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제759호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권1∼10>(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卷一∼十>)
종 목 | 보물 제759호 |
---|---|
명 칭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권1∼10>(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卷一∼十>) |
분 류 |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사찰본 |
수량/면적 | 10권5책 |
지 정 일 | 1984.05.30 |
소 재 지 | 서울 용산구 용산동 6가 국립중앙박물관 |
시 대 | 조선시대 |
소 유 자 | 국유 |
관 리 자 | 국립중앙박물관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은 줄여서 ‘대불정수능엄경’또는 ‘능엄경’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부처님의 말씀을 머리속으로만 이해하는데 그치지 않고 자신이 직접 경험하여 얻을 것을 주요사상으로 하고 있다. 능엄경은 전체 10권으로 되어 있으며 스님들이 수련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배우는 경전이다. 이 책은 당나라의 반자밀제(般刺密帝)가 번역하고 송나라의 계환(戒環)이 해석한 것을 조선 태종 1년(1401)에 태조의 명으로 간행한 것이다.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으로 권1∼10의 내용을 5권의 책으로 엮었으며, 크기는 세로 38.5㎝, 가로 22.9㎝이다. 책 끝에 있는 권근의 글을 통해서 목판을 새기는 작업에 대덕(大德) 명호(明昊)를 비롯한 많은 사람이 동원되었으며, 윤모(尹某)가 총괄적인 책임을 맡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숭유억불책을 국시로 삼고 실천하던 당시에 태조의 명에 의해 불경이 간행되었다는 점이 주목되며, 능엄경 전체의 내용이 전하는 독자적인 판본이라는 점에서도 귀중한 자료로 여겨진다. |
'한국의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761호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권2,5>(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卷二,五>) (0) | 2015.12.13 |
---|---|
보물 제760호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권1>(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卷一>) (0) | 2015.12.13 |
보물 제758호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 (0) | 2015.12.12 |
보물 제757호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주본<권46>(紺紙金泥大方廣佛華嚴經周本<卷四十六>) (0) | 2015.12.12 |
보물 제756호 감지금니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권7>(紺紙金泥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권7>) (0) | 2015.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