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묵 | 보물 제986호 |
---|---|
소재지 | 충남 청양군 남양면 온암리 50-1 운장암 |
소재지 | |
지정일 | 1989.04.10 |
수량/면적 | 1구 |
시대 | 고려시대 |
소유자 | 운장암 |
관리자 | 운장암 |
자료출처 및 참조 | 문화재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충청남도 청양군 남양면 온암리 운장암에 있는 고려시대의 보살상. 불신 높이 99㎝, 머리 높이 34㎝,
원래 암자 앞 골짜기의 길가에 있던 것을 1900년경 암자를 중수하면서 옮겨 놓았다고 한다. 머리카락을 상투형으로 높이 틀어 올려 근래 새로 만든 보관을 얹어 놓았다.
둥글고 단정한 얼굴에 눈·코·입이 단아하게 표현되어 고려 말기의 금동보살상들의 얼굴과 비슷한 편이다. 상체도 단정하고 자연스럽게 조성되었고 하체도 안정감을 주게 결가부좌하고 있다. 다소 두께를 느끼게 하는 대의를 입고 있다. 하지만 비교적 자연스러운 양감을 느끼게 하며, 좀더 단아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오른손은 들어 손가락들을 자연스럽게 구부렸고, 엄지와 약지를 맞대었다. 그리고 왼손은 무릎 위에서 엄지와 중지를 맞댄 이른바 아미타 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의 변형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아미타불의 협시인 관음이나 대세지보살임을 상징하는 것 같다.
따라서 이 보살상은 원래 아미타불의 협시보살이었던 것이 이 한 상만 남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보살의 옷은 천의(天衣) 대신 당시에 유행하던 불상의 대의식(大衣式) 옷을 입었다. 일정한 두께 및 왼팔의 주름과 함께 고려 말부터 유행된 보살의(菩薩衣)의 특징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슴과 하체 등에 장식한 무거운 영락(瓔珞) 장식, 군의의 띠 매듭, 왼쪽 가슴의 옷 매듭 장식 등에도 잘 나타나 있다. 이러한 특징은 구 충청남도 부석사 금동관음보살상이나 영덕의 장륙사건칠보살상(보물 제993호) 등 14세기 고려 말에서 조선 초 양식의 보살상들과 친연성이 강하다.
특히 문경의 대승사(大乘寺)금동보살좌상(보물 제991호)이나 갑장사금동보살상 등과 비슷한 이른바 신라 말에서 고려 초의 보살상 양식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의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988호 군위대율동석불입상(軍威大栗洞石佛立像) (0) | 2016.01.06 |
---|---|
보물 제987호 당진신암사금동불좌상(唐津申菴寺金銅佛坐像) (0) | 2016.01.06 |
보물 제985호 청주용화사석불상군(淸州龍華寺石佛像群) (0) | 2016.01.06 |
보물 제984호 영동신항리삼존불입상(永同新項里三尊佛立像) (0) | 2016.01.06 |
보물 제983호 안성봉업사석불입상(安城奉業寺石佛立像) (0) | 2016.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