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묵 | 보물 제106호 |
---|---|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 |
소재지 | |
지정일 | 1963.01.21 |
수량/면적 | 1기 |
시대 | 고려시대 |
소유자 | 국유 |
관리자 | 서산시 |
자료출처 및 참조 | 문화재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보원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탑비. 978년(경종 3) 건립.
보원사는 고란사라고도 하며, 이 절에 관한 역사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주변에 담아있는 유물들을 볼 때 규모가 큰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전체높이 450㎝, 비신높이 240㎝, 너비 116.5㎝, 두께 29㎝. 장중한 느낌을 주는 거비로 이수와 귀부의 조각은 대체로 장쾌한 수법이다.
이수의 상부에 용연(龍淵)을 파고 용이 사방에서 모이도록 한 조각이 매우 특이하다.
비받침인 귀부(龜趺)는 거북모양이나, 머리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모습으로, 목은 앞으로 빼고 콧수염은 뒤로 돌아 있으며 눈은 크게 튀어 나와 있다. 등 위에는 3단받침을 하고 비를 얹었으며, 비머리는 네 귀퉁이에서 안쪽을 바라보는 용을 새기고, 앞·뒷면에는 구름무늬를 조각하였다.
법인국사 탄문(坦文)은 신라말·고려초의 명승으로 고씨(高氏)이며, 968년(광종 19)에 왕사, 974년에 국사가 되었고 이듬해 보원사에서 입적하였다.
978년 왕은 ‘법인(法印)’이라 추시(追諡 : 죽은 뒤에 시호를 추증함)하고 ‘보승(寶乘)’이라는 탑명을 내렸다.
비문은 김정언(金廷彦)이 짓고 한윤(韓允)이 썼으며, 김승렴(金承廉)의 각(刻)으로 세워졌다. 글씨는 2㎝ 정도의 구양순류(歐陽詢流) 해서로 필력과 짜임새가 구양순을 재현시킨 듯하다. 고려 초기에는 구양순체를 쓴 대가가 많았으나 그 중에서도 백미에 속한다.
'한국의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108호 부여정림사지석불좌상(扶餘定林寺址石佛坐像) (0) | 2015.06.10 |
---|---|
보물 제107호 보광사대보광선사비(普光寺大普光禪師碑) (0) | 2015.06.10 |
보물 제105호 보원사법인국사보승탑(普願寺法印國師寶乘塔) (0) | 2015.06.10 |
보물 제104호 보원사지오층석탑(普願寺址五層石塔) (0) | 2015.06.08 |
보물 제103호 보원사지당간지주(普願寺址幢竿支柱) (0) | 2015.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