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89.jpg 항아리의 굽 밑에「 淳化四年 癸巳太廟第一室 享器匠崔吉會造(순화4년 계사태묘제일실 항기장최길회조)」라는 음각명문이 새겨져 있다. 따라서 이것이 고려(高麗) 태조(太祖)를 위한 태묘(太廟)의 제1실 향기(享器)였으며, 도공 최길회(崔吉會)의 작품이었음을 알 수 있다.

순화(淳化) 4년은 고려(高麗) 성종(成宗)12년(993)으로서, 명문(銘文)이 있는 청자(靑磁)로서 현재까지 알려진 것으로는 가장 오래된 것이다. 《고려사(高麗史)》에 보면 고려(高麗) 태묘(太廟)는 성종(成宗)8년(989) 4월 15일에 착공해서 성종(成宗)11년 (992) 12월 1일에 준공되었으므로, 이 청자순화사년명호(靑磁淳化四年銘壺)는 태묘(太廟)가 준공된 이듬해의 작품이었다.

고려 태조(高麗 太廟)는 경기도(京畿道) 개풍군(開豊郡) 영남면(嶺南面) 용흥리(龍興里)에 그 유지(遺址)가 있으나, 청자순화사년명호(靑磁淳化四年銘壺)의 출토지는 알 수 없다. 이 항아리의 유색(釉色)은 청자로 보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은 담록조(淡綠調)의 황갈회색계이며, 전면에 세밀한 빙렬(氷裂)이 있고 태토(胎土)는 회백색의 자질(磁質)에 가까워서 일종의 불완전 청자이다. 말하자면 중국으로부터 받아들인 청자기술이 아직도 정착되지 못했던 당시의 양상을 잘 전해 주는 유물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기형(器形) ·유태(釉胎) 등의 특질도 당말(唐末) 오대(五代)의 중국 월주요(越州窯) 청자의 여운을 짙게 풍기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려청자(高麗靑磁) 생성의 초기를 밝히는 가장 확실한 유물로 주목을 받는다.

《고려사》에 의하면 고려 태묘는 성종 8년(989) 4월 15일에 착공해서 성종 11년(992) 12월 1월에 준공되었으므로, 이 호는 준공된 다음 해의 작품이었고, 고려 태묘는 경기도 개풍군(開豊郡) 영남면(嶺南面) 용흥리(龍興里)에 그 유지(遺址)가 남아 있다.
이 호가 제작된 가마터는 1989∼1991년에 북한 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에 의해 발굴 조사된 황해남도 배천 원산리 가마터로 확인되었다. 2호 청자 가마터에서 순화 4년명 청자고배(靑磁高杯)와 함께 순화4년명청자호편(靑磁壺片)도 출토되어 이곳이 제작 가마터였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 오대(五代)의 월주요(越州窯) 청자의 기술을 받아들여, 고려청자의 성립을 알려주는 귀중한 청자호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