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나는 대화법 573

침묵의 지혜

♣ 침묵의 지혜 ♣ 침묵을 소중히 여길 줄 아는 사람에게 신뢰가 간다. 초면이든 구면이든 말이 많은 사람 한 데는 신뢰가 가지 않는다. 나도 이제 가끔 많은 사람들을 만나게 되는데 말수가 적은 사람들한테는 오히려 내가 내 마음을 활짝 열어 보이고 싶어 진다. 사실 인간과 인간의 만남에서 말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꼭 필요한 말만 할 수 있어야 한다. 안으로 말이 여물도록 인내하지 못하기 때문에 밖으로 쏟아 내고 마는 것이다. 이것은 하나의 습관이다. 생각이 떠오른다고 해서 불쑥 말해 버리면 안에서 여무는 것이 없다. 그렇기 때문에 그 내면은 비어 있다. 말의 의미가 안에서 여물도록 침묵의 여과기에서 걸러 받을 수 있어야 한다. 경전은 이렇게 말하고 있다. 입에 말이 적으면 어리석음이 지혜로 바뀐다고, ..

말(言)을 위한 기도

♣ 말(言)을 위한 기도 ♣ 내가 이 세상에 태어나 수없이 뿌려 놓은 말의 씨들이 어디서 어떻게 열매를 맺었을까 조용히 헤아려 볼 때가 있습니다 무심코 뿌린 말의 씨라도 그 어디선가 뿌리를 내렸을지 모른다고 생각하면 웬지 두렵습니다 더러는 허공으로 사라지고 더러는 다른 이의 가슴속에서 좋은 열매를 또는 언짢은 열매를 맺기도 했을 언어의 나무 내가 지니는 언어의 나무에도 멀고 가까운 이웃들이 주고 간 크고 작은 말의 열매들이 주렁주렁 달려 있습니다 둥근 것 모난 것 밝은 것 어두운 것 향기로운 것 반짝이는 것 그 주인의 얼굴은 잊었어도 말은 죽지 않고 살아서 나와 함께 머뭅니다 살아 있는 동안 내가 할말은 참 많은 것도 같고 적은 것도 같고 그러나 말이 없이는 단 하루도 살 수 없는 세상살이 매일매일 돌처..

말(言)의 기법

♣ 말(言)의 기법 ♣ 1. 표준말부터 익히자 - 표준말이란 어휘나 발음 법칙, 억양 등에서 그 나라말의 표준이 되는 말을 의미한다. - 우리나라 표준말은 현재 서울지방을 중심으로 중류층들이 두루 쓰는 교양 있는 말로 정의한다. - 표준말은 대체로 말이 고른 반면 사투리는 모양이 일그러지고 속도가 맞지 않으며 고저 기복이 심하다. - 아름답고 품위 있는 우리의 표준말을 바르게 익혀 바른 방송과 바른 국어 생활을 해보자. 2. 좋은 자세가 좋은 말을 만든다 올바른 자세란 목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본적 수단이며 방편(方便)인 셈이다. 예술이나 스포츠 말 등은 물론이고 운전이나 걸음걸이에 이르기까지 자세란 동작의 과정과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 긴장을 풀고 몸을 이완시킨..

인생이 바뀌는 대화법 12가지

♣ 인생이 바뀌는 대화법 12가지 ♣ 1.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말해야 인정받는다 무시당하는 말은 바보도 알아듣는다 말은 입을 떠나면 책임이라는 추가 따른다 2. 대화의 질서는 새치기 때문에 깨진다 침묵이 대화보다 강한 메시지를 전한다 첫 한마디에 정성이 실려야 한다 3. 다양한 문화를 인정하면 대화는 저절로 잘된다 내 마음이 고약하면 남의 말이 고약하게 들린다 지적은 간단하게 칭찬은 길게 해라 4. 말투는 내용을 담은 그릇이다 따져서 이길 수는 없다 사랑이라는 이름으로도 잔소리는 용서가 안된다 좋은 말만 한다고 해서 좋은 사람이라고 평가받는 것은 아니다 5. 유머에 목숨 걸지 말라 반드시 답변을 들어야 한다고 생각하면 화를 자초한다 설명이 부족한 것 같을 때쯤 해서 말을 멈춰라 앞에서 할 수 없는 말은..

자녀와 바람직한 대화법 15가지

♣ 자녀와 바람직한 대화법 15가지 ♣ 1. 자녀가 부모의 말을 경청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되도록이면 부모는 말을 적게 해야 한다. 아이들은 부모의 긴 명령어에 익숙해지면 부모의 말에 무감각해지기 쉽다. 한마디 규칙(one-word rule)이 중요하다. "너"(적대적 반응 유발) "만일"(위협) "왜"(비난의 시작) 같은 말을 적게 사용한다. 그 대신 "~ 하고 나서", "~ 했을 때" 등의 동기 부여형 언어를 사용한다. 2. 자녀의 감정을 인정해 준다. 수용적인 단어를 사용하여 자녀의 감정상태를 되짚어 말해주고 충분히 이해하고 있음을 표현해 준다. 3. 선택의 기회를 제공한다. 단, 실제로는 선택의 여지없이 협박이 되어서는 안 된다. "방 청소를 할래, 용돈을 포기할래?"보다는 "방 청소를..

효과적인 듣기 기술

♣ 효과적인 듣기 기술 ♣ 효과적인 듣기 기술 ① 보조 코멘트 사용 : 계속하세요, 그렇군요, 느낌이 어뗐어요? ② 질문을 한다 ③ 동의하는 부분, 공통점 경험을 지적한다. ④ 다양한 응수를 한다 ⑤ 분명한 말로 반응한다. ⑥ 평가적 반응보다 긍정적 반응을 한다. ⑦ 확인하는 표현을 한다. ⑧ 침묵을 삼가 한다. ⑨ 상대방에게도 기회를 준다. ⑩상대방이 한 말을 반복해서 한다. ⑪ 상대방의 의도를 부연 설명한다. 다음은 비언어적 기술을 열거하면 ① 신체를 반응한다. ② 앞쪽으로 몸을 기울인다. ③ 상대방 쪽으로 향한다,. ④ 편안하게, 그러나 약간 긴장한 자세를 취한다. ⑤ 열린 자세를 취한다 ⑥ 긍정적인 반응 있는 얼굴 표정과 머리의 움직임 ⑦ 눈 맞춤(eye-contact) ⑧ 상대방과 가까이 앉는다..

말이 깨끗하면 삶도 깨끗해진다

♣ 말이 깨끗하면 삶도 깨끗해진다 ♣ 생명의 소중함을 깨닫고 저마다 의미 있는 삶을 살고자 마음을 가다듬는 때 누가 다른 사람을 깎아내리는 말에 관심을 두겠는가? 험담은 가장 파괴적인 습관이다. 화제를 돌려라. 험담을 멈추게 할 수 있는 사람은 이미 나쁜 마음을 먹고 말하는 쪽이 아니라 그 이야기를 듣는 쪽이다. 대화가 옳지 않은 방향으로 흘러갈 때는 스포츠, 날씨, 경제 등 안전하고 흥미로운 화제로 바꾸어라. 험담이 시작될 때마다 다른 이야기를 꺼낸다면 상대방은 험담을 해도 아무 소득이 없다는 사실을 깨닫고 주의할 것이다. 용서하는 방법을 개발하라. 링컨 대통령은 자기의 명령에 불복종하는 장관들 때문에 좌절과 분노를 느끼면 그 사람들 앞으로 온갖 욕설과 비난을 퍼붓는 편지를 쓰곤 했다. 그리고는 편지를..

말을 잘하는 7가지

♣ 말을 잘하는 7가지 ♣ 1... 머릿속에 그려지게 말하라. 영화를 보듯 말하면 효과가 있다. 비유와 예시는 더 효과적이다. 2... 듣는 사람이 누구인지 파악하라. 그가 당신을 어떻게 보는지 생각하지 말라. 어떻게 하면 당신의 말이 상대방에게 도움될까만 생각하라. 3... 듣는 귀를 가져라. 말하기와 듣기는 49대 51이 좋다. 2% 부족한 말하기가 돼야 한다. 4... 책을 많이 읽어라. 재치는 많이 알고 정확히 아는 지식에서 나온다. 5... 결과를 먼저 말한다. 두괄식 말하기는 오해와 지루함을 제거한다. 6... 유머를 구사하라. 웃음은 제대로 된 윤활유다. 7... 낯익은 얼굴을 보고 말하라. 많은 사람 앞에서 떨리기 시작하면 그중 낯익은 얼굴을 찾아내 그와 만났던 좋은 추억을 떠올리면 여유가..

행복을 만드는 언어

♣행복을 만드는 언어 ♣ 말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은 얼마나 될까? 언어는 마음과 생각을 변화시킨다 또한 사람의 육체를 변화시키기도 한다. 행동을 지배하기도 하고 환경과 운명을 결정하기도 하며 자아상을 바꾸기도 한다. 언어에는 "사실 언어"와 "감정 언어"가 있다 사실 언어는 "인상이 딱딱해 보이네요."와 같은 말이다. 사실대로 말한 것이지만 듣기에 좋은 표현이 아니기 때문에 상대방은 기분이 상하기 쉽다. 반면 감정 언어는 긍정적이고 배려하는 말로, 사람을 기쁘고 행복하게 한다. "세상에서 네가 가장 소중하단다" (자녀에게) "역시 당신이 최고야" (일하고 있는 배우자에게) "분위기가 참 좋습니다" (거래처 사무실 사람들에게)와 같은 말이 여기에 해당된다. "무슨 말로 이 사람을 기쁘게 해 줄까?"를 생..

부부의 갈등 해결의 대화법

♣ 부부의 갈등 해결의 대화법 ♣ Ⅰ. 우리나라 가정에서의 스트레스 대처 유형 많은 부부들이 서로를 배려하는 마음으로 상대를 대한다고 하지만, 대화가 불분명하거나 적합하지 않으면 오해와 갈등이 생기기 마련이다. 배려하지 않은 태도나 대화기술의 부재는 어떤 관계에서든지 삶을 어렵게 만든다. 본인의 임상경험이나 관찰 및 연구들에 의하면 (MIller, & Miller 외 1991) 가정에서 스트레스나 갈등이 있을 때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양식들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1. 회피 실직이라든가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인해서 부부간에 문제가 생길 때 많은 경우 우리 나라의 남편들은 회피라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 같다. 회피 방법의 특징은 문제를 피하거나 주제를 바꾸기도 하고 문제의 중요성을 무시하려는 경향으로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