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40.jpg 영릉(英陵)은 제4대 세종대왕(第4代 世宗大王)과 동비 소헌왕후 심씨(同妃 昭憲王后 沈氏)의 릉(陵)이다.

세종대왕(世宗大王)은 태종(太宗)의 제3자(第3子)로서 태조(太祖) 6년(1397년) 4월 10일 한성부 북부 준수방(漢城府 北部 俊秀坊)에서 탄생(誕生)하였으며 휘(諱)가 도()이고 자(字)는 원정(元正)이며 모후(母后)는 원경왕후 민씨(元敬王后 閔氏)이다. 태종(太宗) 8년(1408년) 2월 11일 충녕군(忠寧君)에 봉(封)해졌다가 태종(太宗) 12년(1412년) 5월 3일 충녕대군(忠寧大君)이 왕세자(王世子)로 책봉(冊封)되었으며 이 해 8월 8일 태종(太宗)의 선위(禪位)를 받아 경복궁 근정전(景福宮 勤政殿)에서 즉위(卽位)하였으며 춘추(春秋) 21세였다. 세종대왕(世宗大王)은 정치(政治) 경제(經濟) 사회(社會) 역사(歷史) 문화(文化) 등 각 분야(分野)에 대한 통찰력(洞察力)과 판단력(判斷力), 학문적 노력(學問的 努力)을 겸전(兼全)하였고 천성(天性)이 관후 강건(寬厚 强健)하고 자질(資質)이 총민(聰敏), 독실(篤實)하였으며 태종대(太宗代)의 안정(安定)된 왕정(王政)을 기반(基盤)으로 황희(黃喜) 맹사성(孟思誠) 등의 명사(名相) 이종무(李從茂) 영릉전경 김종서(金宗瑞) 등 무신(武臣), 집현전학사(集賢殿學士) 등 현재(賢才)의 보필(輔弼)을 받아 조선문화 황금기(朝鮮文化 黃金期)를 이룩한 영주(英主)요 성군(聖君)이었다. 서운관(書雲館)을 설치(設置) 장영실(張英實)을 주도(主導)로 한 천문기계(天文器械)의 계발(啓發), 박연(朴堧)에 의한 음악체계(音樂體系)의 정비(整備), 경제육전(經濟六典)의 반포(頒布), 《농사직설(農事直說)》,《고려사(高麗史)》,《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의방유취(醫方類聚)》등 각 방면(各 方面)의 서적 찬간(書籍 纂刊)이 있었고 육진(六鎭)의 개척(開拓), 대마도 정벌(對馬島 征伐) 등 내정(內政)과 외치(外治)에 헤아릴 수 없는 치적(治績)이 있었으며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창제(創製)는 불후(不朽)의 업적(業績)이다.

세종전 세종(世宗) 32년(1450년) 2월 17일 영응대군(永膺大君)의 사제 동별궁(私第 東別宮)에서 환후(患候)로 승하(昇遐)하니 춘추(春秋) 54세였고 재위(在位) 32년이었다. 문종(文宗) 즉위년(卽位年)(1450년) 5월 21일 묘호(廟號)를 세종(世宗)으로 릉호(陵號)를 영릉(英陵)이라 하였다. 이 해 6월 12일 경기도 광주 대모산(京畿道 廣州 大母山) 아래 헌릉(獻陵) 서쪽 산줄기 소혜왕후 심씨(昭惠王后 沈氏)의 영릉 서실(英陵 西室)에 합장(合葬)하니 이는 유명(遺命)에 의한 것이다. 세종(世宗) 28년(1446년) 3월 24일 소혜왕후 심씨(昭惠王后 沈氏)가 승하(昇遐)함에 헌릉 서강(獻陵 西岡)에 장사(葬事)지내고 영릉(英陵)이라 하였으며 현궁(玄宮)은 같이 하고 석실(石室)은 달리하여 동실(東室)은 왕후(王后)의, 서실(西室)은 대왕(大王)의 수실(壽室)로 하였던 것이며 대왕(大王)의 승하(昇遐)로 합장(合葬)하였던 것이니 조선왕릉 중 최초(朝鮮王陵 中 最初)의 동봉이실(同封異室)의 합장릉(合葬陵)이다.

세종전전시물 이후 영릉 불길론(英陵 不吉論)이 있어 천릉(遷陵)이 거론(擧論)되었으나 실현(實現)을 보지 못하다가 예종(睿宗) 즉위년(卽位年)(1468년) 12월 경기도 여주 서방 북성산(京畿道 驪州 西方 北城山)의 이계순(李季旬)의 묘소지(墓所地)로 천릉(遷陵)키로 정(定)하고 그 이듬해 3월 6일 지금의 여주 신릉(驪州 新陵)으로 천릉(遷陵)하였다. 구릉(舊陵)의 상석(床石), 명등석(明燈石), 망주석(望柱石), 문(文) 무인석(武人石), 마석(馬石), 신도비(神道碑) 등은 그 자리에 묻었는데 1973년도에 이화대학교 박물관(梨花大學校 博物館)에 의해 발굴(發掘)되어 그 일부(一部)를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 세종대왕기념관(東大門區 淸凉里洞 世宗大王記念館)에서 보존(保存)하고 있다. 신도비(神道碑)는 두전(頭篆)을 영릉신도비(英陵神道碑)라 하였고 비명(碑銘)과 음기(陰記)는 풍화(風化)와 마모(磨耗)가 심(甚)하여 수십여자(數十餘字)를 판독(判讀)할 수 있을 뿐이다.

세종대왕비 소헌왕후 심씨(世宗大王妃 昭憲王后 沈氏)는 본관(本貫)이 청송(靑松)으로 영의정부사 청천부원군 심온(領議政府事 靑川府院君 沈溫)의 여(女)로서 태조(太祖) 4년(1395년) 9월 28일 양주 사제(楊州 私第)에서 탄생(誕生)하였으며 모친(母親)은 삼한국대부인 안씨(三韓國大夫人 安氏)다. 태종(太宗) 8년(1408년) 2월 16일 충녕군(忠寧君)에 출가(出嫁)하고 그 익일(翌日) 경숙옹주(敬淑翁主)에 봉(封)하여졌으며 태종(太宗) 18년(1418년) 6월 17일 충녕대군(忠寧大君)이 왕세자(王世子)로 책봉(冊封)됨에 경빈(敬嬪)으로 진봉(進封)되었다. 세종(世宗) 즉위년(卽位年)(1418년)에 공비(恭妃)로 책봉(冊封)되었고 동(同) 14년(1432년)에 왕비(王妃)로 개봉(改封)되었다. 소생(所生)으론 문종(文宗) 등 8남2녀를 두었고 환고(患故)로 세종(世宗) 28년(1446년) 3월 24일 수양대군 제택(首陽大君 第宅)에서 승하(昇遐)하니 춘추(春秋) 52세였다. 시호(諡號)를 소헌(昭憲)이라 하고 이 해 7월 19일 경기도 광주 헌릉 서강(京畿道 廣州 獻陵 西岡)에 예장(禮葬)하고 릉호(陵號)를 영릉(英陵)이라 하였다. 세종(世宗) 32년(1450년) 2월 세종(世宗)이 승하(昇遐)함에 그해 6월 영릉(英陵)에 합장(合葬)하였다가 예종 원년(睿宗 元年)(1469년)에 현 여주 영릉 자좌오향(現 驪州 英陵 子坐午向)(정북(正北)에서 정남향(正南向)) 언덕으로 천릉(遷陵)하였다.

영릉(英陵)은 조선왕릉(朝鮮王陵) 최초(最初)의 합장릉(合葬陵)으로서 릉침(陵寢)에 병석(屛石)을 세우지 아니하였으며 현궁(玄宮)의 석실제도(石室制度)는 회격(灰隔)으로 바뀌었으니 개천 영릉(改遷 英陵)의 조영년대(造營年代)가 예종 원년(睿宗 元年)으로서 예종(睿宗)의 부왕 세조(父王 世祖)의 광릉 조영시(光陵 造營時)(1468년) 세조(世祖)의 유명(遺命)으로 병석(屛石)을 세우지 아니하고 석실(石室)을 회격(灰隔)으로 바꾼 뒤여서 이를 따랐던 것이다. 릉침 주위(陵寢 周圍)로 12간(間)의 난간석(欄干石)을 둘렀으며 동자석주(童子石柱)엔 광릉(光陵)이 십이지신상(十二支神象)을 부조(浮彫)하였으나 영릉(英陵)에선 문자(文字)로 바뀌었으며 양석(羊石)과 호석(虎石) 각 2쌍(雙)이 교호배치(交互配置)되고 릉전(陵前)에는 상석(床石) 2좌(座)를 설치(設置)하였다. 상석 양측(床石 兩側)으로 망주석(望柱石) 1쌍(雙)이 설치(設置)되었으며 3면(面)의 곡장(曲墻)이 있다. 한단 아래에 문인석(文人石), 마석(馬石) 각 1쌍(雙)이 상면 배치(相面 配置)되고 그 중앙(中央)에 명등석(明燈石) 1좌(座)로 중계(中階)인 제2계(階)가 이루어졌고 그 아래에 무인석(武人石), 마석(馬石) 각 1쌍(雙)이 문석(文石)의 례(例)와 같이 배열(配列)되어 제3계(階)인 하계(下階)를 이루었으며 릉상(陵上) 및 상설(象設)은 단릉(單陵)의 형식(形式)이다. 릉(陵) 언덕 아래에 정자각(丁字閣)이 있으며 정자각 동측(丁字閣 東側)엔 비각(碑閣)이 있다. 구 영릉(舊 英陵)의 신도비(神道碑)는 이곳 천릉시 영릉지(遷陵時 英陵址)에 묻었으며 신비(新碑)는 영조(英祖) 21년(1745년)에 세운 것으로서 비면(碑面)에 전서(篆書)로 조선국세종대왕영릉 소헌왕후 좌(朝鮮國世宗大王英陵 昭憲王后 左)라 쓰고 음기(陰記)가 있다. 비각 남측(碑閣 南側) 아래로 수직방(守直房)이 있으며 정자각 서측(丁字閣 西側)엔 수자간(水刺間)이 있다. 정자각 남측 삼도(丁字閣 南側 參道)가 시작되는 곳에 홍살문(紅箭門)이 있으며 홍살문 서남방(紅箭門 西南方)에 방형(方形)의 연지(蓮池)가 있고 더 남측(南側)으로 내려와 영릉 참배로 옹편(英陵 參拜路 東便)에 재실(齋室)이 있으며 1972년에 복원(復元)된 것이다. 1977년도 대통령(大統領)의 지시(指示)로 영릉정화사업(英陵淨化事業)이 있었으며 훈민문(訓民門), 세종대왕동상(世宗大王銅像), 세종전(世宗殿) 등은 이때에 세운 것이다.

녕릉전경 녕릉(寧陵)은 제17대 효종대왕(第17代 孝宗大王)과 동비 인선왕후 장씨(同妃 仁宣王后 張氏)의 릉(陵)이다.

효종대왕(孝宗大王)은 인조(仁祖)의 제2자(第2子)로서 광해군(光海君) 11년(1619년) 5월 22일 한성부 중부 경행방(漢城府 中部 慶幸坊)에서 탄생(誕生)하였으며 휘(諱)가 호(淏)이고 자(字)는 정연(靜淵), 호(號)가 죽오(竹梧)이며 모후(母后)는 인열왕후 한씨(仁烈王后 韓氏)이다. 인조(仁祖) 4년(1626년)에 봉림대군(鳳林大君)에 봉(封)하여졌으며 병자호란 후(丙子胡亂 後)인 인조(仁祖) 15년(1637년) 왕세자(王世子)인 소현세자(昭顯世子)와 함께 청(淸)의 심양(瀋陽)에 인질(人質)로 있다가 인조(仁祖) 23년(1645년) 환국(還國)하였으며 이 해 4월 26일 형(兄)이며 왕세자(王世子)인 소현세자(昭顯世子)가 병서(病逝)함에 9월 17일 왕세자(王世子)로 책봉(冊封)되었으며 인조(仁祖) 27년(1649년) 5월 인조(仁祖)가 승하(昇遐)함에 이 해 5월 13일 창덕궁 인정문(昌德宮 仁政門)에서 즉위(卽位)하였다. 효종(孝宗)은 대군시절(大君時節) 청(淸)의 심양(瀋陽)에 8년간이나 볼모로 있으면서 고초(苦楚)를 겪었고 부왕 인조(父王 仁祖)의 삼전도치욕(三田渡恥辱)을 설욕(雪辱)하고자 북벌계획(北伐計劃)을 세우고 이를 추진(推進)하였으나 재정(財政)의 빈약(貧弱)과 청(淸)의 강성(强盛)으로 북벌(北伐)을 실행(實行)하지 못하였고 임진(壬辰) 정유왜란(丁酉倭亂)과 병자호란(丙子胡亂)으로 피폐(疲弊)한 민생(民生)의 안정(安定)을 위하여 충청도(忠淸道)와 전라도 근해지역(全羅道 近海地域)에 대동법(大同法)을 확대 실시(擴大 實施)하였으며 필생(畢生)의 간원(懇願)이던 북벌(北伐)을 실행(實行)치 못한 채 효종(孝宗) 10년(1659년) 5월 4일 창덕궁 대조전(昌德宮 大造殿)에서 승하(昇遐)하니 재위(在位) 10년이었고 춘추(春秋) 41세였다.

현종(顯宗) 즉위년(卽位年) (1659년) 5월 11일 묘호(廟號)를 효종(孝宗)이라 하고 릉호(陵號)를 녕릉(寧陵)이라 하였으며 이 해 10월 29일 양주 건원릉 서측(楊州 健元陵 西側) 산줄기에 예장(禮葬)하였다. 녕릉 석물(寧陵 石物)에 틈이 생겨 릉침(陵寢)의 누수우려(漏水憂慮)로 인한 천릉론(遷陵論)에 따라 현종(顯宗) 14년(1673년) 10월 7일 여주 영릉 동측(驪州 英陵 東側) 언덕 자좌오향(子坐午向) (정북(正北)에서 정남향(正南向))에 천릉(遷陵)하였으며 천릉(遷陵)에 앞서 릉역내(陵域內)의 민가(民家)와 총묘(塚墓)를 옮기게 하였다.

효종대왕(孝宗大王)의 비 인선왕후 장씨(妃 仁宣王后 張氏)는 본관(本貫)이 덕수(德水)로 우의정 신풍부원군 장유(右議政 新豊府院君 張維)의 녀(女)로서 광해군(光海君) 10년(1618년) 12월 25일 경기도 안산 촌사(京畿道 安山 村舍)에서 탄생(誕生)하였으며 모친(母親)은 영가부부인 김씨(永嘉府夫人 金氏)이다. 인조(仁祖) 23년(1645년) 효종(孝宗)이 왕세자(王世子)로 책봉(冊封)됨에 9월 27일 왕세자빈(王世子嬪)으로 책봉(冊封)되었고 효종(孝宗) 즉위년(卽位年)(1649년) 5월 13일 왕비(王妃)로 진봉(進封)되었으며 현종(顯宗) 즉위년(卽位年)(1659년) 5월 9일 왕대비(王大妃)로 되었다. 현종(顯宗) 15년(1674년) 2월 24일 경희궁 회상전(慶熙宮 會祥殿)에서 승하(昇遐)하였으니 춘추(春秋) 57세였으며 소생(所生)은 현종(顯宗)을 비롯한 1남6녀(1南6女)다. 이 해 3월 2일 시호(諡號)를 인선(仁宣)이라 하였으며 6월 4일 효종릉(孝宗陵) 아래 자좌오향(子坐午向)(정북(正北)에서 정남향(正南向))에 장례(葬禮)지냈다.

현종(顯宗) 14년(1673년) 효종(孝宗)의 영릉(寧陵) 을 양주 검엄산(楊州 儉嚴山)에서 천봉(遷奉)한 익년 인선왕후(翌年 仁宣王后)의 릉(陵)을 영릉 영역(寧陵 塋域)에 봉릉(奉陵)함에 있어 양릉(兩陵)을 좌우(左右)로 나란히 하지 아니하고 왕릉(王陵)의 아래에 설릉(設陵)하여 왕(王)과 비(妃)의 릉(陵)이 상하(上下)로 쌍릉 형식(雙陵 形式)을 취(取)하고 있으니 이는 풍수지리상 생기왕성(風水地理上 生氣旺盛)한 정혈(正穴)에 릉침(陵寢)을 두고자 한 것으로서 양릉(兩陵)을 좌우(左右)로 설릉(設陵)할 경우 정혈(正穴)에 벗어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동원상하이봉릉(同原上下異封陵)은 조선왕릉 중 최초(朝鮮王陵 中 最初)의 형태(形態)이고 제20대 경종대왕(第20代 景宗大王) 의 의릉(懿陵)이 또 한 예(例)이다.

개천 영릉(改遷 寧陵)의 왕릉(王陵)엔 3면(面)의 곡장(曲墻)을 설치(設置)하고 릉침(陵寢)엔 병석(屛石)을 세우지 아니하였으며 12간(間)의 난간석(欄干石)을 설치(設置)하고 동자석(童子石)에 십이방위 문자(十二方位 文字)를 새겼다. 이는 조선조 릉제상(朝鮮朝 陵制上) 한 전환기(轉換期)가 되었으니 여주(驪州)의 천장 영릉(遷葬 英陵)과 양주 광릉(楊州 光陵)으로부터 세조(世祖)의 유교(遺敎)로 릉침(陵寢)에 병석(屛石)을 세우지 아니하다가 성종(成宗)의 선릉(宣陵)에서 다시 시작된 십이지신상(十二支神象)이 새겨진 병석 설치제도(屛石 設置制度)가 영릉(寧陵)에서부터 없어진 것이며 또 하나가 현실 회격(玄室 灰隔) 바닥에 지회(地灰)를 깔게 된 것이며 병석(屛石)은 조선 말기 홍릉(朝鮮 末期 洪陵)과 유릉(裕陵)에서 있게 된다. 난간석(欄干石) 밖으로 양석(羊石), 호석 각 2쌍(虎石 各 2雙)이 외향 배치(外向 配置)되고 릉전(陵前)에 상석(床石)이 1좌(座), 그 양측(兩側)으로 망주석 1쌍(望柱石 1雙)이 설치(設置)되어 상계(上階)를 이루고 한 단 아래 중계(中階)에는 문인석(文人石)과 마석 각 1쌍(馬石 各 1雙)과 중앙(中央)에 명등석 1좌(明燈石 1座)가 있으며 하계(下階)에는 무석(武石)과 마석 각 1쌍(馬石 各 1雙)이 문석(文石)과 같은 배열(配列)로 설치(設置)되어 있다. 왕릉(王陵) 아래의 비릉(妃陵) 곡장(曲墻)만 설치(設置)되어 있지 아니할 뿐 릉상 의물(陵上 儀物)은 왕릉(王陵)과 같이 되어 있어 단릉(單陵)의 형태(形態)를 갖추고 있다. 정자각(丁字閣)은 비릉(妃陵) 언덕 아래에 있고 비각(碑閣)은 정자각 동측(丁字閣 東側)에 있으며 비면(碑面)에 전서(篆書)로서 조선국효종대왕녕릉(朝鮮國孝宗大王寧陵)이라 썼으며 음기(陰記)는 인선왕후부장재하(仁宣王后 葬在下)라 썼다. 정자각 남측 삼도(丁字閣 南側 三道) 시작 부분(部分)에 홍살문(紅箭門)이 있는데 홍살문(紅箭門)과 정자각(丁字閣) 사이에 삼도(三道)를 가로 질러 금천(禁川)이 흐르고 있는 바 금천(禁川)은 홍살문(紅箭門) 밖으로 흐름이 상례(常例)임이 비(比)하여 특이(特異)하다. 홍살문(紅箭門) 아래의 소로 동편(小路 東便)에 영릉 재실(寧陵 齋室)이 있다.
 

12.gif 교통안내 

[자가운전]

영동고속도로(여주 I·C)에서 차량으로 10분거리

이천에서 차량으로 25분거리

37번 국도:서울∼여주 70㎞(70분)->42번 국도:여주∼영릉 2.5㎞(5분)

[대중교통]

여주읍에서 내양리행 시내버스를 이용 10분 거리, 택시 이용 5분 거리

서울 고속버스 터미널에서 여주행 버스(40분 간격)→여주 버스터미널에서 이천방향

좌석버스111번 이용→공군 부대앞 하차 걸어서 20분

 

12.gif 현지교통

 

12.gif 주변관광지 

 - 신륵사, 명성왕후 생가, 고달사지, 목아불교박물관, 파사성지,

    도자기 축제(기간 : 10일 내외)

 

12.gif여주관광동선

  - 고속도로  →여주I.C→명성황후 생가→세종대왕릉(효종대왕릉)→강변랜드 →신륵사 →   목아불교박물관 →고달사지→파사성지

  - 일반국도→이천→세종대왕릉→명성황후 생가→위와 동일

  

12.gif 현지숙박

 

12.gif 입 장 료 

일 반 (만 19세∼64세) 500원  /  단체(30인 이상) 400원

학 생 (만 7세∼18세)  300원  /  단체(10인 이상) 200원

65세 이상인 노인은 무료

관람시간 : 겨울철 09:00 ~ 17:00 / 여름철 09:00 ~ 18:00

(매주 월요일 휴관)

 

12.gif 주차시설 

12,000㎡ (버스 50대, 승용차 700대 주차)  

주차 무료

 

12.gif 도움전화

 

map-008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