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중요무형문화재 11-4호
명 칭 강릉농악(江陵農樂)
분 류 음악
지정일 1985.12.01
소재지 강원전역
관리자 강릉농악보존회
지정문화재 농악 (중요무형문화재 11)
※ 본문설명
강릉농악은 강원도 태백산맥 동쪽에 전승되어 오는 영동농악의 대표격으로 강릉시에서 전승되고 있는 농악을 가리킨다. 농사풀이농악이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농경생활을 흉내내어 재현하는 농사풀이가 있기 때문이다. 유래에 관한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농경생활을 시작하면서부터 발생한 것으로 추측된다.
강릉농악은 농기, 쇄납(날라리), 꽹과리, 징, 북, 장구, 소고, 법고(불교의식 때 쓰는 작은북) 및 무동(사내아이)으로 편성된다. 연주자들은 흰 바지저고리에 홍·청·황의 삼색띠를 두르고 무동들은 여러 가지 색깔이 섞인 옷을 입는다.
강릉농악에는 정월 대보름을 전후해서 3∼4일간 농악대가 집집마다 다니면서 농악과 고사를 나는 지신밟기, 마을의 공동 기금을 걷기 위해 걸립패로 꾸며 농악을 하는 걸립농악, 모심기와 김매기 등을 할 때 하는 김매기농악, 김매기가 끝난 후 질 먹을 때 하는 질먹기, 건립굿이나 봄철 화전놀이 때 큰 마당에서 벌이는 마당굿이 있다. 타지역에 없는 달맞이굿(달을 보고 소원을 비는 것), 횃불놀이, 놋다리밟기(젊은 여자들이 1명을 뽑아 자신들의 허리 위로 걸어가게 하는 놀이)가 있고, 두레농악이라 할 수 있는 김매기농악과 질먹기, 길놀이농악이 있는 것이 특색이다.
강릉농악은 단체적인 놀이를 위주로 하여 농사의 고달픔을 잊고 서로의 화합과 마을의 단합을 도모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보충설명
영동농악의 하나로 강릉시에서 전승되고 있다. 농기, 쇄납, 사물, 소고, 법고 및 무동으로 편성된다.
쇠꾼은 상모지가 달린 벙거지를 쓰고 삼색띠를 두른다. 상쇠만 연초록의 등지기를 걸쳤다. 징, 장고, 북, 소고수는 방망이상모가 달린 벙거지를, 법고수는 긴 상모지를 단 벙거지를 썼다. 이들 외엔 고깔을 쓴다.
판굿은 인사굿, 멍석말이, 발맞추기, 황덕굿(소고놀이, 법고놀이, 무동놀이), 진놀이, 지신밟기, 팔진법, 농사풀이, 개인놀이(동고리, 열두발채상 등) 및 뒷굿으로 구성된다. 인사굿, 발맞추기, 뒷굿 등은 근래에 생긴 것이다. 쇠가락엔 일채(천부당 만부당), 이채, 삼채, 사채, 굿거리, 길놀이(구식길놀이, 신식행진가락) 등이 있다.
당굿이 없으면, 사설이 길고 다양한 지신밟기(고사반)가 있다. 농사풀이는 영동농악의 가장 큰 특색이다. 입체적으로 동고리 탑을 쌓는 점이 웃다리농악 등의 평면적 무동 동고리와 다르다. 소고과 법고의 구별이 있고 쇠가락에서는 잔가락이 적으며, 단순한 외가락인 점이 특징이다.
'문화재,도자기,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2호]진주검무(晋州劍舞) | 중요 무형 문화제 (0) | 2012.03.27 |
---|---|
[제11-5호]임실필봉농악(任實筆峰農樂) | 중요 무형제 (0) | 2012.03.27 |
[제11-3호]이리농악(裡里農樂) | 중요 무형 문화제 (0) | 2012.03.27 |
[제11-2호]평택농악(平澤農樂) | 중요 무형 문화제 (0) | 2012.03.27 |
[제11-1호]진주삼천포농악(晋州三千浦農樂) | 중요 무형 문화제 (0) | 2012.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