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제1889호 구례 천은사 관세음·대세지보살좌상 (求禮 泉隱寺 觀世音·大勢至菩薩坐像)
종목 | 보물 제1889호 |
---|---|
소재지 | 전남 구례군 광의면 노고단로 209, 천은사(방광리 70) |
지정일 | 2016.02.22 |
수량 | 2구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자 | 천은사 |
관리자 | 천은사 |
자료출처 및 참조 | 문화재청 |
구례 천은사(泉隱寺)에 소장되어 있는 2구의 목조관세음보살좌상(木造觀世音菩薩坐像) 및 대세지보살좌상(大勢至菩薩坐像)은 천은사(泉隱寺) 극락전 주불의 협시불로 조성되어 최근까지 예배되어온 보살상이다.
관음보살상의 복장(腹藏, 불상을 만들 때 뱃속에 봉안하는 사리 등의 물건)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에 따르면 태능(太能)과 영원(靈源)의 발원으로 조각승 현진(玄眞)을 비롯한 5명의 조각승들이 1614년 6월에 조성한 불상들임이 밝혀졌다. 임진왜란 이전부터 17세기 전반까지 활동한 조각승 현진(玄眞)은 조선 전체에서 가장 뛰어난 실력을 인정받았던 조각승 중 한 명으로, 현재 그의 작품 중 7건 17점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을 만큼 작품성과 학술성을 인정받고 있다.
두 보살상은 꽃잎 모양의 판을 겹쳐 만든 보관을 착용하고 있으며, 갸름한 얼굴형에 부푼 눈두덩과 넓은 콧망울, 상큼한 미소를 가진 순박한 청년의 모습을 담아 실재감이 있다. 무릎은 낮고 넓으며, 허리는 길어 장대한 형태미를 보여주며, 주름은 긴장감이 있는 탄력적인 주름을 사용하였다. 이 두 보살상은 현진의 초기 경향을 볼 수 있는 수작에 속하며, 조선 후기 불교미술사 연구에도 매우 중요하므로 국가문화재로 지정하여 보호할 가치가 충분하다.
'한국의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1891호 서울 흥천사 금동천수관음보살좌상 (서울 興天寺 金銅千手觀音菩薩坐像) (0) | 2016.11.07 |
---|---|
보물 제1890호 익산 심곡사 칠층석탑 출토 금동불감 및 금동아미타여래칠존좌상(益山 深谷寺 七層石塔 出土 金銅佛龕 및 金銅阿彌陀如來七尊坐像) (0) | 2016.11.06 |
보물 제1888호 구례 천은사 삼장보살도 (求禮 泉隱寺 三藏菩薩圖) (0) | 2016.11.06 |
보물 제1887호 노영 필 아미타여래구존도·고려 태조 담무갈보살 예배도 (0) | 2016.11.06 |
보물 제1886호 재조본 유가사지론 권20(再雕本 瑜伽師地論 巻二十) (0) | 2016.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