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중요무형문화재 11-2호
명 칭 평택농악(平澤農樂)
분 류 음악
지정일 1985.12.01
소재지 경기전역
관리자 평택농악보존회
지정문화재 농악 (중요무형문화재 11)
※ 본문설명
평택은 소샛들이라는 넓은 들을 끼고 있어 예로부터 농산물이 풍부하였고, 이는 평택농악을 이루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또한 평택 근처의 청룡사(靑龍寺)는 일찍부터 사당패들의 근거지가 되어 조선 말기에는 그들의 농악이 크게 발달하였다. 그래서 평택농악은 두레농악인 동시에 걸립패농악(중들이 꽹과리치면서 염불하고 동냥하는 일)의 성격을 갖는다.
농악에 사용되는 악기로는 꽹과리, 징, 북, 버꾸, 호적, 나팔이 있다. 편성은 영기수(令旗手), 농기수(農旗手), 나팔수, 호적수, 상쇠, 부쇠, 종쇠, 징수 1, 징수 2, 설장구, 부장구, 상장구, 북, 상버꾸, 부버꾸, 종버꾸, 꼬리버꾸, 상무동, 종무동, 삼무동, 칠무동, 중애(사미), 양반으로 되어있다. 농악수들은 옛날 군졸들이 입었던 의상을 입고 그 위에 색띠를 걸쳐 매며 머리에는 벙거지나 고깔을 쓴다. 악기에 있어서 징과 북이 타지역에 비하여 적으며 소고와 법고의 구별이 없다. 가락의 가림새가 분명하며 노래굿이 있는 것도 특이하다. 또한 길군악칠채는 경기농악에만 보이는 장단으로 평택농악의 길군악칠채는 다른 지역과 구분된다.
평택농악은 두레농악의 소박한 전통에 뿌리를 두면서도 공연성이 뛰어난 남사당패 예인들의 전문적인 연희를 받아들여 복합적으로 구성한 수준높은 농악이며, 무동놀이(어른의 목말을 타고 아이가 춤추는 놀이)가 특히 발달하였다.
※ 보충설명
웃다리농악에 속하는 평택농악은 넓은 소사벌을 배경으로 한 두레농악인 동시에 전문 걸립패적인 연희농악이라는 복합적인 면을 가지고 있다.
농기수, 영기수, 쇄납, 쇠, 징, 북, 장고, 법고, 잡색(무동, 사미, 양반, 농부)으로 편성하되 8잽이(사물), 8법고, 8무동이 기본이다. 쇠, 장고, 법고수는 벙거지(전립)을 쓰며 쇄납, 징, 북수는 고깔 또는 벙거지를 쓴다. 벙거지의 물채엔 나비상을 단다.
판굿은 인사굿, 돌림법고, 오방진, 돌림법고, 당산벌림, 절구땡이법고, 사통백이, 원좌우치기, 네줄좌우치기, 가새벌림, 돌림법고, 연풍대(쩍쩍이), 무동놀이 등으로 짜여진다. 쇠가락은 기본적으로 칠채-마당일채-쩍쩍이-자진가락-더드래기-자진가락-삼채-쩍쩍이-자진가락-(물채가락)-영산더드래기-연풍대가락으로 진행된다.
무동의 수가 많고 무동타기가 돋보이며 칠채가락을 쓰는 점은 웃다리농악의 가장 큰 특징이다. 가락은 가림새가 분명하고 빠른 편이며 쩍쩍이 등의 독특한 가락이 있다. 굿거리는 원칙적으로 치지않고, 호호굿이 없으며 잡색중에 포수가 없다.
'문화재,도자기,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1-4호]강릉농악(江陵農樂) | 중요 무형제 (0) | 2012.03.27 |
---|---|
[제11-3호]이리농악(裡里農樂) | 중요 무형 문화제 (0) | 2012.03.27 |
[제11-1호]진주삼천포농악(晋州三千浦農樂) | 중요 무형 문화제 (0) | 2012.03.27 |
[제11호]농악(農樂) | 중요 무형 문화제 (0) | 2012.03.27 |
[제10호]나전장(螺鈿匠) | 중요 무형 문화제 (0) | 2012.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