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 사적 제198호 |
---|---|
소재지 | 경기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산30-1 |
소재지 | |
지정일 | 1970.05.26 |
수량/면적 | 1,829,792㎡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자 | 국유 |
관리자 | 서오릉관리소 |
자료출처 및 참조 | 문화재청 |
![3735.jpg 3735.jpg](http://simjeon.kr/xe/files/attach/images/179/794/030/3735.jpg)
경릉(敬陵)은 추존왕(追尊王) 덕종(德宗)과 동비(同妃) 한씨(韓氏)의 능(陵)으로서 세조(世祖)의 원자(元子)이며 왕세자(王世子)에 책봉(冊封)된 장(璋) 세조(世祖) 3년(1457년) 9월 춘추(春秋) 20세(歲)로 훙서(薨逝)함에 길지(吉地)로서 고양(高陽) 동(東) 봉현(蜂峴)이 거론(擧論)되고 부왕(父王)인 세조(世祖)가 친행(親幸)하여 능지(陵地)로 택정(擇定)된 것이다. 덕종(德宗)은 세자시(世子時) 훙서(薨逝)하여 의경묘(懿敬墓)로 하였으나 성종(成宗) 7년(1476년) 덕종(德宗)으로 추존(追尊)되고 의경묘(懿敬墓)를 경릉(敬陵)으로 추숭(追崇)하였다.
|
홍릉 |
|
왕릉전경 |
|
왕비릉전경 |
|
익릉석인, 석수 |
|
명릉근경 |
조선조왕실(朝鮮朝王室)의 묘제(墓制)는 왕(王)과 왕비(王妃)는 능(陵)으로, 왕(王)의 생모(生母)인 사친(私親)이나 왕세자(王世子) 및 그 빈(嬪)은 원(園)으로, 대군(大君), 공주(公主), 옹주(翁主), 후궁(後宮)은 묘(墓)로 품격(品格)에 따라 차등(差等), 구분(區分) 호칭(呼稱)하였다.
순창원(順昌園)은 명종(明宗)의 제1자(第1子)인 순회세자(順懷世子)나 세자빈(世子嬪) 공회빈(恭懷嬪) 윤씨(尹氏)의 원(園)으로서 세자(世子)는 명종(明宗) 18년(1563년) 13세(歲)의 나이로 요절(夭折)하여 이곳에 장사(葬事)지냈으며 조선왕조(朝鮮王朝) 최초(最初)의 원(園)이다.
수경원(綏慶園)은 장조대왕(莊祖大王)의 사친(私親)이며 영조(英祖)의 후궁(後宮)인 영빈이씨(暎嬪李氏)의 원(園)이다. 영빈이씨(暎嬪李氏)는 영조(英祖) 40년(1764년) 훙서(薨逝)하여 경기(京畿) 고양(高陽) 연희(延禧) 신촌리(新村里)에 설원(設園)하였으며 한일합병(韓日合倂) 이후(以後)인 1920년대(年代) 당시(當時) 연희전문학교(延禧專門學校)가 수경원(綏慶園) 인근(隣近)에 개교(開校)되어 학교(學校)가 확장(擴張)되면서 학교(學校) 교내지(校內地)의 일부(一部)에 수경원(綏慶園)이 위치(位置)하게 됨에 따라 200여년(餘年)이 지난 1968년 6월에 이곳 서오릉(西五陵) 경내지(境內地)로 천장(遷葬)하였다.
대빈묘(大嬪墓)는 경종대왕(景宗大王)의 사친(私親)이며 숙종(肅宗)의 후궁(後宮)인 대빈장씨(大嬪張氏)의 묘(墓)이다. 희빈장씨(禧嬪張氏)는 숙종(肅宗)의 후궁(後宮)이 되고 왕비(王妃)와 계비(繼妃)의 소생(所生)이 없어 장씨(張氏) 소생(所生) 윤(윤)이 왕세자(王世子)로 책봉(冊封)된 숙종(肅宗) 14년(1688년) 왕비(王妃)가 되었으나 숙종(肅宗) 20년(1694년) 갑술옥사(甲戌獄事)로 강빈(降嬪)된 후(後) 동(同) 27년(1701년) 무고(誣蠱)의 옥(獄)으로 폐빈(廢嬪), 사사(賜死)되고 경기(京畿) 광주(廣州) 오포(五浦) 문형리(文衡里)에 설묘(設墓)되었으며 경종(景宗) 2년(1722년) 왕산부대빈(王山府大嬪)으로 추존(追尊)되었고 269여년(餘年) 후(後)인 1969년 6월 서오릉(西五陵) 경내(境內)로 천장(遷葬)됨으로써 숙종(肅宗)의 명릉(明陵)과 같은 서오릉(西五陵) 경역내(境域內)에 있게 된 것이다.
서오릉(西五陵) 경내(境內)엔 1960년대(年代)에 설치(設置)된 군(軍) 주둔지(駐屯地)가 있다. 상당(相當)한 면적(面積)에 이르는 이 주둔지(駐屯地)는 대북한(對北韓)과의 대치상황(對峙狀況)에서 군사목적상(軍事目的上) 설치(設置)된 것이기는 하나 그 위치(位置)가 서오릉(西五陵) 경내(境內) 능역(陵域)인 만큼 능역(陵域)으로서 보존(保存)되도록 환원(還元)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재실(齋室)은 동구릉(東九陵)의 예(例)와 같이 각(各) 능(陵)마다 있지 아니하고 서오릉(西五陵) 전역(全域) 아우르는 재실(齋室)이 서오릉(西五陵) 정면(正面) 출입로변(出入路邊)에 있다.
교통안내
대중교통] - 원당전철역 → 서오릉행 버스를 이용 → 서오릉 입구 하차 (10분 소요, 4km) - 서울 녹번역, 역촌동 → 서오릉행 버스 이용 →서오릉 입구 하차 - 좌석버스 9705, 9701 → 서오릉하차 - 일반버스 702 → 서오릉하차
[자가용] - 통일로, 녹번동, 불광역 4거리, 연신내 4거리 등 어느 곳에서도 진입 가능 - 서대문 → 구파발 → 녹번 삼거리, 연신내 사거리 → 좌회전 → 서오릉로 진입 → 입구
개장시간
동절기(11~ 2월) 06:30 ~ 17:30 (매표 16:30까지)
하절기(3 ~ 10월) 06:00 ~ 18:30 (매표 17:30까지)
휴 무 일 : 매주 월요일 휴무
주변관광지
원당목장, 허브랜드
입 장 료
주차시설
'한국의 궁궐,왕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적 제196호 장릉(莊陵) (0) | 2015.06.30 |
---|---|
사적 제197호 광릉(光陵) (0) | 2015.06.30 |
사적 제200호 서삼릉(西三陵) (0) | 2015.06.30 |
사적 제202호 장릉(章陵) (0) | 2015.06.29 |
사적 제203호 장릉(長陵) (0) | 2015.06.29 |