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74.jpg 조선시대 만들어진 병으로 야외에서 술, 물을 담을 때 사용하던 용기이다. 자라와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어 자라병이라 불리우며, 크기는 높이 9.4㎝, 지름 24.1㎝이다.

 

둥글고 납작한 몸체의 한쪽 끝부분에 약간 벌어진 입이 달려 있는 병으로 자라와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어 자라병이라 불린다.

문양(文樣)은 전면을 백토(白土)로 두껍게 바르고, 상면(上面)에는 활짝 핀 모란꽃과 잎을 대범하면서도 간략하게 나타내고, 그밖의 면(面)을 깍아낸 후 깍아낸 기면(器面)에 흑색(黑色)의 철사(鐵砂)를 칠하여 흑백(黑白)의 대조가 대비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하였다. 바닥에는 가장자리에 당초문대(唐草文帶)를 돌렸으며 굽다리는 낮고, 모래받침으로 받쳐 구운 흔적이 남아있다.

유색(釉色)은 회청색(灰靑色)으로 광택이 있으나 저부(底部)의 일부는 산화되어 변색(變色)되어 있다.

분청사기(粉靑沙器) 문양(文樣)중 조형적으로 가장 뛰어난 것이 박지문(剝地文)이다. 이 병(甁)의 박지모란문(剝地牡丹文)은 구성이 활발하고 대담할 뿐 아니라 문양(文樣)과 지면(地面)과의 대조를 선명히 하기 위하여 지면(地面)에 검은 철사(鐵砂)를 입혀 신선한 감이 있다. 또한 자라병의 밑면에도 조화(彫花)로 모란문(牡丹文)을 나타내어 매우 다양한 문양의 효과도 거두고 있다.

15세기후반경(15世紀後半頃) 전남북지방(全南北地方)의 요(窯)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데, 야외용의 술, 물 등을 담아 사용되던 용기(容器)의 하나로 이와같은 기형(器形)은 그 예(例)가 드물며, 박지(剝地)와 철채(鐵彩)의 수법(手法)이 잘 조화되어 분청사기 특유의 대범하고 활달한 분위기가 잘 담겨진 작품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