변간(邊間)에는 2구씩 두었다.
가구(架構)는 내부에 고주(高柱)를 세우지 않고, 대들보를 앞뒤 평주(平柱) 위에 걸고 그 위에 동자기둥을 세워 종보〔宗樑〕를 받치게 하고, 여기에 우물천장을 가설하였으며, 천장은 화려하게 채색되어 있다. 또, 양 측면의 어간 평방에서 보머리〔樑頭〕에 용머리를 조각한 충량(衝樑)을 걸었다.
불단 위의 닫집은 처마를 정자각(丁字閣) 모양으로 꾸미고 16개나 되는 공포를 포개서 배열하고 있으며, 그 아래에 투각(透刻)한 장식판과 부룡(浮龍 : 뜬 용)·극락조 등을 매달아놓았는데 능숙한 조각공의 솜씨가 잘 발휘된 수준급의 작품이다. 지붕 위 기왓골 끝에 백자로 만든 연봉오리 장식이 올려져 있다.
천장
'한국의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180호 신륵사조사당(神勒寺組師堂) (0) | 2015.06.21 |
---|---|
보물 제179호 전등사약사전(傳燈寺藥師殿) (0) | 2015.06.21 |
보물 제177호 서울사직단정문(서울社稷壇正門) (0) | 2015.06.21 |
보물 제176호 송광사금동요령(松廣寺金銅搖鈴) (0) | 2015.06.21 |
보물 제175호 송광사경패(松廣寺經牌) (0) | 2015.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