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천주교회의 창설은 우리 스스로의 힘으로 이룩되었다. 그 배경에는 당시 우리 나라 사회의 여러 상황들이 영향을 미쳤다. 교회 창설의 첫번째 배경으로는 천주교회의 동양 선교와 한역 천주교 서적의 전래를 들 수 있다. 동양에 천주교 신앙이 전파된 16세기 말엽부터 우리 나라에서도 천주교가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당시 중국과 일본에서 선교하던 선교사들의 활동이 우리 나라에도 전해졌던 것이다. 그중 가장 유명한 인물이 마태오 리치 신부였다. 그는 천주교 신앙이 유교의 부족한 점을 보충해 줄 수 있다는 보유론(補儒論)으로 천주교 교리를 설명하며 천주교 신앙과 유교, 불교, 도교와의 관계를 밝힌 「천주실의」(天主實義)라는 책을 지었다. 또한 17세기에 들어와서 그 밖의 여러 선교사들도 천주교 신앙을 소개하는 많은 종류의 책을 지었다. 당시 중국을 왕래하던 우리 나라의 사신들이 가져온 한문 서적들 가운데는 중국 선교사들이 지은 책들이 있었고, 우리 나라 사람들은 이 책들을 통하여 천주교를 알게 되었다.
17세기 초, 천주교 책들이 전해지자 우리 나라의 학자들은 호기심을 가지고 이를 읽어나갔다. 당시의 많은 지식인들은 거의 200여 년 동안 천주교의 책들을 읽고 검토해 왔다. 그 가운데서 천주교를 새로운 인생 철학으로 이해하려는 사람들이 나타났고, 이들은 곧 천주교를 새롭고 참다운 종교로 믿고 실천하게 되었다. 이러한 천주교 서적의 연구는 이땅에 교회가 우리 스스로의 힘으로 세워지게 된 첫번째 배경이다.
그 두번째의 배경으로는 당시 우리 나라 사회의 변화를 들 수 있다. 조선 왕조의 정치와 사회, 문화를 이끌던 사상은 유교의 한 갈래인 성리학(性理學)이었다. 그러나 18세기를 전후하여 성리학은 조선 왕조의 사회와 정치를 이끌어나갈 힘을 잃어버렸고, 일부 지식인들은 성리학 대신에 새로운 가르침을 찾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천주교 신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나라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보려던 일부 관리들과 지식인들은 천주교를 새로운 신앙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한편, 조선 왕조의 사회는 양반, 상민, 노비와 같은 신분에 따라 여러 가지 차별을 강요하고 있었으나, 18세기에 이르러서 이와 같은 신분 제도가 급격히 무너져가고 있었다. 아무런 차별이 없는 평등한 사회를 바라던 많은 사람들이 하느님 앞에서 모든 이가 평등하다는 천주교의 가르침에 귀를 기울이게 되었다. 기근과 전염병의 주기적인 발생, 양반 관료들의 민중 수탈 등으로 인해 불안한 생활을 하던 많은 이들이 각종 신흥 종교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바로 이러한 때에 천주교 신앙이 전파되었다.
또한 천주교 신앙이 전파된 18세기의 사회에서는 실학 사상(實學思想)이 발전하고 있었다. 몇몇 실학자들은 중국의 유교 철학을 깊이 연구하였고, 공맹 당시의 유학 사상에 있던 천(天) 또는 상제(上帝) 관념에서 천주교의 유일신 사상 이해에 도움을 받았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우리 신앙의 선조들은 선교사의 직접적인 도움을 받지 않고도 스스로의 힘으로 교회를 세울 수 있었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자료참조)
출처 :가난한자임니다 원문보기▶ 글쓴이 :유스티나
'천주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기 교회사의 전개 (0) | 2010.10.17 |
---|---|
한국교회의 창설과정 (0) | 2010.10.17 |
미사해설 총 정리 (0) | 2010.10.17 |
가톨릭 새로바뀐 용어정리 (0) | 2010.10.17 |
가톨릭교회란 무엇인가? - 전광진 신부 (0) | 2010.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